View : 8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난실-
dc.creator김난실-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6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67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which influenced the modern curriculum by examining of progress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originated by Alice Temple. Since the writer sees an important role played by Alice Temple, it is worthwhile to look into her work's influence. The study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historical backgrounds, foundation of A.Temple's Curriculum and A.Temple's educational theory, practice ? 2. What are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Curriculum suggested by A. Temple ? 3. What a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urriculum suggested by A. Temple? 4. What are the performance methods of Curriculum suggested by A. Temple ? 5. What are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of Curriculum suggested by A .Temple ?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focused on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and analyzed it'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Unified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ing 」 written by A. Templ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hich was the period of reconstruc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was formed. A. Temple developed her theory or curriculum based on the philosophical doctrine of John Dewey, and the Child-Study Movement which has initiated by G. Stanley Hall. As the traditional theory and practice which based upon Froebelian Symbolism was being criticized, some pione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ried to reform the curriculum. Among the efforts, Temple was the one who developed her own theory, and it contains in ?Unified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ing?, in 1925 with Samuel Chester Parker. During her work in International Kindergarten Union(IKU) and University of Chicago, she particularly took a serious view of the continuity of kindergarten and primary school and this theory is contained in her 「Unified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Teaching 」 2. Temple's Curriculum has a clear simple statement of objectives from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points of view. It is, therefore, the objectives show personal and social aspects. 3. Principles governing the selection of the curriculum content are social needs, pupil maturity, and relative values. Types of learning is divided 9 type by mental processes, and teachers could adjust the teaching processes to variety of each learning processes. 4. Educational tools and equipment are scientific. General classroom managements should consider such as ① number and length of daily session; ② number of teachers in relation to enrollment ③ ability grouping, or the sectioning of the children. 5. Teaching-learning principle is to maintain balance between such antithetical factors as ① informality-system; ② freedom-social control; ③ pupil activity-teacher activity; ④ individual activity- group activity; ⑤ activities involving thinking or reasoning-activities represented by habit, drill, imitation, etc. And the curriculum suggest 7 methods to provide for differences in individual capacit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mple's Curriculum are: 1) The emphasis given in the book to scientific curriculum building. A conscious effort was made to determine the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and to clarify the bases on which curricular decision were made: goals were identified, the selection of content discussed, and the appropriate experiences illustrated. 2)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were given a prominent place in the curriculum plans to counteract the neglect of these goals, which Temple believed existed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She expected children's lives to be definitely enriched by knowledge. 3) All of the simple beggings of school subjects in the kindergarten are presented in relation to their increasing complexities and more scientific levels in the upper grades. 4) The curriculum developed a rationale for the selection of topics and activities, teachers must make many curricular decisions independently on the bases of the underlying principles presented. Historically, before the 1960's, th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was emphasized mostly in the curriculum, but after the 1960's, the curriculum gave the emphasis to intellectual development. Although Temple's curriculum was made before the 1960's, it has a historical significance, for she considered the intellectual development in the curriculum the most. It can be said, therefore, that Temple's curriculum provided the indirect foundation to modern curriculum by examination the similarity of both, although that was unnoticed of that time(1925). However, her curriculum which was unnoticed because of the theoretical aspect suggest to construction of modern curriculum. Through curriculum suggested by A. Temple, the writer of this thesis can recognize that although-it is a scientific and inclusive, it must also have a practice to approach and applicate easily for the teachers.;본 연구의 목적은 Temple의 진보주의적 유아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역사적 의의를 재조명하고, 오늘날의 유아교육과정에 미치는 시사점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Temple의 유아교육과정의 성립 과정과 구성의 기초 및 Temple의 유아교육론은 어떠하였는가? 2. Temple의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무엇인가? 3. Temple의 유아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4. Temple의 유아교육과정의 수행방법은 어떠한가? 5. Temple의 유아교육과정의 교수원리는 무엇인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emple의 「유치원·1학년 통합 교육과정」은 20세기 초, 미국의 유아교육과정이 재구성 되던 시기에 이루어졌으며, Dewey의 진보주의적 교육사상에 철학적 기초를 두고, 아동연구운동에 심리적 기초를 둔다. 당시의 유아교육자들은 Froebel의 사상에 기초한 전통주의적 교육과정이 비판을 받기 시작하자,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모색하게 되었고, 이러한 노력 가운데 1925년 Temple의 「유치원·1학년 통합 교육과정」도 완성되었다. Temple은 국제유치원 연맹(IKU)에서의 활동과 시카고 대학에서의 교수 활동을 통하여 특히 유치원과 초등학교간의 연계성 유지에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그의 유아교육과정도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2. Temple의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사회적, 심리적 관점에 의해 명확하게 진술되어, 개인적인 동시에 사회적이며, 양자가 서로 조화되어 있다. 3. 교육내용은 사회의 요구와 아동의 성숙도, 그리고 포괄적으로 가치있는 내용을 고려하여 선정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인 학습형태는 지적과정에 따라 9가지로 나뉘며, 교사는 각 학습 과정의 다양성에 맞추어 교수과정을 조직하도록 요구되었다. 4. 수행방법에 있어서는 과학적인 물리적 환경과 교구를 제안하며, 학급조직의 일반적 요인으로, 주로 일일 일과(session)의 횟수와 시간, 교사:아동의 비율, 아동의 집단분류(grouping)를 들고 있다. 5. 일반적인 교수 학습 원리는 ① 비형식성. 체계성 ② 자유:사회적 통제 ③ 아동의 활동:교사의 활동 ④ 개별 활동:집단 활동 ⑤ 사고, 추론에 의한 활동:습관, 훈련, 모방 등에 의한 활동의 이상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며, 능력별 개인차에 따른 7가지 교수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그 외의 Temple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① 과학적인 교육과정 구성을 강조하고 있다. 즉 교육과정의 요소를 결정하고 그 기초를 명확히 하는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② 교육과정 계획에서는 정보와 이해가 중요하게 취급되었다. Temple은 당시의 다른 유아교육자들이 행위적 목표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반하여, 아동의 생활이 지식에 의해서도 분명히 풍부해질 수 있다고 믿고 있었기 때문이다. ③ 유치원과 초등 1학년 활동이 연계성을 지녀, 유치원에서 시작된 교육내용은 1학년에 가서 점차 복잡하고 과학적인 수준으로 제시되었다. ④ 주제와 활동의 선정을 위하여 합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교사는 제시된 강조 원리를 기초로 교사 자신이 스스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유아교육과정은 1960년 이전에는 사회, 정서 발달면에 주안점을 둔 반면, 1960년 이후에는 좀 더 지적인 면에 관심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1960년 이전의 교육과정인 Temple의 교육과정은 지적인 발달면에 관심을 두고 있었으며, 이러한 사실은 역사적으로 매우 의의가 있는 일이라 하겠다. 또한 Temple의 교육과정은 발표 당시(1925)에는 비록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였으나 교육목표나 내용, 교수 원리면에서 현대의 교육과정과 다소 일치점들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아 오늘날의 교육과정이 성립되기까지 간접적인 초석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의 교육과정이 이론적인 특성으로 인해 그 당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한 것은 현대의 교육과정 구성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비록 과학적이고 총괄적인 교육과정이라도, 교육과정은 현장 교사들이 쉽게 접근하고 적용할 수 있는 실제성이 있어야 함을 Temple의 교육과정을 통해 재인식하게 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연구 방법 및 제한점 = 5 D. 용어 정의 = 6 Ⅱ. Temple의 유아교육과정 성립 배경 = 7 A. Temple의 유아교육과정 성립 과정 = 7 B. Temple의 유아교육과정 구성의 기초 = 19 C. Temple의 유아교육론 = 26 Ⅲ. Temple의 유아교육과정 = 34 A. 교육 목표 = 35 B. 교육 내용 = 38 C. 수행 방법 = 61 D. 교수 원리 = 65 Ⅳ. 요약 및 결론 = 71 참고문헌 = 75 부록 = 79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927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Alice Temple-
dc.subjectTemple-
dc.subject유아교육-
dc.subject유아교육과정-
dc.subjectChildhood Curriculum-
dc.titleAlice Temple의 유아교육과정에 관한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lice Temple's early childhood curriculum-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