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양자-
dc.creator김양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5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4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59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칸트와 듀이의 도덕론을 통해 현대 도덕교육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칸트와 듀이의 도덕철학적 배경을 고찰한다. 둘째, 도덕에서 이성과 자유에 대한 칸트와 듀이의 견해를 분석 검토한다. 셋째, 칸트와 듀이의 견해를 비교하여 현대 도덕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칸트의 이성은 초경험적이고, 초감성적인 순수이성으로 의지의 면에 작용 할 때 순수의지 즉 선의지가 되며, 선의지는 그 자체 선한 의지로 도덕법칙을 규정하는 입법자이다. 이러한 선의지에 의해 규정된 도덕법칙은 보편타당한 원리로서 모든 사람이 따라야 하는 정언명법이다. 칸트의 자유는 순수이성이 규정하는 도덕법칙의 입법자로서 감성적 측면을 지닌 인간은 이성이 규정하는 도덕법칙을 의무로서 따르는 것이다. 한편 듀이의 지성은 도덕적 문제해결을 위한 반성적 사고 과정으로서 과학적 사고 방법의 성격을 띤다. 듀이의 자유에 대한 개념은 문제상황에 직면하여 지성의 역할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져 바람직한 도덕행위를 자유롭게 선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비교해 보면, 첫째, 칸트의 이성은 초경험적인 것으로 보편타당한 선을 지향하는 반면, 듀이의 지성은 경험의 한 과정으로 상대적 선을 따른다. 둘째, 칸트의 오성과 듀이의 지성, 칸트의 가언명법과 듀이의 상대적 선에서 유사점을 발견하였다. 세째, 칸트의 도덕법칙은 선의지에 기준을 두는 동기론인데 비해, 듀이는 동기론과 결과론을 고려한다. 네째, 칸트의 자유는 자발성과 도덕법칙을 규정하는 입법적 의미로 사용되는데 비해, 듀이는 문제해결과정에서 지성의 사고과정을 통하여 가장 합리적인 것을 선택하는 자유이다. 다섯째, 선택의 문제에 있어서 칸트는 의무갈등에서 그 해결점을 제시하지 못하며, 듀이는 둘 이상의 문제상황에 동시에 직면할 때의 해결점을 제시하지 못했다. 끝으로 실천상의 문제로서 칸트의 이론은 도덕법칙을 정교하게 이론화한 공헌은 인정하지만 듀이의 문제해결력이 실천상에 있어서 더욱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듀이의 상대적 선은 모든 문화를 초월하는 보편타당한 가치기준을 제시못했다는 난점이 있다. 이같은 논의에서 볼 때 칸트의 보편적인 선과 듀이의 상대적 선을 매개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도덕이론이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며 이와같이 조직된 통합이론으로 나아가게 될 때, 현대 도덕교육에 새로운 방향이 제시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topics of the modern moral education through Kant's moral theory and Dewey's moral theory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ents of research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o expose Kant's and Dewey's philosophical background. 2. To analysis and examine Kant's and Dewey's views about reason and freedom in the morality. 3. To present the current topics of modern moral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o sum up the content of study, Kant's reason is transcendental and supersensible pure reason. If it operates in the will of human beings, It will be pure will; good will. A good will is a legislator prescribing a moral lam. If a human being has a sensitive nature, he should obey that moral law. This moral law is an universal principle which is a categorical imperative that should be observed by everyone. It is different from a hypothetical imperative, which is only observed when a human being receives a condition. Kant's freedom is the conception of will free, legislators prescribing a moral law that is observed by a rational law prescribing a human being's sensitive aspects. He divides it into transcendental freedom and practical freedom. Transcendental freedom means an independability and spontaneity, and practical freedom means not only an independability and spontaneity. but also self-legislated autonomy, prescribing a moral law. Dewey's intelligence, the process of experience, is the scientic thinking method of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which has an ability judging morally from human being's sensitive desire and need on the basis of social convention and institutions. Dewey's conception on freedom means freely selecting a desirable moral deed by rationally operating the intellectual role in the face of problematic sit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Kant's reason, transcendental being separated from human being's sensitive aspect, heads for universal good, Dewey's intelligence points a relative good considering human being's sensitive aspects as a value judgement. 2. 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Kant's understanding and Dewey's intelligent, Kant's hypothetical imperative and Dewey's relative good. 3. Kant's moral law is a motivism based on good will, and Dewey's moral judging criterion is formed by considering the motivism and criticism. 4. On the one hand, Kant's freedom is used by the meaning of the self-legislative autonomy prescribing and moral law, spontaneity of opening the frist acuse of natural phenomenon and the independability from sensitive and empirical aspects. Dewey's freedom concept means selecting the highest good in the each situation through the process of intelligence in the settling process. 5. Although Kant can not present a solution of compulsory dis-aggrement in the case of selecting, Dewey can't show a solution when a human being is in the face of the problem situation simultaneously, either. 6. Although Kant's theory is approved that theorizes elaborately the moral law, Dewey's ability of problem solution is more suitable than Kant's in the practical aspect. In conclusion, the unification of Kant's universal good and Dewey's re1ative good can present a new direction in the Modern moral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4 Ⅱ. 칸트의 도덕론 = 6 A. 사상적 배경 = 6 B. 이성과 도덕 = 7 C. 자유와 도덕 = 20 Ⅲ. 듀이의 도덕론 = 30 A. 사상적 배경 = 30 B. 지성과 도덕 = 32 C. 자유와 도덕 = 43 Ⅳ. 칸트와 듀이의 도덕론 비교 = 51 A. 이성 = 52 B. 자유 = 59 Ⅴ. 현대 도덕교육에 대한 시사점 = 67 A. 칸트와 듀이의 도덕교육론의 문제 = 67 B. 현대 도덕교육이론에 대한 시사점 = 72 Ⅵ. 결론 = 75 참고문헌 = 80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375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칸트-
dc.subject듀이-
dc.subject도덕론-
dc.subject이성-
dc.subject자유-
dc.title칸트와 듀이의 도덕론에 관한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이성과 자유의 개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KANT'S AND DEWEY'S MORAL THEORY : Laying Stress on Reason and Freedom-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