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진아-
dc.creator김진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7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6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ies of children's moral judge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and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e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The research will look at the following proble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are the general tendencies of children's moral judge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moral judgement? 2)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moral emotions? 3)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moral behavior?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judge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judgement and moral behavior?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judgement and moral emotion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37, 5 year old children from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interviewed the children individually to determine their moral judgement and moral emotions, and asked teachers to evaluate their moral behavior on a scale from 1 to 5 according to their observation results in normal life. Based on the studies of Nucci and Turiel(1978), Smetana(1981, 1985), Song (1987), Fowler(1994) regarding an children's moral judgement, we used the study of Choi, Bo-ga · Song, Mi-hwa(1997). We adopted the empathy/sympathy measuring tool which was used in the study of Spinrad, Losoya and Eisenberg(1999) and the shame/guilt measuring tool which is used in the Tjeert Olthof (2000). Also an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was performed for the data analysis to see the general tendencies. Pearson Correlation was also perform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judgement, moral emotion and moral behavior.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judge the moral and conventional rules by using 4 criterion judgements such as seriousness, rule contingency, generalizability and punishment. children highly feel shame and guilty for violating the rules, and in the kindergarten which has a higher score of moral behavior which were evaluated by teachers, children follow the moral rules and conventional rules pretty well. Second, we discovered that the moral judge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were interrelated. children's moral behavior was related to the rule contingency, generalizability which are the inner conformity among the moral judgement, however, it was not related to the seriousness and punishment which are the outward confirmity. An children's moral behavior is highly related to the positive moral emotions, but it was not related to the negative moral emotion. Positive moral emotions are related to the rule contingency, generalizability which are the inner conformity among the moral judgement, however, negative moral emotion was highly related to the seriousness and punishment which are the outward confirmity. In the above results, children distinguish the moral and conventional rules. Also moral judgement, moral emotion and moral behavior were very related in each rang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judge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children's morality. This means that when the positive emotional education is provided to children, so they can feel the proper emotion in the proper moral situation and when they are educated the moral and convention concept then, children can be motivated to behave morally.;본 연구는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1)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의 도덕적 감정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3) 유아의 도덕적 행동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1)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의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감정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1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감정은 유아와의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측정하였고, 도덕적 행동은 해당 학급의 교사가 평소의 유아의 행동에 대한 관찰 결과를 중심으로 5점 척도로 행동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은 최보가와 송미화(1997)가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도덕적 감정은 Spinrad와 그의 동료들(1999)의 연구에서 사용한 공감/동정 측정도구와 Olthof와 그의 동료들(2000)의 연구에서 사용한 수치심/죄책감 측정도구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자,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유아들은 심각성, 규칙독립성, 보편성 및 응분의 벌의 4가지 준거를 모두 사용하여 도덕적 규칙과 인습적 규칙을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들은 인습규칙보다 도덕규칙을 위반하는 것이 더 나쁘고 엄한 벌을 받아야 하는 것으로 판단했고, 인습규칙보다 도덕규칙을 규칙이 없어도, 시대나 장소에 관계없이 지켜야 하는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도덕적 감정의 경우 만 5세 유아들은 전반적으로 도덕적 감정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정적 감정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도덕적 행동의 경우 교사는 유치원에서 유아들이 도덕적 규칙과 인습적 규칙을 비교적 잘 준수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도덕적 영역에서의 유아의 행동은 도덕적 판단 준거 중 보편성 준거와 관계가 있었다. 인습적 영역에서의 유아의 행동은 도덕적 판단 준거 중 규칙독립성 및 보편성 준거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덕적 행동은 외적인 준거인 심각성이나 응분의 벌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유아의 도덕적 행동은 긍정적인 도덕적 감정과 관계가 있었다. 특히 공감보다 동정이 도덕적 행동과 인습적 행동 모두에서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정적인 도덕적 감정인 수치심과 죄책감은 도덕적 행동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긍정적인 도덕적 감정은 도덕 판단에서 내적 준거들, 규칙독립성 및 보편성 준거와 관계가 있었다. 또한 부정적 감정은 전반적으로 외적 판단준거인 심각성과 응분의 벌 준거와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유아는 도덕적 영역과 인습적 영역을 폭넓은 준거를 사용하여 구분하였고, 각 영역에서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은 서로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유아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자 한다면 도덕성의 세 측면인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를 고려하여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도덕과 인습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 도덕적 상황에서 적절한 도덕적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적극적인 감정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유아에게 도덕적 행동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도덕적 판단력 = 6 1. Kohlberg의 인지 발달 이론 = 6 2. Turiel의 영역 구분 이론 = 8 B. 도덕적 감정 = 12 1. 긍정적인 도덕적 감정 = 14 2. 부정적인 도덕적 감정 = 17 C.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 = 20 1.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행동 = 20 2. 유아의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 = 21 3.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감정 = 23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도구 = 25 C. 연구절차 = 32 D. 자료분석 = 33 Ⅳ. 결과 및 해석 = 34 A.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일반적 경향 = 34 1.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 34 2. 유아의 도덕적 감정 = 35 3. 유아의 도덕적 행동 = 36 B.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 = 37 1. 유아의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행동 = 37 2. 유아의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 = 38 3. 도덕적 판단력과 도덕적 감정 = 39 Ⅴ. 논의 및 결론 = 42 A. 논의 = 42 B.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2 부록 = 62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26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title유아의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행동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judgement,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dc.creator.othernameKim, Jin-Ah-
dc.format.page9, 8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