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성, 기질 및 도덕적 자아의 관계

Title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성, 기질 및 도덕적 자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yle, children's gender, temperament and moral self
Authors
김윤희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만 5세 유아들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성, 기질 및 도덕적 자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방식에 관한 전반적 경향을 알아본 결과, 많은 어머니들이 자녀를 양육할 때에 논리적인 설명의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기질은 전반적으로 남아들이 여아들보다 활동성과 생리적 규칙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덕적 자아는 잘못한 행동 고백하기, 내면화된 행동, 잘못한 행동 사과하기 그리고 도덕적 자아의 총 점수에서 여아들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기질의 관계에서는 유아들의 반응성 기질은 어머니의 논리적 설명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즉, 유아들이 색이나 맛, 주변의 변화나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응성과,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할 때에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설명을 하는 양육방식이 정적인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방임의 양육방식은 남, 여 전체 유아들의 생리적 규칙성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도덕적 자아간의 관계에서는 반응성 기질이 유아들의 잘못한 행동 보상하기 그리고 감정이입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 여 유아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활동성 기질은 남아의 내면화된 행동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응성 기질은 여아들의 잘못한 행동 보상하기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여아들은 적응성 기질을 많이 가지고 있을 경우, 도덕적 규범에 대한 민감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냈다. 생리적 규칙성의 기질 변인은 여아들의 잘못한 행동 보상하기 그리고 감정이입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유아의 기질 특성과 더불어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결과는 도덕성 발달에 있어서 유아들의 내면화 과정은 성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낼 것이라는 예상과 일치되는 결과이다. 따라서 부모들은 자녀들을 양육할 때에 자녀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기질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나 성차에 따른 특성 또한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양육 방식과 유아의 도덕적 자아의 관계에서는 어머니의 양육 방식 유형 중에서 논리적인 설명의 방식만이 유아의 도덕적 자아 중에서 잘못한 행동 사과하기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남, 여 유아의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을 때에는 보다 구체적인 결과들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먼저 논리적 설명의 양육방식은 여아들의 도덕적 자아의 하위 범주 중에서 잘못한 행동 고백하기, 잘못한 행동 보상하기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남아의 경우에도, 부모들이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설명의 방식으로 자녀를 양육하였을 경우 남아들은 잘못한 행동에 대해서 사과하고자 하는 마음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강압적 양육방식은 남아들의 잘못한 행동 보상하기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방임의 양육방식은 여아들의 잘못한 행동 고백하기, 감정이입 그리고 잘못한 행동 보상하기와 부적인 상관관계에 있음을 나타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ies of mother's parenting style, children's temperament and moral self, and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yle, children's gender, temperament and moral self. The research subjects were 60, 5 year old children from kindergartens in Seou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interviewed the children individually to determine their moral self, and asked mothers to evaluate their parenting style and children's temperament on a scale from 1 to 4 according to their observation results in normal life. Children's temperament was assessed by using Revised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Cheon, 1993) based on the studies of Thomas and Chess(1977), parenting style was measured by the Parenting Style and Dimension(Lee, 2003) based on Calzada and Eyberg(2002), and children's moral self was assessed by the moral self measuring tool which was used in Kochanska(2002).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large amount of mothers reported that they used logical and rational explanations when they care their child,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other’s parenting style according to child’s gender. As for the temperament, boys had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and physiological regulation of temperament than girls. And girls were significantly high in confession, apology, internalized conduct and total score of moral self.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s high reactions and mother’s logical and rational explanations. And mother’s laxness was negatively relevant to child’s physiological regulation of temperament. Third, child’s reaction of temperam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child’s reparation and empathy of moral self. Boy’s higher activity was positively relevant to boys’ internalized conduct. And girl’s physiological regulation of temperamen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girl’s reparation and empathy of moral self. But girl’s adaptabi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girl’s sensitivity to violations of standard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logical and rational explanations and child’s apology of moral self. For girls, confession and reparation of moral self were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logical and rational explanations. Boy’s apology of moral self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logical and rational explanations. On the other hand, mother’s lax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girl’s confession, empathy and reparation of moral sel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