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정설희-
dc.creator정설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4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6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42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basis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trend in master thesis on play for Early Childhood's and also to guide more availably for students who are going to prepare for the master and doctor thesis by analyzing the yearly trend, content of research and th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item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general trend of research about play for Early Childhood. 2. What is the major trend of research about play for Early Childhood. 3. What is the research methodology trends in research about play for Early Childhood. This study analysis total six hundred and sixty seven research papers both published in research conferences in the period 1967 through 2004. For the general trends, this study sets up the standard of data analysis for research target and five yearly group. The analysis standards are revised through pre-research and advised by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Educator. The translated and modified version of MacMillian & Schumacher(1989) are used for analysis of the methodology trends. Data collec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standard is examined through the frequency and percentile. The multiple check is used for the analysis of research content ads. and sub-contents and for the research data collection method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1. Totally six hundred sixty seven thesis about Early Childhood play. Among six hundred sixty seven papers, master thesis are six hundred thirty six(95.4%) and doctor thesis are thirty one(4.6%).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th two hundred forty two(36.3%) and the other graduate school with forty nine(7.3%). To count up Early Childhood play per year, there are fifteen(2.2%) studies before 1980. There are eighty four(12.6%) papers from 1981 to 1985, forty nine(7.3%) papers from 1986 to 1990, eighty four(12.6%) papers from 1991 to 1995, two hundred three(30.4%) from 1996 to 2000 and two hundred seventy three(40.9%) from 2001 to 2004. As time goes, quantity of thesis about Early Childhood play is increasing. Trend of Early Childhood play thesis by research target age are as follows. There are seven from 1996 to 2000 and seven papers for infant age between 0 to 2 years old. There are five hundred fifty five papers about target age three to five. Among of them, there are ten papers before 1980, from 1981 to 1985 with thirty five, and from 1986 to 1990 with forty. But to see the quantity from 1991 to 1995 with seventy five, 1996 to 2000 with one hundred eighty two and 2001 to 2004 with two hundred thirteen papers which studied early childhood is increasing. Total thesis which studying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 is thirty one, yet twenty two papers had been written before 1990. And handicapped early childhood thesis is increasing; from 1991 to 1995 with four, from 1996 to 2000 with twelve and from 2001 to 2004 with nineteen. 2. What is the major trend of research about play for Early Childhood. The papers connected with factors in the play development outnumbered the others with three hundred seventeen(47.5%), followed by play and infant development with two hundred sixty(39.0%), and the true nature of play with eighteen(2.7%). Of subfield in play and infant development, the papers related with social development amounted to one hundred eighteen, literacy development with forty two, originality with thirty one, cognition development with forty seven, physical development with fifteen, and emotional development with twenty three. Among all the papers, thesis about the factors affecting play development is the most populated paper with three hundred seventeen. In the factors affecting play development, the papers of education environment came up with two hundred twenty three, individual factors with seventy eight, family environment with fifty, and culture circumstance with five. Moreover, in the detail items of individual factors, playfullness took up thirty seven, followed by sex with eighteen, intellectual capacity with fourteen, and age with nine. In the detail items of family environment, parents amounted to forty three, and social economical surrounding with seven. In the detail factor, the space or array of play amounted to sixty six, tools with sixty one, teachers with forty five, peers with twenty six, and education program with twenty five. Thesis are applicable to the others category seventy two. thesis included in play therapy category with nineteen, thesis included in the study of recognition or realities about the play of early childhood with thirty four, and the research paper of special play with nineteen. 3. Research methodology trends in research about the Play for Early Childhood. The classification by th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article on the Play for Early Childhood shows that quantitative research papers come up with six hundred and forty-five in total, occupying majority of papers(95.3%), and qualitative research papers take nineteen(2.8%). Moreover, the papers mix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ake up three(0.4%). Among quantitative researches, experimental design comes first with two sixty three, followed by correlational research with two hundred twelve, survey with one hundred seventeen, descriptive research with thirty four, contents analysis with nineteen. In the qualitative research, culture-descriptive research produces eighteen, historical research with one. In the method of the data collection, the research by using the structured observation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335(42.7%). In quantitative method, the research using the structured observations outnumbered other methods with 335(42.7%), followed by questionnaires with 145(18.5%), the study by using the tests with 136(17.3%), standardized interviews with 98(12.5%),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documents with 45(5.7%). About the qualitative method, participant observations came up to the 16(2.0%), interviews with seven(0.9%), and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ocuments with 2(0.3%).;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와 관련된 논문의 연도별, 연구내용별, 연구방법별 경향을 분석하여 유아 놀이 관련 연구 분야의 다양하고 균형 있는 연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 관련 학위논문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내용 경향은 어떠한가? 3.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방법 경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은 유아 놀이 관련 연구논문이 처음 나온 1964년부터 2004년까지 발표된 유아놀이 관련 학위논문 총667개였다. 논문의 일반적 경향에서는연구대상별, 5개년 단위별 분류를 사용하였고, 연구내용별 분석기준은 유아 놀이관련 문헌들을 참고로 작성하고 예비조사를 통해 적용·수정한 후 유아교육 전문가와 상의하여 수정·보완하였다. 연구방법 및 연구자료 수집방법 유형별 분석기준은 MacMillian 과 Schumacher(1989)의 기준을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기준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놀이 관련 학위논문은 총 667개로서, 석사학위논문이 636개(95.4%), 박사학위논문은 31개(4.6%)로 나타났다. 대학원별 분석은 교육대학원에서 발행된 논문이 376개(56.4%), 일반대학원에서 발행된 논문은 242개(36.3%), 기타대학원에서 발행된 논문은 49개(7.3%)로 나타났다. 유아 놀이 관련 학위논문들을 연도별로 살펴 볼 때, 1980년대 이전에는 15개(2.2%)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1981~1985년에는 43개(6.4%), 1986~1990년에는 49개(7.3%), 1991~1995년에는 84개(12.6%), 1996~2000년에는 203개(30.4%), 2001~2004년은 273개(40.9%)로 유아놀이관련논문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유아 놀이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대상별 유형을 보면, 0세~만2세인 영아 대상논문은 14편으로 1996년~2000년 7개, 2001~2004년 7개였다. 또한, 3~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555개로 1980년 이전 논문은 10개였지만, 1981~1985년은 35개, 1986~1990년은 40개였다. 또한 1991~1995년은 75개, 1996~2000년은 182개, 2001~2004년에는 213개로 유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논문수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와 초등학생을 함께 대상으로 하고 있는 논문의 경우 31개 중 1990년 이전에 22개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유아와 관련된 논문은 1991~1995년 4개, 1996~2000년 12개, 2001~2004년 19개로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 유아놀이 내용범주에 따른 유아놀이 관련 학위논문의 경향은 다음과 같았다. 놀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관련된 논문이 317개로 전체 중 47.5%로 가장 많았고, 놀이와 유아발달의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이 260개(39.0%)로 나타났다. 그리고 놀이의 의미탐색 범주에 해당되는 논문은 18개(2.7%)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놀이와 유아발달 범주의 하위 영역 중 사회성발달과 관련된 논문이 118개로 가장 많았으며, 언어발달 관련논문은 42개, 창의성과 관련된 논문은 31개로 나타났다. 인지발달과 관련된 논문은 47개, 신체발달과 관련된 논문은 15개, 정서발달과 관련된 논문은 23개로 나타났다. 놀이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관련된 논문은 317개로 가장 많았으며, 하위영역으로 교육환경에 관련된 논문은 223개, 개인적요인에 관련된 논문은 78개, 가정환경에 관련된 논문은 50개, 문화 환경에 관련된 논문은 5개로 나타났다. 세부요인으로는 개인적요인 중 놀이성에 관련된 기질측면의 연구가 37개, 성(性)에 관련된 연구가 18개, 지적능력에 관련된 연구가 14개, 연령에 관련된 연구가 9개로 나타났다. 가정환경의 세부요인으로는 부모에 관련된 논문이 43개, 사회·경제적 배경에 관련된 논문은 7개로 나타났다. 교육환경과 관련된 세부요인은 놀이의 공간 및 배치에 관련된 논문은 66개, 놀잇감에 관련된 논문은 61개, 교사관련논문은 45개, 또래에 관련된 논문은 26개, 교육프로그램에 관련된 논문은 25개로 나타났다. 기타 범주에 해당하는 논문은 72개로 그 중 놀이 치료와 관련된 논문이 19개, 유아놀이관련 인식 및 실태조사에 관련된 논문이 34개, 특정놀이에 관한연구에 관련된 논문이 19개로 나타났다. 3. 연구유형에 따른 유아 놀이 관련 논문의 경향은 다음과 같았다. 연구유형에 따른 유아 놀이 관련 논문의 경향은 양적 연구가 645개로 전체의 95.3%로 나타났으며, 질적 연구는 19개(2.8%),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가 혼용된 논문이 3개(0.4%)로 나타났다. 양적 연구 유형 중 실험연구가 263개(38.8%), 상관연구가 212개(31.3%), 조사연구가 117개(17.3%), 기술적 연구가 34개(5.0%), 내용분석이 19개(2.8%)순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의 경우 문화기술적 연구 유형이 18개(2.7%), 역사적 연구유형은 1개(0.1%)로 나타났다. 연구자료의 자료수집방법은 양적연구 유형에서는 구조적 관찰(structured observations)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335개(42.7%), 질문지(questionnaires)를 사용한 연구가 145개(18.5%), 검사(test)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136개(17.3%), 구조화된 면접(standardized interviews)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98개(12.5%), 양적문서분석(documents)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45개(5.7%)였다. 질적연구 유형에서는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s)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16개 (2.0%), 면접(interviews) 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7개(0.9%), 질적문서분석(documents)을 사용한 연구가 2개(0.3%)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및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놀이 = 5 B. 유아 놀이 연구의 내용 = 12 C. 유아교육 연구의 연구방법 = 21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대상 = 22 B. 연구도구 = 23 C. 연구절차 = 26 D. 자료분석 = 2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29 A.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 관련 학위논문의 일반적인 경향 = 29 B. 유아놀이 내용범주에 따른 유아놀이 관련 학위논문의 경향 = 31 C.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방법 경향 = 36 Ⅴ. 논의 및 결론 = 39 A. 논의 = 39 B. 결론 및 제언 = 44 참고문헌 = 46 부록 = 53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61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 놀이 관련 학위논문 경향분석(1964 ~ 2004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Trends in Early Childhood Play Studies.-
dc.creator.othernameJung, Sul Hi-
dc.format.pagevi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