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새롬-
dc.creator김새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8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72-
dc.description.abstractThe advance in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change of knowledge with the com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social systems and technology are bringing about various social changes. Such social changes are awakening those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accept these new changes and to continuously strive to work on various solutions to the challenges of change. This is especially evid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where e-Learning is expanding with chang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aradigm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However, the rapid activation of e-Learning has attracted criticism on its negative aspects and limitations, to which a solution needs to be given. At most, continu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develop an effective and efficient method to satisfy the various demands of learners. In response to the criticisms of e-Learning, Blended Learning has recently been rising as its educational solution. BL is a strategic learning process that takes a cost efficient approach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combining more than two various learning strategies, methods and technology to provide the ideal learning environment (Na Il Joo, Lim Chul Il & Lee In Sook, 2003). Interests in BL is proving it to be not only a mere form of combining online and offline learning methods, but also a strategy designed to extract the best learning effect through a combination of various learning elements such as learning purpose, method, time and space, activity, and media. Accordingly, this concept and field is currently expanding. Yet despite the fact that BL is widespread, there is a lack of related researches. Also strategies and methods in knowledge enhancement through BL fails to be specific and diverse (Song Mi Young & Yoo Young Man, 2004). This is especially so because of the history of BL, the activity of which was mainly centered around corporate education. Thus application of BL in K-12 education as well as studies in this area is scar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in secondary education. To prove this, the knowledge of Korean and literature, which require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iver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rom field of national standard Korean education was taken to assess th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the two groups,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and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The main focus of interest in this study is shown through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1.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between the tradtional off-line lecture group and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in relation to the field of knowledge of Korean? 2.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between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and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in relation to the field of knowledge of Korean? 3.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between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and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in relation to the field of literature? 4.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between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and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in relation to the field literature? To test the above topics of interest, the study selected 74 eighth grade students from T Middle School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ssessment selections for the fields of knowledge of Korean and literature were made prior to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n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was developed for both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and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application group, which was followed by a three week lesson. To measure th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both student groups, a satisfaction level assess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assessment were developed and performed according to each field and group. Data collected from these assessments were analyzed through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and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in relation to the field of knowledge of Korean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 = 2.58, p < .05. Therefore,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prov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each field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level in the area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interaction, interest and motivation.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offline lecture group and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in relation to the field of knowledge of Korean, t = 2.45, p < .05. Accordingly,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prov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Third, in relation to the field of literature,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between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and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t = 2.18, p < .05.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each field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 field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interaction, interests and motivation was higher. Finally, in relation to the area of literatu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and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when assessed by the formative assessment and performance assess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formative evaluation: t = 2.18, performance assessment: t = 2.14, p < .05. Therefore,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in students in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prov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achievement in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group. The area showing the highest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students of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group was creative education, an area of much debate due to its importance in education of literature, which can be concluded as being a topic to be focused on in respect to education of expression skills. The application of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in the fields of knowledge of Korean and literature provide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in comparison to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method is more effective in the education of knowledge of Korean and literature. Such results reveal the shortcomings of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method in the areas of knowledge of Korean and literature while presenting a solution to such problems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and thu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demands of students for a reform in the cur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is study allowed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to be redefined as the strategic learning process that provides the ideal learning environment with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two diverse learning strategies, methods and skills. Further, it also proved that BL application is not only effective in corporate education, around which it was activated, but also proved to show positive influences in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in K-12 education, thus supporting the need for BL in K-12 education.;21세기에 접어 들면서 정보량의 증가와 지식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사회 체제와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의 양상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고, 이에 대응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와 노력들이 끊임 없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교수&#8729;학습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테크놀러지의 발전에 따라 e-Learning이 확산되었다. 그러나 e-Learning이 급속하게 활성화되면서 그에 따른 단점이나 한계점도 지적되었고, 이를 극복하고 최대한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려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e-Learning에 대한 비판 여론과 함께 대안적인 학습 형태로 Blended Learning(이하 BL)이 주목 받고 있다. BL은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비용 효과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다양한 학습 전략과 학습 방법 및 기술들을 결합하여 학습과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는 전략적 학습 과정(learning process)이다(나일주, 임철일, 이인숙, 2003). BL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BL은 단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만을 결합하는 형태가 아니라 학습 목표, 학습 방법, 학습 시간과 공간, 학습 활동, 학습 매체 등의 다양한 학습 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최상의 학습 효과를 도출해 내기 위한 설계 전략으로 그 개념과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BL이 활성화 되는 것에 반하여 이에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이를 통한 지식창출 전략과 방법은 그 구체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송미영, 유영만, 2004). 특히, BL이 기업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활성화 되었기 때문에 학교 교육 차원에서의 BL 전략의 적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인 국어과 영역 중 다양한 교수&#8729;학습 방법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되는 국어 지식 및 문학 영역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에 따른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를 비교&#8729;분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국어 지식 영역에서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과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 간에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가? 2. 국어 지식 영역에서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과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 간에 성취도의 차이가 있는가? 3. 문학 영역에서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과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 간에 학생들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4. 문학 영역에서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과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 간에 성취도의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T중학교 2학년 학생 7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국어 지식 및 문학 영역의 학습 단원을 선정한 후, 각 영역별로 기존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과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의 교수&#8729;학습설계안을 개발하여 각각 3주간, 총 6주간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만족도 검사지와 성취도 검사지를 개발하여 집단별로 검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지식 영역의 수업 만족도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72) = 2.58, p < .05. 따라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집단의 수업 만족도가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 집단의 만족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만족도를 비교&#8729;분석한 결과에서는 교수&#8729;학습활동, 상호작용, 흥미 및 동기 영역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어 지식 영역의 성취도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72) = 2.45, p < .05. 따라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집단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 집단의 학업 성취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학 영역의 수업 만족도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72) = 2.18, p < .05. 따라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만족도가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 집단의 만족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만족도를 비교&#8729;분석한 결과에서는 교수&#8729;학습활동, 상호작용, 흥미 및 동기 영역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학 영역의 형성평가 성취도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72) = 2.18, p < .05. 그리고, 수행평가 성취도에서도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72) = 2.14, p < .05. 따라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집단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 집단의 학업 성취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행평가 결과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집단의 학생들의 더 높은 성취도를 보인 것은 최근 문학 교육학계에서 중요하게 논의되는 것 중의 하나인 창작 교육, 즉 표현 능력 교육 측면에서 볼 때 주목할 만하다. 위와 같이 국어 지식 및 문학 영역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국어 지식과 문학 영역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기존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보다 효과적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국어 지식과 문학 영역에서 기존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BL 전략 활용 수업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교수&#8729;학습 방법의 다양화와 교수&#8729;학습의 질적 개선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21세기에 접어 들면서 정보량의 증가와 지식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사회 체제와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의 양상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고, 이에 대응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와 노력들이 끊임 없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교수&#8729;학습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테크놀러지의 발전에 따라 e-Learning이 확산되었다. 그러나 e-Learning이 급속하게 활성화되면서 그에 따른 단점이나 한계점도 지적되었고, 이를 극복하고 최대한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려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e-Learning에 대한 비판 여론과 함께 대안적인 학습 형태로 Blended Learning(이하 BL)이 주목 받고 있다. BL은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비용 효과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다양한 학습 전략과 학습 방법 및 기술들을 결합하여 학습과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는 전략적 학습 과정(learning process)이다(나일주, 임철일, 이인숙, 2003). BL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BL은 단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만을 결합하는 형태가 아니라 학습 목표, 학습 방법, 학습 시간과 공간, 학습 활동, 학습 매체 등의 다양한 학습 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최상의 학습 효과를 도출해 내기 위한 설계 전략으로 그 개념과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BL이 활성화 되는 것에 반하여 이에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이를 통한 지식창출 전략과 방법은 그 구체성과 다양성 측면에서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송미영, 유영만, 2004). 특히, BL이 기업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활성화 되었기 때문에 학교 교육 차원에서의 BL 전략의 적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 공통 기본 교과인 국어과 영역 중 다양한 교수&#8729;학습 방법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되는 국어 지식 및 문학 영역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에 따른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를 비교&#8729;분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국어 지식 영역에서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과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 간에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가? 2. 국어 지식 영역에서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과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 간에 성취도의 차이가 있는가? 3. 문학 영역에서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과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 간에 학생들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4. 문학 영역에서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과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 간에 성취도의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T중학교 2학년 학생 7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은 국어 지식 및 문학 영역의 학습 단원을 선정한 후, 각 영역별로 기존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과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의 교수&#8729;학습설계안을 개발하여 각각 3주간, 총 6주간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만족도 검사지와 성취도 검사지를 개발하여 집단별로 검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지식 영역의 수업 만족도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72) = 2.58, p < .05. 따라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집단의 수업 만족도가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 집단의 만족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만족도를 비교&#8729;분석한 결과에서는 교수&#8729;학습활동, 상호작용, 흥미 및 동기 영역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어 지식 영역의 성취도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72) = 2.45, p < .05. 따라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집단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 집단의 학업 성취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학 영역의 수업 만족도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72) = 2.18, p < .05. 따라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만족도가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 집단의 만족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만족도를 비교&#8729;분석한 결과에서는 교수&#8729;학습활동, 상호작용, 흥미 및 동기 영역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학 영역의 형성평가 성취도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72) = 2.18, p < .05. 그리고, 수행평가 성취도에서도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 적용 수업 집단과 기존의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t(72) = 2.14, p < .05. 따라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집단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 집단의 학업 성취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행평가 결과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 집단의 학생들의 더 높은 성취도를 보인 것은 최근 문학 교육학계에서 중요하게 논의되는 것 중의 하나인 창작 교육, 즉 표현 능력 교육 측면에서 볼 때 주목할 만하다. 위와 같이 국어 지식 및 문학 영역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국어 지식과 문학 영역에서 BL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기존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보다 효과적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국어 지식과 문학 영역에서 기존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BL 전략 활용 수업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교수&#8729;학습 방법의 다양화와 교수&#8729;학습의 질적 개선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x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1. Blended Learning = 5 2.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 5 3. 국어 지식 = 5 4. 문학 = 5 5. 만족도 = 6 6. 성취도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국어과 교육의 이해 = 7 1. 국어과의 성격 = 7 2. 국어과의 목표 = 8 3. 국어과의 내용 및 체계 = 9 4. 국어과 교수&#8729;학습 방법 및 모형 = 14 5. 국어교육 관련 학문의 최근 동향 = 26 B. Blended Learning = 30 1. Blended Learning의 등장 배경 = 30 2. Blended Learning의 개념 및 범위 = 31 3. Blended Learning의 유형 = 33 4. Blended Learning의 특성 및 기대 효과 = 39 5. Blended Learning의 실시 현황 및 사례 = 44 6. Blended Learning 관련 선행 연구 = 47 Ⅲ. 연구 방법 = 56 A. 연구 대상 = 56 B. 연구 도구 = 56 1. Blended Learning 전략 적용 수업을 위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 = 56 2. Blended Learning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 학습 모형 = 58 3. 모형 적용에 따른 교수&#8729;학습 설계안 = 60 4. 온라인 튜터로서의 교사 역할 매뉴얼 = 61 5. 검사도구 = 64 C. 연구 절차 = 68 1. 실험 준비 단계(1-3주차) = 69 2. 본 실험 단계(4-9주차) = 70 D. 자료분석 방법 = 72 1. 국어 지식 영역에서의 수업 유형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 72 2. 국어 지식 영역에서 수업 유형에 따른 성취도의 차이 = 72 3. 문학 영역에서 수업 유형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 72 4. 문학 영역에서 수업 유형에 따른 성취도의 차이 = 73 Ⅳ. 연구 결과 = 74 A. 국어 지식 영역에서 수업 유형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 74 1. 학습 내용 영역 = 75 2. 학습 과제 영역 = 76 3. 교수&#8729;학습활동 영역 = 76 4. 상호작용 영역 = 77 5. 흥미 및 동기 영역 = 78 B. 국어 지식 영역에서 수업 유형에 따른 성취도의 차이 = 79 C. 문학 영역에서 수업 유형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 80 1. 학습 내용 영역 = 81 2. 학습 과제 영역 = 81 3. 교수&#8729;학습활동 영역 = 82 4. 상호작용 영역 = 82 5. 흥미 및 동기 영역 = 83 D. 문학 영역에서 수업 유형에 따른 성취도의 차이 = 85 Ⅴ. 결론 및 제언 = 86 A. 결론 = 86 B. 연구의 제한점 = 91 C. 제언 = 92 참고문헌 = 94 부록 = 102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19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대학원 교육공학과-
dc.title중등 국어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 전략을 활용한 커뮤니티 기반 탐구학습 모형의 효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search for effectiveness of community based inquiry learning model utilizing Blended Learning strategy in secondary education-
dc.format.pagexiii, 118-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