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온라인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성격 특성(Big-Five Personality Trait)의 예측력 검증

Title
온라인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 성격 특성(Big-Five Personality Trait)의 예측력 검증
Other Titles
Verification of the predictibility of Learner’s Big-Five Personality Trait on Online Leaning Ac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uthors
심혜진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명희
Abstract
Many scholars have been interested in examining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to predict learning performance. Claiming PPKI theory, Ackerman(1996) said that personal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knowledge and directly affected individual choices and maintenance of intellectual activities. Many studies have also suggested that learners' personality could have influence on learning and performance. Thus, it was identified that personality is a major variable to be considered as a predictor variable of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ng the level of learning and learning activities performing to learn. It has verified through several researchs that personality is composed of five factors: Neuroticism,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These five factors turned out to be a useful system to classify properties of personality. In particular, Costa and McCrea(1992) developed NEO PI-R Inventory to measure the five factors, which has been used in many studies that how personality have influence on learning and performance in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and business field. Although web-based learning, online lectures, and e-learning are being generalized and spread,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personality and online learning and performance and verification of the predictibility of learner’s personality on online learning and performance at home and abroad. Accordingly,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verification of the predictibility of learner’s Big-Five Personality Trait on online leaning ac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drawn. First, does the five factors of learners’ personality(Neuroticism,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predict online learning activities(task management activity, task performance activity, social activity, and nontask activity)? Second, does the five factors of learners’ personality(Neuroticism,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predict online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aiming at 67 students who took J Course in 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properties of personality, online learning activities and achievement were measured. NEO PI-R test was used as an inventory to measure properties of learners’ persona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measured through online learning activity of posting notices on a web-based board for team projects and web portfolios that they submitted at the end of a ter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revealed as the following: First, in case of online learning activity of task management, the result showed that Extraversion(β = .33) and Agreeableness(β = -.30) were positively and negatively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respectively(F(2, 64) = 6.33, p < .05), and these two factors are explained by 17%(R2 = .17). That is, as learners with bright personality are more extroversive showing a high amount of interaction, and as they have less agreeable showing less kindliness and obedience including reliance, gentleness and adaptation, they participate more in online learning activity of task management. Second, in case of online activity of task performance, Extraversion(β = .36) predicted achievement significantly(F(1,65), p < .05) by 13% of explanation(R2 = .13). It suggests that learners who are more sincere and confident, lead a life by design, make efforts to keep principles, and have a high desire for achievement and high autonomy would be more likely to engage in contents and forms necessary for performing task. Third, with respect to social activity, only Conscientiousness (β = .38) was a strategically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F(1,65) = 11.03, p = .001) by 15% of explanation(R2 = .15). In other words, learners who highly take part in activity, hold extroversion, bright personality and openness of trying out something creative and new would be likely to perform more social activities such as assessment and praise for their team or team members. Fourth, this study revealed that Agreeableness was a variable(β = -.38) to negatively predict nontask activities and Openness to Experience was a variable(β = .32) to positively predict nontask activities(F(2,64) = 8.21, p < .05), and these two factors are explained 21%(R2 = .21). Like previous experience, acquaintance with team members, technical problems, social statement which is not directly related to assignments and statement expressing contact with an arbitrator, in other activities which are classified as the major activity in online team activity even if they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assignment performance, extroversive learners participated in activities more actively and agreeable learners did not participated in nontask online activities positively. Fifth, in case of all of online learning activities, Conscientiousness(β = .40) and Agreeableness(β = -.30) were positively and negatively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respectively(F(2, 64) = 7.80, p < .05), and these two factors are explained by 20%(R2 = .20). That is, learners who highly take part in activity, hold extroversion, bright personality and openness of trying out something creative and new and less agreeable showing less kindliness and obedience including reliance, gentleness and adaptation, they participate more in online learning activities. Finally, Conscientiousness of learners’ personality predicted online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tly(F(1,65) = 5.31, p < .05). That is, the more sincere learners would be, the more achievement they would show(β = .28). Then, suggestions on subsequent studies were drawn from thes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learning activity by repeatedly conducting studies on which effects properties of personality would have on learning activity that will be actively progressed from now on. These studies will help predict personality of successful online learners, form effective high-quality learning environment and establish a guideline suitable for the relevant students. Second, it is needed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personality and online learning activity aiming at diverse ages and classes in depth and in detail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A study also should be carried out considering character of teams in online learning.;학습의 수행을 예측하는 개인차 변인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는 많은 학자들의 관심영역이 되어 왔다. 여러 개인차 변인 중 Ackerman(1996)은 PPKI이론을 통하여 성격은 지식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개인의 선택과 지적인 활동을 유지하는데 직접적인 작용을 한다고 하였고, 여러 연구에서 학습자의 성격이 학습과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성격 변인은 학습 결과를 평가하는 학업성취도와 학습이 일어나는 과정 즉, 학습활동에 대한 예측 변인으로, 학습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성격 변인은 불안정성(Neuroticism-Emotional Stability), 외향성(Extraversion-Introversion),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Closedness to Experience), 수용성(Agreeableness-Disagreeable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Lack of Conscientiousness)이라는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여러 연구결과를 통하여 검증되어왔고, 다수의 연구에서 성격의 5요인은 성격 특성들을 분류하기 위한 유용한 체계로 판명되고 있다. 특히, Costa와 McCrea(1992)는 5요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NEO PI-R 검사지를 개발하였고, 이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면대면 학습상황 또는 기업 현장에서 성격이 학습과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웹기반 학습, 온라인 강의, e-러닝이 점차 일반화되고 확산되는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학습과 수행에 대한 학습자 성격 요인의 예측력 검증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상황에서 학습활동과 학업 성취도에 대한 학습자의5가지 성격 요인의 예측력 검증을 연구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다섯 가지 성격 요인(불안정성, 외향성, 개방성, 수용성, 성실성)은 온라인 학습활동(과제 관리 활동, 과제수행 활동, 사회적 활동, 과제 외 활동)를 예측하는가? 둘째, 학습자의 다섯 가지 성격 요인(불안정성, 외향성, 개방성, 수용성, 성실성)은 온라인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E대학교 J과목을 수강하는 67명을 대상으로 5요인 성격특성과 온라인 학습활동,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학습자 성격 특성의 측정도구로는 NEO PI-R 검사를 사용하였고, 온라인상에 개설된 팀 프로젝트방 게시물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활동의 빈도 수를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학기말에 제출한 웹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 요인 중 성실성 요인이 전체 온라인 학습활동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β = .40), 수용성 요인이 전체 온라인 학습활동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β = -.30)으로 나타났고(F(2, 64) = 7.80, p < .05), 이 두 가지 성격 요인이 합하여 전체 온라인 학습활동을 20%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2 = .20). 즉, 성실하고, 자신감에 차있고, 계획적인 생활을 하고, 원칙을 엄격히 지키려 노력하고, 성취욕구가 높고, 자율성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또한 신뢰, 온순함, 그리고 순응을 포함하여, 온정과 복종을 덜 하는 학습자일수록 전체 온라인 학습활동에 더 활발하게 참여함을 나타낸다. 둘째, 성격 요인 중 외향성 요인(β = .33) 정적으로, 수용성 요인이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온라인 학습활동 중 과제관리 학습활동을 예측하는 변인(β = -.30)으로 나타났고(F(2, 64) = 6.33, p < .05) 이 두 가지 요인이 합하여 과제관리 학습활동을 17%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2 = .17). 즉, 활동수준이 높으며 명랑한 특성을 가진 외향적인 학습자이고, 신뢰, 온순함, 그리고 순응을 포함하여, 온정과 복종을 하는 덜 하는 수용성 성향이 낮게 나타나는 학습자일수록 과제관리 온라인 학습활동을 더 많이 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성격 요인 중 성실성 요인(β = .36)이 온라인 학습활동 중 과제수행 활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F(1, 65) = 9.70, p < .05) 과제수행 학습활동을 13%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2 = .13). 이는 성실하고, 자신감에 차있고, 계획적인 생활을 하고, 원칙을 엄격히 지키려 노력하고, 성취욕구가 높고, 자율성이 높은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 활동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성격 요인 중 성실성 요인(β = .38)이 사회적 활동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F(1, 65) = 11.03, p < .05), 이 요인은 사회적 활동을 15%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2 = .15). 즉,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활동수준이 높으며 명랑한 특성을 가진 외향성과 창의적이고 독창적이고 새로운 것을 시도하기 좋아하는 개방성을 지닌 학습자가 팀 또는 팀원에 대한 평가와 칭찬과 같은 더 적극적인 사회적 활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섯째, 성격 요인 중 수용성 요인이 온라인 학습활동 중 과제 외 활동을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β = -.38)이고 외향성이 과제 외 활동을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변인(β = .32)으로 나타났고(F(2, 64) = 8.21, p < .05), 이 두 가지 요인이 합하여 과제 외 학습활동을 21%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2 = .21). 이는 사전 경험, 팀원과의 면식, 기술적 문제점, 과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사회적 진술 또는 중재자와 접선을 표현한 진술과 같은 과제수행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온라인 팀 활동에서 주요 활동으로 분류될 수 있는 과제 외 활동의 경우, 외향적인 학습자가 더 적극으로 참여하고 수용적인 학습자일수록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성격 요인 중에서 성실성 요인이 학업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고(F(1, 65) = 5.31, p < .05), 성실성 요인이 온라인 학업성취도를 8%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2 = .08). 즉, 성실한 학습자일수록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인다고 예측할 수 있다(β = .28). 한편, 학습자의 다섯 가지 성격 요인이 온라인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와 온라인 학습활동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경로모형에 근거하여 온라인 학습활동을 매개로 한 학업성취도의 경로효과를 분해한 결과 매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학습이 활발하고 확산되는 시점에서 성격 특성이 온라인 학습에서의 학습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관계를 규명한 연구가 팀 프로젝트 학습뿐만 아니라 여러 온라인 학습상황에서 반복되어 시행될 필요가 있다. 이는 성공적인 온라인 학습자의 특성을 예측하고,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온라인 학습자에게 알맞은 효과적인 양질의 학습환경을 조성하고, 나아가 해당 학습자에게 알맞은 지침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학습자 성격과 온라인 학습활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보다 심층적이고 세부적이면서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겠다. 이 때, 개별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학습활동과 팀별로 이루어지는 온라인 학습활동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어떠한 학습활동이 성공적인 온라인 학습을 잘 수행하는데 있어 양적으로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어느정도 영향을 끼치는지 그 분야를 확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