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버들 유치원 만 5세 유아가 역할놀이영역에서 경험하는 수학활동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Title
버들 유치원 만 5세 유아가 역할놀이영역에서 경험하는 수학활동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athematical activities in role playing of Five-Year Old Kindergarten Children: An Ethnographic Study
Authors
김보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children experience the mathematical activities at role playing in kindergarten by means of ethnographic study. The researcher intends to analyze contents of mathematical activities they experience by menas of such plays and mathematic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flow of role playing. To meet the above purpose, three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How do the children experience mathematical activities at the role playing? 2. What kind of mathematical activities do children experience at the flow of role playing? This study was carries out in a class of five-year old children, within a Buddel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 subiect were thirty children and one teach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wenty five participating observations, two formal teacher-interview and unformal child-interview by inquiry during a period from June 20, 2005 to September 9, 2005. Data were collected field jotting, audio-tape recording, documental collection, photographing, and video-tape recording. The content of field jotting, audio-tape and video-tape recording were transcribed in field notes, and the contents of interview were duplicated and materialized. While collecting the data, analytical notes about the data were written. After the collection was completed, full-scal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carried out. The cases were 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according to Bodgan & Biklen(1992)'s methodology.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s have been concluded. First, children experience variety of mathematical contents through role playing.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oys or situation, children sort out the toys with appropriate categorization. Children show two types of ordering either by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oys such as their volumes or lenth or by the relationship in the role playing. Also, children go through mathematical process in counting or numbering toys and basic calculation with money in certain role playing. They have been offered of opportunity of approximation when setting up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also been offered of the chance to express verbally in words the measurements they attained with measuring tools. In addition, children acquire basic concept of space in defining the physical space available for certain roles and in conversation with other children regarding those spaces, they also learn how to express in words the spaces and geometry. In placing the toys according to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children experience the concept of patterns, which is also learned when ordering what to play first. Statistics is another part of mathematics that children experience mostly when deciding or assigning roles. Secondly, children experience various mathematic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flow of role playing. More specifically, children experience categorization, ordering, spacing, statistics, etc. according to the them of role playing and in role assigning. Role playing has flows and multiple mathematical activities are immanent in these flows. For so, children, just by following these flows, naturally encounter manifold mathematical activities. Also in the cleaning flow after the play, children show certain patterns of ordering toys by classification, measurement, and comparison.;본 연구의 목적은 역할놀이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수학활동을 이해하는데 있다. 따라서 버들 유치원 만 5세 유아들이 역할놀이에서 경험하는 수학내용과 놀이 과정에 따른 수학활동에 대해 문화기술적 방법을 통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산들반 유아들은 역할놀이에서 어떠한 수학내용을 경험하는가? 2. 산들반 유아들은 역할놀이의 놀이 과정에 따라 어떠한 수학활동을 경험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D구에 위치한 버들유치원 내 만 5세 반 학급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이 학급 유아 30명과 교사 1명이었다. 본 연구는 2005년 6월 20일부터 2005년 9월 9일까지 총 25회 참여 관찰과 총 2회의 형식적인 교사면담, 비형식적인 유아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현장약기, 녹음, 문서 자료 수집, 사진촬영, 비디오 촬영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현장약기와 녹음, 녹화 내용은 현장노트로 만들었으며, 면담자료는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1992)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놀이를 통해서 유아들은 다양한 수학내용을 경험하였다. 유아들은 제시된 놀잇감의 물리적 특징, 또는 놀이 상황에 따라 놀잇감을 적절한 기준에 따라 구분하는 분류 활동을 경험하였다. 서열화의 활동은 분류 활동과 비슷하게 놀잇감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크기나, 길이 등을 비교하여 놀잇감 사이의 순서를 정하는 서열화 활동과 역할 관계에 따른 서열화 활동이 나타났다. 자신에게 필요한 놀잇감의 개수를 세거나 놀잇감의 순서를 정하면서 유아들은 수세기 활동과 서수 활동을 하였고, 역할놀이 속에서 돈을 사용하면서 유아들은 수의 관계와 함께 연산 활동에 대한 기초 활동을 경험하고 있었다. 역할놀이의 주제에 맞게 환경을 구성하면서 유아들은 어림 측정의 기회를 경험할 수 있었고, 주제에 따라 제시된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형식적 측정에 대한 활동과 함께 측정 단위를 언어로 표현해 보는 경험을 하였다. 유아들은 역할놀이에서 놀이 공간을 구분하며 공간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인식할 수 있었고, 놀이를 위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공간과 기하에 대한 다양한 언어 표현을 사용하고 있었다. 놀잇감의 물리적 특징에 따라 이를 순서 있게 배열하며 패턴 활동을 경험하였고, 놀이의 순서를 정하기 위해 패턴 활동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통계 활동 역시 역할놀이의 역할을 맡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놀이 속 상황을 진행하면서 통계 활동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둘째, 역할놀이의 놀이 과정에 따라 유아들은 특색있는 수학활동을 경험하였다. 역할놀이의 주제와 주제에 따른 역할을 정해 나가면서 유아들은 분류, 서열화, 공간, 1:1 대응 등의 수학활동을 경험하였다. 역할놀이는 주제에 따라 일정한 진행 과정을 보이게 되는데 그 일련의 과정에는 다양한 수학활동이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유아들은 주제에 따른 놀이를 자연스럽게 진행해 가는 과정만으로 풍부한 수학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놀이를 끝내는 정리 시간에도 유아들은 분류활동을 토대로 측정, 놀잇감의 크기 비교 등의 수학활동을 통해 놀잇감을 정리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