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계영-
dc.creator정계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4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5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3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50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대해서 유치원 교사들이 갖고 있는 인식과 실제로 운영되는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운명실태를 조사하고, 교사들이 느끼는 이야기 나누기 시간 운영의 문제점 및 효율적인 운영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사들은 이야기 나누기 시간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가? 3. 교사들이 이야기 나누기 시간을 운영하면서 당면하는 문제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내 사립유치원 교사 400명에게 질문지를 우송하여 회수된 289부중 무응답의 항목이 많은 25부를 제외시킨 264부의 질문지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 백분율, X^(2) 검증, t-test, F검증을 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실시 횟수와 시간의 길이에 있어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더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집단의 크기와 효과적인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은 변인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달영역과의 관련성 정도에 있어서는 언어발달과 가장 관련이 깊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언어발달에 더 관련을 두고 있었다. 2.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운영실태는 교사들의 인식정도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운영시간은 전체 일과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집단의 크기는 대집단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교수방법에 있어서는 언어발달과 인지발달에 중점을 둔 교수방법을 주로 사용했으며,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자료의 준비는 교사가 대부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내용은 단원에 따른 주제학습으로 나타났다. 3. 교사들은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높은 것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을 낮추는 것을 효과적인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운영방안으로 제안했다. 그러나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의 부족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교수방법에 대한 교사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교사들도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to study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circle time' but also to inquire into the problems of managing 'circle time' and to find out effective methods of management. The following questions for this research have been concretely set up to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1. What are the teachers' understanding with regards to 'circle time'? 2. How do they manage 'circle time'? 3. What Problems are they face in managing 'circle time'? These questionaires have been sent, to 400 kindergarten feathers in Seoul among when 289 answered including 25 with no response on many items. Therefore, 264 answer sheets have been finally applied to this research. These collected raw data have been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T-Value and F-value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has been found that the level of teacher's recognition concerning the 'circle time' is high. The more highly educated the teachers are, the more recognition they have about performance-frequency and time-length. There is no outstanding difference among them in their recognition of group size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As far as relevance with the development area is concerned, they recognize that 'circle time' is most closely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The more highly educated teachers have firmer recognition of this point. 2. It appears that the management of 'circle time' does not necessarily paralled the degree of teachers' recognition of such time. The management of the 'circle time' has taken substantial weight in their daily work and in many cases it is run by a large group. They mostly use the teaching method which stresses language and cognition development with teaching materials prepared by the teachers themselves. It has also been found that the content most widely used for the 'circle time' is subject-study of each unit. 3. The teachers recognize that the high proportion of children versus teachers is the biggest problem for the 'circle time'. Therefore, they suggest that a lowering of the children - teachers ratio be a prerequisite condition for effective 'circle time'. On the other hand, som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should recognize their lack of knowledge of teaching methods concerning 'circle time' and be reeducated for the necessary teaching metho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유치원의 일과운영과 이야기 나누기 시간 = 4 1. 유치원의 일과운영 = 4 2.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개념 및 의의 = 12 3.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내용 = 16 B.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운영 = 23 1. 집단의 크기 및 활동시간과 활동내용 = 23 2. 지도방법과 자료 = 27 Ⅲ. 연구방법 = 33 A. 연구대상 = 33 B. 연구도구 및 방법 = 34 C. 연구절차 = 35 D. 자료분석 = 35 Ⅳ. 결과 및 해석 = 37 Ⅴ. 논의 및 결론 = 55 A. 요약 및 논의 = 55 B. 결론 = 59 참고문헌 = 60 부록 = 64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156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이야기-
dc.subject교사-
dc.subject인식-
dc.subject운영실태-
dc.title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CIRCLE TIME' BY KINDERGARTEN TEACHER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