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정주-
dc.creator안정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8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7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86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ch and how far kindergarten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changed over the years and to analyze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relating to those changes. Also we reviewed the revised contents of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objects and further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wo countries, we tried to establish useful database that can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our future kindergarten curriculum. Followings are the research questions that we selected for the study. 1. How have related regulations and the education programs been changed over the years? 2. What is the main principle lying under the current reform process of kindergarten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How are the reform processes going right now? What are the most important contents undergoing changes? 3. What are the main contents, areal objects, and structures of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was made mainly based upon literature research, analyzing 6th edition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nounced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handbook, and the 1998 reformed guidelines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nounced by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handbook. In addition theses related to kindergarten curriculum or kindergarten curriculum overall, research papers, books, magazines dealing with related subjects, various conference records of the governments,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fter an extensiv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we've found following results. First,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Korea are mostly based upon the constitutional laws, the general educational laws, and Law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s. Similarly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Kindergartens in Japan are based on the constitutional laws, the general educational laws, and Law of School Education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s. These laws provide the legal ground for the idea of education, its objects and goals, and necessity of education process, and also regulates details such as school days and students ages. From the comparison of legal grounds in both country, we found similarity of the legal systems in both country generated the similarity of educational structure and curriculums in turn. Kindergarten curriculum have been reformed many times, actually 5 times in Korea and 4 times in Japan, based upon such legal grounds over the years. However while Korea has tried to introduce various advanced educational trends into our system and develop our own unique programs for those years, Japan has managed to maintaine her initial principles persistently until now. Second, although the current reform process started at the similar time and is going through similar process different organizations have been leading the whole reforming operations in both countries. In Korea since the 5th edition of Kindergarten education curriculum,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been taking responsibility for developing new curriculums at the request of Ministry of Education. But in Japan, Advisory Board of Education Curriculum and Central Advisory Board of Education, two main advisory organizations of Ministry of Education have been leading the reform process. However despite of such minor differences, the reformed programs in two countries have a lot in common. At the door step of 21C they similarly emphasize ethics and basic life rules rather than a good score on an exam or acquiring knowledge, and actively respond to ever changing social demands, which in Korea appears in support of flexible time management of day care centers such as day-long or extended open hours, and in Japan in official acknowledgement of additional roles of day care centers as azukari program providers or care supporting centers. Third, the kindergarten curriculum of both countries roughly can be divided into 2 large parts; design and management of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process, which again can be divided into 5 sub areas. These five areas are 'physical health' and 'health', 'social relationships' and 'human relationships', 'expression' and 'expression', 'language' and 'language', 'inquiry' and 'environment'. From the comparison of educational contents of each area, we found that while overall objects and structure are quite similar, there exists slight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Korean curriculum is structured to provide level specific contents including detailed information and emphasizing cognitive skills. On the other hand Japanese curriculum is focusing on cultivating strong wills, desirable attitudes, and mentality, and provides only general directions.;본 연구는 한일의 첫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이 제정된 해를 기준으로 한국의 경우 1969년 이후, 일본의 경우 1948년 이후의 유치원 교육과정 성립 및 변천을 알아보고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배경으로 구성되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유치원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개정 중심 내용을 살펴 현행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특징과 목표하는 바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한일의 현행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앞으로 우리나라의 유치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 관련법규 및 변천과정은 어떠한가? 2. 현행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과 개정방향 및 중점내용은 어떠한가? 3. 현행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체계와 영역별 목표 및 내용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써 주요 분석 대상은 한국의 교육부 고시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그리고 일본 문부성 고시 1998년도 유치원 교육요령과 유치원 교육요령 해설서이다. 이외에도 한일의 유치원교육과정과 관련이 있는 유아교육과정 및 교육과정에 관한 학위논문, 연구논문, 단행본, 교육관계 잡지, 정부 회의기록, 법률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유치원교육과정은 헌법과 교육기본법, 유아교육법과 동법시행령, 일본의 유치원교육요령은 헌법과 교육기본법, 학교교육법, 동법 시행령에 관련되어 있다. 이 관련 법규들은 교육의 기본이념, 유치원교육의 목적 및 목표, 수업일시 및 수업대상 연령, 교육과정의 근거 등을 뒷받침해주고 있으며, 한일의 유치원교육과정 관련 법규의 유사성이 유치원 교육과정의 유사성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법규를 근거로 한일의 유치원 교육과정은 한국은 5차례 개정, 일본은 4차례의 개정을 겪어왔으며, 한국의 경우 선진국의 다양한 교육사조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정에 응용ㆍ발전시켜왔으며 일본은 보육요령 제정 후 큰 변화 없이 일관된 교육이념 아래 교육과정이 변천되고 있다. 둘째, 현행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개정시기와 개정 과정은 비슷하나, 개정의 주체에는 차이가 있다. 한국은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교육부가 교육과정의 개정을 한국유아교육학회에 위탁하고 있으나 일본은 문부대사의 자문기관인 교육과정심의회와 중앙교육심의회에서 교육과정의 개정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양국 모두 정보화 · 세계화의 21세기를 앞두고 교육과정의 개정을 하면서 지식 위주의 교육 보다는 도덕성 및 기본생활 습관의 강조를 하고 있으며, 다양한 사회의 요구에 따라 한국의 경우 종일반, 시간연장제 등의 다양한 시간 운영을 지원하고, 일본의 경우 아즈까리 교육이나 양육지원센터로서의 역할을 명시하는 등 사회의 분위기와 요구를 수용하고자 하였다. 셋째,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체계는 크게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교육과정의 영역으로 크게 2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교육영역을 5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건강생활’과 ‘건강’, ‘사회생활’과 ‘인간관계’, ‘표현생활’과 ‘표현’, ‘언어생활’과 ‘언어’, ‘탐구생활’과 ‘환경’의 내용을 비교해 보면, 전반적인 목표와 내용은 비슷하지만, 한국은 내용의 구성에 있어 수준별 제시를 하여 일본에 비해 상당히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인지적 측면이 강한데 반해, 일본은 의욕이나 태도, 심성을 기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내용 제시를 포괄적으로 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및 문제 = 4 C. 연구 방법 = 5 Ⅱ.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관련법규 및 변천과정 = 6 A.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관련법규 = 6 1. 한국 유치원 교육과정 = 6 2. 일본 유치원 교육요령 = 10 3.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관련법규 비교 = 12 B.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 = 17 1. 한국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 = 17 2. 일본 유치원 교육요령의 변천 = 24 3.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비교 = 33 Ⅲ. 현행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과 개정 방향 및 중점내용 = 34 A. 현행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 개정의 과정 = 34 1. 한국 유치원 교육과정 = 34 2. 일본 유치원 교육과정 = 36 3.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개정 과정의 비교 = 40 B. 현행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및 중점내용 = 43 1. 한국 현행 유치원 교육과정 = 43 2. 일본 현행 유치원 교육과정 = 45 3.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및 중점내용 비교 = 50 Ⅳ.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체계 및 영역별 목표와 내용 = 52 A.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체계 = 52 1. 한국 유치원 교육과정 = 52 2. 일본 유치원 교육과정 = 54 3.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체계 비교 = 55 B. 한일 유치원 교육과정의 영역별 목표와 내용 비교 = 57 1. ‘건강생활’과 ‘건강’ = 57 2. ‘사회생활’과 ‘인간관계’ = 60 3. ‘표현생활’과 ‘표현’ = 63 4. ‘언어생활’과 ‘언어’ = 66 5. ‘탐구생활’과 ‘환경’ = 68 Ⅴ. 논의 및 결론 = 71 A. 논의 = 71 B. 결론 및 제언 = 77 참고문헌 = 80 부록 = 86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52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일 유치원 교육과정 비교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tical comparison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dc.creator.othernameAhn, Jung-Joo-
dc.format.pagex,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