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2 Download: 0

「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활동에서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Title
「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활동에서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지식
Other Titles
Kindergarten Teachers' Scient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observation and planting(growth) seed activity」
Authors
이아름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scientific concept that understanding, educational objective, and operation process from 「observation and planting(growth) seed activity」. For th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t up. 1. What is teacher's understanding scientific concept in 「observation and planting(growth) seed activity」? 1-1. What is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concept's category in 「observation and planting(growth) seed activity」? 1-2. What is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eachers related variables (teaching experience and science lesson of pre-teacher)? 2. What is teacher's educational objective in 「observation and planting(growth) seed activity」? 3. What is teacher's process in 「observation and planting(growth) seed activity」? 4. What is teacher's estimation of 「observation and planting(growth) seed activity」? This research was accomplished by 20 kindergarten teachers with questionnaire, teachers educational plan, scientific activity observation, evaluation of question and interview.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regarding scientific concepts in 「observation and planting(growth) seed activity」appeared most highly 'growth of seed and the element which is necessary to a growth (95%)'. Then scientific concepts that teachers understanding next, wer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 (91.3%)', 'seed observation (90%)', 'seed a special quality (85%)', and 'structure and function of seed (73.3%). In the right answer rate about teachers related variables, percentage recording it appeared highly that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science lesson of pre-teacher is many. Second, 53 educational objectives were educed from the kindergarten teacher's educational objective about 「observation and planting(growth) seed activity」.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at teacher presented many, were 'seed observation (17 times)', and then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at teacher presented next, were 'learning the method which plant seeds (11 times)', 'plant seed (9 times)', 'learning the growth of the plant (9 times)' and 'interest it has in the plant (7 times)'. Third, it shared with contents composition, constructing environment and use of material and delivering contents it tried to observe process in 「observation and planting(growth) seed activity」. Kindergarten teachers constructed activity about life subject 'spring(plant)' and one day subject 'observe and plant seed'. Also, the teacher of 18 teachers of 20 teachers reflected to a educational objective in activity. But remaining 2 teachers neither presented educational objective nor reflected to a educational objective in activity. The reflection rate of the scientific concept which is included in activity appeared in 'growth of seed and the element which is necessary to a growth (53.5%)', 'seed a special quality (15.8%)',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 (14.9%)', 'structure and function of seed (12.3%)' and 'seed observation (3.5%). The reflection rate of the scientific concept about teachers related variables, an average frequency it appeared highly that their teaching experience is many. At constructing environment and use of material, kindergarten teacher have examine the stability of unnecessary or dangerous product when they progress the activity, and preferred summoned activity. As well as, scientific tools were used. Such as a beaker and a chalet that was used for effective science activity. Also, use of multi-media such as visual presenter, internet, and PPT with under consideration of quality of leaner who are early children, we develop and apply the studying material. At delivering contents reciprocal action is mostly used method of teaching. Following order was explaining, showing example, method of teaching discovery. The frequency order of scientific research process appeared as observing (44 times), predicting (32 times), measuring (22 times), reasoning (19 times), comparing / classifying (14 times), and debating (13times). Related to early children's scientific reaction, among teacher's feedback, explaining feed back (38 times) was highest, and the following orders were restatement feedback(23 times), correting and additional questioning feedback (17 times). Moreover, there was feedback (4 times) form of reserving toddler's reaction. Fourth, about 「observation and planting(growth) seed activity」 teacher’s evaluation has reached to the aim of education. Through concept of science, which should be treated essentially and by dividing the whole operation, the valuation showed that the 42.2% included educational aim and 52.8% didn’t included. Teacher considered at this activity an important concept that early children's should know were “seed grows” and “necessary elements for grouwh”. And teacher evaluated that educated these in the lesson. Teacher's assesment about activity the whole was 'lack of instruction and science content knowledge', 'in the early children scientific contents selecting which is suitable' and 'connection of activity and activity hour'.;본 연구는 「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 활동」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이해정도와 교육목표, 활동과정, 평가를 분석해 봄으로써 교사의 과학교수지식을 알아보고 과학교육에서 유아교사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이해정도는 어떠한가? 1-1. 「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에 포함된 과학적 개념의 범주별 교사의 이해정도는 어떠한가? 1-2. 교사의 변인(경력, 과학과목 수강경험)에 따른 교사의 이해정도는 어떠한가? 2.「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에서 나타난 교사의 교육목표는 어떠한가? 3.「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에서 나타난 교사의 수업과정은 어떠한가? 4.「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에 대한 교사의 평가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개념을 묻는 설문지, 교사의 교육계획안, 과학 활동 관찰, 평가 질문 및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 활동」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정도를 알아본 결과, ‘씨앗(식물)의 성장 및 성장에 필요한 요소’ 가 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식물의 구조 및 역할’ 91.3%, ‘씨앗관찰(도구-렌즈)’ 90%, ‘씨앗특성’ 이 85%, ‘씨앗구조 및 기능’ 이 73.3% 순이었다. 교사변인별 전체 정답률은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유아과학교육과 과학관련 과목을 모두 수강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 활동」에 나타난 교사의 교육목표는 계획안에 기술된 총 53개의 교육목표 가운데 ‘씨앗을 관찰한다’ 17회(32%), ‘씨앗 심는 방법을 안다’ 11회(20.8%), ‘씨앗을 직접 심어볼 수 있다’ 와 ‘씨앗(식물)성장에 대해 안다’ 가 각각 9회(17%), ‘씨앗(식물)에 관심을 갖는다’ 는 7회(13.2%) 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들은 본 활동의 주제와 관련하여 ‘씨앗 관찰’ 과 ‘씨앗 심기’ 에 대한 내용을 교육목표로 기술하고 있었으며, 씨앗을 관찰하고 직접 심어봄으로써 식물의 성장과정을 알아보고 식물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을 계획하고 있었다. 셋째, 「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 활동」에서 나타난 활동과정을 내용 구성, 환경 조성 및 자료 활용, 활동내용 전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내용 구성은 생활주제 ‘봄(식물)’ 과 일일주제 ‘씨앗 관찰 및 심기’ 와 관련하여 활동을 구성하였다. 교육목표와 활동과의 관계는 20명중 18명의 교사가 계획안에 제시된 교육목표를 수업에 반영하였으며, 나머지 2명은 지나치게 포괄적인 교육목표를 제시하였거나 제시한 교육목표가 본 활동에 반영되지 않았다. 활동에 포함된 과학개념의 반영정도는 ‘씨앗(식물)성장 및 성장요소(53.5%)’, ‘씨앗의 특성(15.8%)’, ‘식물의 구조 및 역할(14.9%)’, ‘씨앗의 구조 및 기능(12.3%)’, ‘씨앗관찰시 도구사용(3.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변인별 평균빈도수 분석한 결과,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과학적 개념을 활동에 반영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조성 및 자료 활용에서 유치원 교사들은 활동을 진행하는데 불필요하거나 위험한 물건을 체크했는지에 대한 안전성을 점검하였으며, 소집단 활동을 선호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과학 활동을 위해 돋보기와 비커, 샬레 등의 과학도구들을 사용하였고, 실물화상기, 인터넷, PPT 등 멀티미디어 활용과 함께 학습자인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활용하고 있었다. 내용 전달에서는 상호작용적 교수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설명적 교수법, 시범적 교수법, 지도발견학습법 순이었다. 과학적 탐구과정 활용의 빈도에서는 관찰하기(44회), 예측하기(32회), 측정하기(22회), 추론하기(19회), 비교 및 분류하기(14회), 토론(문제해결)하기(13회)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과학적 반응과 관련된 교사의 피드백에서는 설명 피드백(38회)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재진술 피드백(24회), 재질문 피드백(23회), 정오 피드백과 추가질문 피드백(17회) 순이었다. 또한, 유아 반응에 대해 보류하는 형태의 피드백(4회)도 발생하였다. 넷째, 「씨앗관찰 및 씨앗심기(성장)」활동에 대한 교사의 평가를 교육목표 달성, 활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과학개념 및 활동전반에 관한 평가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교육목표를 활동에 반영하였다는 평가가 47.2%,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평가가 52.8%로 나타났다. 또한, 본 활동에서 유아가 알아야 할 중요한 과학적 개념은 ‘씨앗(식물)은 성장한다’ 와 ‘씨앗(식물)성장에 필요한 요소 및 조건’ 이라고 하였으며, 실제 활동에서 역시 이 부분에 대한 개념들이 다루어졌다고 평가하였다. 교사들의 활동전반에 관한 평가로 ‘교수법 및 과학내용지식의 부족’, ‘유아에게 적합한 과학내용 선정’ 및 ‘활동시간 및 활동의 연계’ 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