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사회계층에 따른 어머니의 고등학생 자녀에 대한 대학진학포부와 교육적 지원

Title
사회계층에 따른 어머니의 고등학생 자녀에 대한 대학진학포부와 교육적 지원
Other Titles
Educational aspirations for university admission and educational supports according to social class of mothers with secondary schoolers : inhabits the City of Sungnam
Authors
김희순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욱환
Abstract
A class of society functions as a pivotal variable in research on social status attainment and stratification. In modern society, education opportunity, dispensed institutionally, and education level, acquired individually,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ost significant vehicles of socioeconomic inequality in the lifespan of an individual, who progresses from infancy through institutional education and social advancement(Blau and Duncan, 1967; Collins, 1979; Jencks et al., 1979). In a socioeconomic attainment of an individual, if family background is positioned in origin and occupational hierarchy and market outcome are positioned in destination, educational opportunity and its attainment can be seen to serve as an intermediary mediating both or decreasing a direct influence which the former has on the latter.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understand how much the difference of maternal factor as growth circumstances, an origin in a socioeconomic attainment of an individual, has an influence on education of dependent children. The paper demonstrates aspirations for schooling which children should receive and educational supports according to social class of mothers with secondary schoolers in City of Sungnam. The municipality has three boroughs; one of which, Bundang(new town), differs from the other two, Sujjung and Jungwon, noticeably in their establishment background and class distribution, and apparent conflict between the poor and the wealthy has been brought to light. Therefore, the study on education fever based on social class of the mothers in the city will be instrumental in unveiling the problems caused by differential education in the city; its publicity will lea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grave issue in the municipality, which will have more classified segments in terms of future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in Pangyo. In addition, the research finds how the mothers in the city recognize in schooling their offspring and frame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as well as supports. The research highlights three issues, which classify three differences in mothers' recognition of views on education based on social class, aspirations for university admission that mother expects based on social class, and educational supports from mother based on social class. To facilitate to verify these issues, a survey has been made from the mothers with 10-grade high schooler, who inhabits the City of Sungnam. For a survey, a stratified sampling has been conducted in three boroughs; Bundang, Sujung and Jungwon, and a questionnaire has been sent out to 630 mothers with high schoolers attending 6 schools extracted by wireless. The questionnaire collected amounted to 508, but 36, which guardians other than mother responded, and 31, the respondents did not responded to more than two questions in social class, an independent factor, and also more than five questions, has been omitted; total 441 of 508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data indeed. Paired t-test, test,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urkey's HSD have been selected as analysis tools in accordance with appropriateness of research assignments. The outline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turned out to show a district differences in recognizing their views on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social class to which their household belong. When a social level of the family are beyond the upper class, the perception of patriarchal education and academical education of mothers are showed the highest average. The second is the middle class and the third is the lower class. The total of mothers' views of instrumental education is also showed the highest level when a social level of the family is beyond the upper class. The second is also the middle class and the third is the lower class. However, an educational perception of nuclear families is showed the highest level when a social level of the family is beyond the middle class. The second is the upper class and the third is the lower class. The result of dispersal analysis according to a social level of the family of mothers' different educational perception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patriarchal education is showed a significant possibility of .009 and academical education is showed a significant possibility of .001. The resul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significant level of .01. The perception of academical affiliation i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is a significant possibility of .000 as a significant level of .001. The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assumption which is diversified factors (The perception of patriarchal education, competitive educational perception of nuclear families, the perception of academical education) of mothers' instrumental perception of education and the total point would be higher when a social class of the family is beyond the middle class. Because mothers of the upper class show higher sum of the perception of patriarchal education, competitive educational perception of nuclear families and the perception of academical affiliation. The result means that mothers beyond the Korean upper class has higher the perception of instrumental education than mothers beyond the Korean middle class who has been considered intensive people who instigate excessive educational competitions. Secondly, there are different mothers' expectations of entering the universities to their children in order to the social class. The assumption is qualified because the upper class mothers' the expectation of academical affiliation, the expectation of the school career and the expectation of entering the universities (The expectation of the school career + The expectation of academical affiliation) are showed the highest reality level and minimize level. The second is the middle class and the third is the lower class. The result has different part from the assumption because the assumption was predicted that ideal ambition of academical affiliation, ideal ambition of school career, and ideal ambition of entering universities (Ideal ambition of school career+ Ideal ambition of academical affiliation) would be high in every class. However, mothers of the upper class shows the highest, the second is the middle class and the third is the lower class. The research results are brought from that Korean mothers join in excessive educational competitions and they eager to provide higher educational levels than other mothers to their children. The mothers of the lower class are also the biggest differences between the ideal expectation of entering the universities and the real expectation of entering the universities. Finally, the mothers of the upper class want to acquire and provide higher educational quality and quantity to their children from their past educational experiences because they think education will be a great tool to inherit reasonable social and economic level to their children. Therefore, the mothers of the upper class form higher educational expectations than other class. The mothers of the middle class want their children to acquire higher educational level than themselves to join in the upper class but the expectation is lower than the mothers of upper class.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the lower class have a vague educational expectation people who have higher educational levels would be respected by others. However, it could be different from the real society. Third, there are different educational support in order to different social level.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mothers of the upper class have higher level of educational scenes and investigation of educational resources. The result means that the mothers of the upper class spend more money and time and they also spend more time to join in every educational scene deeply. The result shows that the mothers of the middle class did not bring excessive educational competition but the mothers of the upper class have the highest educational eager. At this time, the education is used as a reasonable tool to maintain their social class.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Korean middle class spent much time to work outside so they do not have enough educational time to their children. The mothers of the lower class also spend much time to work and they also have economic problems so they are harder to spend educational time to their children than the mothers of the middle class. Therefore, the mothers of the lower class cannot join in the educational scenes and they do not have enough money and time to spend to their children. The differences educational support of each social class bring educational and social inequality at the same time.;사회계층은 사회적 지위획득과 계층화 분야의 연구에서 중요한 변수이다. 현대사회에서 제도적으로 주어지는 ‘교육기회’와 개인이 획득하는 ‘교육수준’은 영·유아기, 학교교육, 사회 진출로 이어지는 개인의 생애과정에서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매개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간주되어왔다(Blau and Duncan, 1978; Collins, 1989; Jencks et al., 1979). 개인의 사회경제적 성취과정에서 가정환경[family background]이 출발점(origin)을, 직업적 지위획득과 성공[market outcome]이 목표점(destination)을 이룬다면 교육적 기회와 교육적 성취는 둘 사이를 매개하거나 전자가 후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을 한 단계 걸러주는 매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성취과정에서 출발점에 해당하는 성장환경으로의 어머니요인의 차이가 자녀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성남시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사회계층에 따른 자녀교육 포부와 교육적 지원에 관한 연구이다. 경기도 성남지역은 신시가지(新市街地)인 분당구와 구시가지(舊市街地)인 중원구․수정구의 성립배경과 계층분포가 확연히 달라, 빈부격차에 따른 갈등이 가시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지역이다. 따라서 성남시 어머니들의 사회계층에 따른 교육열에 관한 연구는 성남시라는 지역 안에서 발생하고 있는 교육격차의 문제를 표면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러한 쟁점화는 판교개발로 인해 향후 더 다양한 사회계층이 공존하게 될 성남시의 교육문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성남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사회계층에 따른 어머니들이 자녀교육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교육적 포부를 형성하며, 교육적 지원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날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문제는 세 가지로 구체화된다. 첫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어머니의 교육관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어머니가 자녀에게 기대하는 대학진학 포부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어머니의 자녀교육 지원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하여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분당구와 중원구․수정구로 층화표집한 후 무선으로 추출된 6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의 어머니 63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508부이지만, 이 가운데 어머니 이외의 보호자가 응답한 설문지 36부와 독립변인인 사회계층 문항에 2문항 이상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와 그 이외에 5문항 이상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 31부를 제외한 후 총 441부가 실제 자료분석 과정에 이용되었다. 연구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문제의 적절성에 따라 t검정, 검정, 일원분산분석(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사후비교분석[Turkey's HSD]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어머니의 교육관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가부장적 교육인식과 학벌중심 교육인식은 가정의 사회계층이 상층일 때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중층, 하층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도구적 교육관 총점도 가정의 사회계층이 상층일 때 가장 높고, 중층, 하층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핵가족 중심적 교육인식은 중층 가정의 어머니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상층, 하층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른 어머니의 자녀교육 인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부장적 교육인식과 학벌중심 교육인식은 유의확률 각각 .009와 .001로 유의수준 .01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학벌중심 교육인식은 유의확률 .000으로 유의수준 .001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가정의 사회계층이 중층일 때 어머니의 도구적 교육관의 하위변인들(가부장적 교육인식, 핵가족 경쟁적 교육인식, 학벌중심 교육인식)과 총점이 높을 것이라는 가정과 달리 핵가족 경쟁적 교육인식을 제외한 가부장적 교육인식, 학벌중심 교육인식과 도구적 교육인식 총점은 상층 어머니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 사회 중산층 어머니들이 교육의 도구적이고 외재적인 가치를 위하여 과도한 교육경쟁을 부추기고 있다는 인식과 달리 상층 어머니일수록 도구적 교육관은 높다는 사실을 시사해 준다. 둘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어머니가 자녀에게 기대하는 대학진학 포부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학력포부, 학벌포부, 대학진학포부(학력포부+학벌포부)는 현실적 수준, 최소 수준 모두 상층 어머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중층, 하층의 순서로 높게 나타나서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자녀에 대한 이상적 학력포부, 이상적 학벌포부, 이상적 대학진학포부(이상적 학력포부+이상적 학벌포부)는 사회계층과 상관없이 모든 어머니가 높게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가설과 달리 상층 어머니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중층, 하층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 사회의 모든 어머니들이 무한교육경쟁에 뛰어들면서 자신의 자녀가 가능하다면 무조건 최고 수준의 교육을 받기를 희망한다는 사회적 인식과 다른 결과이다. 또한 하층 어머니들은 이상적 대학진학포부와 현실적 대학진학포부 사이의 격차가 가장 크게 나타난다. 결국 사회계층이 상층인 어머니들은 자신이 교육받은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을 통한 사회경제적 지위획득의 가치를 잘 알고 있으므로 자신의 자녀가 질적․양적으로 더 높은 교육을 받아 현재 자신의 계층을 더 타당하게 물려줄 수 있는 기제로 교육을 획득하려고 한다. 따라서 상층 가정의 어머니들은 다른 사회계층의 어머니들보다 더 높은 교육포부를 형성한다. 이에 반해 중층 어머니들은 자신의 자녀가 자신보다 높은 수준의 교육을 획득하여 더 높은 사회계층으로 이동하기를 희망하지만, 상층 어머니보다는 그 정도가 약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하층 어머니들은 교육받아야 사람대접을 받을 수 있다는 막연한 교육기대를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기대는 현실과는 상당 수준 괴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가정의 사회계층에 따라 어머니의 자녀교육 지원에는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 상층 어머니가 교육장면, 교육투입자원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곧, 가정의 사회계층이 상층인 어머니가 자녀교육에 대하여 더 많은 시간과 금전을 투입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교육이 이루어지는 모든 장면에 깊이 개입하고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또 한국사회의 교육열이 중산층 어머니를 중심으로 과열되고 있다는 사회전반적인 인식과 대비되는 것으로, 결국 가정의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교육열도 높음을 알려준다. 그리고 이 때 교육은 사회계층을 유지하기 위한 타당성 부여 도구로 이용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반면 현재 한국 사회에서 중층 가정의 어머니는 대체로 전일제 전문직에 종사하며 맞벌이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녀교육에 개입할 시간적 여유가 상층 어머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하층 가정의 어머니는 가정의 경제상황으로 인해 시간제 취업이나 부업을 겸하고 있으나 경제적 현안으로 인해 자녀교육에는 시간적 투자가 어려우며, 경제적인 어려움은 금전적 투자마저 어렵게 한다. 따라서 하층 어머니는 교육장면에도 개입하지 못하고 있으며, 시간적․금전적 지원도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사회계층에 따라 자녀교육 지원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차이는 계층에 따른 교육불평등과 사회불평등의 원인인 동시에 결과가 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