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교회학교 유치부 유아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 연구

Title
교회학교 유치부 유아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 연구
Authors
김윤미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find what characteristics children in Church Sunday School show in understanding Bible stories and how age, gender and class size affect the degree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Bible stories through dividing comprehension abilities into sub-categories of structural comprehension, inferential comprehension, evaluation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comprehension. For this purpose, we arrange following subjects of study. 1. How well do children in Church Sunday School understand Bible stories? 1-1. How well do children understand Bible stories in general? How well do children understand Bible stories in each sub-category? 1-2. How does children's comprehension of Bible stories differ by age and gender? 1-3. What correlation does each sub-category have? 1-4. Doe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differ by class siz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a classroom of 34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class of Church Sunday School run by 'B'church in Kyonggi Province. Since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what characteristics children have in understanding Bible stories and how class size affect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seventeen children were selected from each of two different size groups (one group consists of 30 children and the other consists of 70 children). And, sample groups include boys and girls. The seven-week-long research consists of pre-test,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test processes. To test the degree of children's understanding, the researcher employed the Probed Recall Comprehension Test, first developed by Morrow (1985) and used by Rand (1991) as a basic tool and adjusted questionnaires to assess children's understanding, made by Chae, Jong Ok (2001), to make them more suitable for Bible stories. To pre-test the children's degree of understanding, 'The Go-Kart,' a children's book written by Hunt (2000), was used. The book was chosen since children subject to the research were not familiar with the story. To test the degree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Bible stories, 'Bible Stories for Children (2002)' was used since the book has been included in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Church Sunday School. Among average,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bivariate correlations and t-test, appropriate tools fit for each subject of study were used to deal with collected data and find the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of the Church Sunday School get the highest scores in structural comprehension, which is followed by vocabulary comprehension,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evaluation comprehension. The gap between structural comprehension and the other three sub-categori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vocabulary comprehension and the other two sub-categories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evaluation comprehension do not show a significant gap. The degree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Bible stories differs significantly by age. However, it does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long gender lines. The older the children are, the better they understand Bible storie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dramatically improves in the following two sub-categories such as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evaluation comprehension. In terms of correlation, structural comprehension has higher correlation with evaluation comprehension than with correlation with vocabulary correlation. Inferential comprehension has correlation with all the other sub-categories. And, evaluation correlation has high correlation with inferential correlation and do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other sub-categories. Next, the degree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Bible stories is not affected by class size. Even though the researcher conducted four tests to evaluate children's understanding of Bible stories, children from the smaller class and those from the larger class do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bined scores or scores in each sub-category.;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학교 유치부 유아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의 특성을 살펴보고, 교회학교의 집단 크기가 성경 이야기 이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회학교 유치부 유아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의 특성은 어떠한가? 1-1. 유아의 성경 이야기 이해의 전반적인 성취와 하위 항목별 성취도는 어떠한가? 1-2. 유아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성경 이야기 이해도 하위 항목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1-4. 유아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는 집단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B 교회 교회학교 유치부의 유아 34명이었다. 유아들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의 특성을 살펴보고, 또한 성경 이야기를 듣는 집단의 크기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 대상 유아는 집단 크기가 다른 두 집단에서 각각 17명씩 총 34명을 선정하였다. 7주간에 걸쳐 예비검사, 유치부 활동 참여, 본 검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이야기 이해도 검사는 Rand(1991)가 만든 ‘이야기 회상을 유도하는 이해도 검사’를 기본으로 하고, 채종옥(2001)이 제안한 이해도 검사 질문 유형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성경 이야기에 맞게 작성하였다. 사전 이해도 검사용 동화책은 연구 대상 유아들이 사전에 경험하지 않은 , Hunt(2000)의 를 사용했다. 성경 이야기 이해도 검사에 사용된 이야기는 연구대상 교회학교의 교육과정인 <예수마당 성경공부 유치부용(2002)>이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각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배치 분산분석, 이변량 상관계수, t-검증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학교 유치부 유아들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경 이야기 이해도 검사를 누적하여 이해도 총점과 이해도 하위 항목별 평균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이해도의 하위 항목들 가운데 구조적 이해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어휘 이해도, 추론적 이해도, 평가적 이해도의 순이었다. 또한 구조적 이해도는 다른 모든 하위 항목의 이해도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어휘 이해도는 추론적 이해도와 평가적 이해도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한 편 추론적 이해도와 평가적 이해도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지 못했다. 교회학교 유치부 유아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유아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성경 이야기 이해도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추론적 이해도와 평가적 이해도는 연령에 따른 점수의 증가 폭이 컸다. 유아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 하위 항목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구조적 이해도는 추론적 이해도와 상관관계가 다소 높았고, 평가적 이해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추론적 이해도는 평가적 이해도와 상관관계가 다소 높았고 어휘 이해도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평가적 이해도는 추론적 이해도와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른 항목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교회학교에서 성경 이야기를 듣는 집단 크기에 따라 유아들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 4회의 성경 이야기 이해도 검사에서 이해도 총점과 이해도의 하위 항목들에서도 집단 크기에 따른 이해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