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삼근-
dc.contributor.author오윤나-
dc.creator오윤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5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1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10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find the core competencies necessary for successful performance of tasks given to adults in the ag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o propose plans to support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competencies of adult learners. For these purposes, we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derived six core competencies (basic literacy competency, basic vocational competency, professional competency, job transition competency, civic consciousness competency, leisure culture competency) required to adults.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and necessity of the derived core competencies, we surveyed adult learners perception and investigated their participation in and demand for lifelong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On the other hand, we examined adult learners level of core competencies and determined whether the level was different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and whether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was different according to adult learners individual background and their level of core competenci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50 adult learners living in Seoul and recovered 76.9% of distribut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by adapting those used in previous research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x ²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ult learners perceived that the six core competencies were very critical to adults, and particularly appreciated the necessity of basic literacy competency highly. Basic vocational competency was perceived relatively highly by women, two&#8208;year college graduates and workers, professional competency by older adults, and job transition competency by young adults.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civic consciousness competency was recognized relatively less by early adults, elementary school graduates and low&#8208;income adults. The necessity of leisure culture competency was appreciated more by older adults. On the other hand, adults who had ever participated in lifelong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perceived the necessity of core competencies more highly. Second, to the questions of how to develop each core competency and what competencies Korean adults were deficient in, the participants replied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open a certain percentage of program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literacy competency and Korean adults were deficient in self&#8208;directed learning competency among basic vocational competency, competency for long&#8208;term planning and management of knowledge or technologies necessary in the future among job transition abilities, and the consciousness of community among civic consciousness abilities. In addition, 92.2% of the adult learners repli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lifelong learning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ing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and demand for lifelong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the most frequent motive for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was cultivation and self&#8208;development (44.1%), and 82.8% of the adult learners replied that experience in lifelong learning was helpful in developing abilities. Particularly as helpful items, they mentioned education methods combining field experiences with lectures in classroom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run by the government and local self&#8208;governing bodies. Of the adult learners, 90.2% repli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to improve their core competencies and hoped to participate in leisure culture education,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etc. In addition, obstacles to participation were lack of time, lack of information on programs, and the burden of cost.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dult learners level of core competencies, it was generally low in women, the middle&#8208;aged and old, those with low educational qualification, the unemployed and low&#8208;incomers.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x ² test for determin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experience in lifelong learning among adult learner groups divided by their individual backgrou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ll except the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basic vocational abilities (p<.05).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dult learners level of core competences, experience in lifelong learning was higher among those who perceived their level of basic literacy competency to be low and those who perceived their level of professional competency and leisure culture competency to be high,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erived and proposed four tasks to be promoted as a part of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future: Establish national standards and visions for core competencies in adults life, Provide various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in adult learners, Develop and offer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s for different age groups and Build a network and a support system amo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본 연구는 지식기반시대, 평생학습시대, 인적자원개발시대를 살아가는 성인이 삶의 현장에서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내는데 필요한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개인적 배경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역량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며, 향후 성인에게 필요한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평생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성인의 핵심역량 개발에 대한 국내외 연구사례들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성인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기초문해능력, 기초직업능력, 전문직업능력, 직업전환능력, 시민의식능력, 여가문화능력)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핵심역량의 필요성이 성인학습자의 개인배경(성, 연령, 학력, 취업상태, 소득)과 핵심역량 보유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각 핵심역량 육성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한편 성인학습자의 핵심역량개발을 위한 평생학습 참여 실태 및 요구를 확인하고, 성인학습자의 핵심역량 보유수준에 대한 인식이 개인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성인학습자의 개인 배경과 핵심역량 보유수준에 따라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참여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시에 거주하고 현재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450명을 대상으로 방문 조사와 우편 배부를 병행하는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고 최종적으로 사용한 설문지의 수는 346부로서 배포된 설문지의 76.9퍼센트에 해당한다. 사용된 검사 도구는 선행연구에서 활용한 문항들을 분석하여 발췌한 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x ² 검정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섯 가지 항목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성인학습자는 6가지의 핵심역량이 우리나라 성인들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기초문해능력은 성, 연령, 학력, 소득 등 개인적 배경과 거의 무관하게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기초직업능력은 여자, 전문대학 졸업자, 직장인에게서, 전문직업능력은 성인후기에 해당되는 61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직업전환능력은 성인전기에 해당하는 31-40세의 성인에게서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시민의식능력에 대해서 성인초기에 해당되는 30세 이하와 초등학교졸업자, 저소득 성인에게서 상대적으로 낮은 필요성을 보였다. 여가문화능력에 대해서는 성인후기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필요성을 보였다. 또한 역량개발을 위한 평생학습 참여경험이 있는 성인이 그렇지 않은 성인보다 핵심역량에 대한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각 핵심역량의 육성방안과 우리나라 성인에게 부족한 능력들에 대해 질문한 결과, 기초문해역량 육성을 위해 성인기초교육 프로그램을 교육기관에서 일정비율 이상 개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우리나라 성인들에게 부족한 핵심능력으로서 기초직업능력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직업전환능력에서는 미래에 대비해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장기적으로 계획·관리하는 능력을, 시민의식능력에서는 공동체의식을 가장 부족한 능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핵심역량 개발 중점지원 대상을 실직자, 저소득자 순으로 응답하였고, 성인학습자 92.2%가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평생학습에 참여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핵심역량 개발 차원에서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 실태와 요구를 조사한 결과, 1년간 참여한 학습은 1-2개, 소요비용은 10~30만원대가 가장 많았고, 교양 및 자기개발(44.1%), 직무향상, 전문경력향상(18.6%)을 위해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성인학습자의 82.8%가 평생학습 참여경험이 능력개발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고, 능력개발에 도움이 되었던 학습방법으로 현장경험과 교실수업이 결합된 형태를, 교육기관으로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교육기관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성인학습자의 90.2%가 자신의 부족한 핵심역량 향상을 위해 향후 평생학습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또한 시간의 부족과 학습정보의 부족, 비용의 부담이 학습참여시 장애요인으로 분석되었고, 89.8%가 장애발생 시 학습상담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을 보였고, 1:1 대면상담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다. 향후 참여를 선호하는 학습유형은 여가문화교육, 전문직업교육 등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인적자원개발시대에 성인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보유수준을 조사한 결과, 기초문해능력, 기초직업능력, 시민의식능력, 여가문화능력은 부족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간 높게 나타난 반면, 직업전환능력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성인학습자의 개인적 배경(성별, 연령, 학력, 취업상태, 소득)에 따라 핵심역량 보유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평균적으로 핵심역량 보유 수준이 높다고 응답한 그룹은 남자, 성인초기에 해당되는 31-40세, 대학교졸업 이상, 직장인, 300만원 이상인 집단으로 조사되었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여자, 중고령자, 저학력자, 실업자, 저소득자에게서 핵심역량 보유 수준이 낮게 평가되었다. 다섯째, 성인학습자의 개인 배경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경험에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x ² 검정을 한 결과, 기초직업능력 개발교육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수준 .05에서 개인 배경에 따라 학습참여 경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성인학습자의 핵심역량 보유 수준에 따른 평생학습 참여경험에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x ² 검정을 한 결과, 기초문해능력은 보유 수준을 낮게 인지하는 집단에서, 전문직업능력과 여가문화능력은 보유수준을 높게 인지하는 집단에서 참여경험이 많아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초문해능력 보유 수준이 낮은 성인이 기초문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며, 자신의 역량 보유 수준을 높게 인지하는 성인의 경우에 평생학습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성인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평생교육 및 인적자원개발의 과제로서 성인의 생애 핵심역량개발에 대한 국가차원의 표준설정 및 비전 제시, 성인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다양한 학습기회 마련, 역량개발 대상층에 맞는 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성인학습자 역량개발을 위한 지역 학습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과 같은 네 가지 주제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D.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인적자원개발과 평생교육 = 6 1.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 6 2. 인적자원개발의 제 관점과 교육 = 8 3. 인적자원개발과 평생교육 = 12 B. 핵심역량의 개념 및 역량개발의 중요성 = 14 1. 핵심역량의 개념 = 14 2. 핵심역량 개발의 중요성 = 16 3. 선진국의 핵심역량개발 범주 사례 = 18 4. 본 연구의 핵심역량범주 분류 및 내용 = 30 C. 선행연구 = 4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46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46 B. 조사도구 및 설문내용 = 48 C. 분석 방법 = 50 Ⅳ. 연구결과 = 51 A. 성인학습자 특성에 따른 핵심역량 필요성 인식 = 51 B. 성인학습자의 핵심역량개발에 대한 인식 = 65 C. 핵심역량개발을 위한 평생학습 참여실태 및 요구 = 70 D. 성인학습자 특성에 따른 핵심역량 보유수준의 차이 = 79 E. 성인학습자 특성에 따른 핵심역량개발교육 참여 경험 = 92 Ⅴ. 결론 및 제언 = 112 A. 결론 = 112 B. 제언 = 119 참고문헌 = 122 <부록> 성인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에 대한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설문지 = 128 ABSTRACT = 13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82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인학습자의 핵심역량 개발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dult Learners' Perception and Needs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dc.creator.othernameOh, Yun-Na-
dc.format.pagexi, 13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