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이효림-
dc.creator이효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3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5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3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능력을 평가하고, 유아의 정서능력이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유아의 정서능력이 그들의 놀이행동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정서능력은 어떠한가? 2. 유아의 정서능력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정서능력은 놀이 행동과 관련이 있는가? 3-1. 유아의 정서능력은 인지적 놀이 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3-2. 유아의 정서능력은 사회적 놀이 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 3곳에 다니는 만 4세(M=56.39) 유아 104명(남아 56명, 여아 48명)과 그들의 어머니, 그리고 그들을 담임하는 주교사 5명이다. 먼저 유아의 정서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교사는 유아가 또래관계에서 나타내는 사회 행동측면의 정서능력을, 어머니는 유아가 기질적으로 나타내는 정서능력을 정서조절과 정서인식· 표현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교사용 설문지는 La Freniere, Dumas, Capuano와 Dubeau(1992)가 개발한 취학 전 유아의 사회-정서 측면 도구(Preschool Socio-affective Profile; PSP)를 본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어머니용 설문지는 Finegan, Niccols, Zacher와 Hood(1989)가 개발한 취학 전 유아의 인성 질문지(Preschool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 PCQ) 중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Lindsey와 Colwell(2003)이 사용했듯이 정서조절에 해당하는 17문항만을 본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정서인식· 표현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이병래(1997)가 제작한 질문지 중 자기정서인식· 표현과 타인정서인식 능력에 해당하는 13문항만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놀이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Rubin과 Mills(1989)가 고안한 놀이관찰척도(Play Observation Scale; POS)를 본연구자가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능력 평균총점은 -5점에서 5점까지의 점수분포 중 1.87점으로 나타났다. 어머니가 측정한 만 4세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평균점수는 17점에서 85점까지의 점수분포 중 56.57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측정한 만 4세 유아의 정서인식· 표현 능력 평균점수는 13점에서 65점까지의 점수분포 중 50.16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능력과 어머니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인식· 표현, 정서조절 능력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정서능력은 전반적으로 성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능력과 어머니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인식· 표현 능력은 남아보다 여아가 더 뛰어났다. 반면 어머니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은 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능력 하위 요인별 즉 긍정적 정서행동, 공격· 적대적 행동, 걱정· 수줍은 행동으로 살펴보면, 긍정적인 정서 행동은 남아보다 여아에게 공격· 적대적인 정서행동은 여아보다 남아에게 더 나타나지만 걱정· 수줍은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아의 정서인식· 표현 능력 하위요인별 즉 자기정서인식· 표현과 타인정서인식으로 살펴보면 자기정서인식· 표현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타인정서인식은 남아보다 여아가 뛰어났다. 셋째, 유아의 놀이행동을 인지적 수준(기능놀이, 구성놀이, 극놀이, 규칙 있는 게임)과 사회적 수준(혼자놀이, 병행놀이, 집단놀이)으로 나누어서 분석해 보았다. 인지적 수준의 놀이행동 중 극놀이는 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능력, 정서인식· 표현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기능놀이는 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능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능력 하위 요인별 즉, 긍정적 정서행동, 공격· 적대적 행동, 걱정· 수줍은 행동으로 살펴보면 극놀이는 유아의 걱정· 수줍은 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기능놀이는 유아의 긍정적인 정서 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유아의 걱정· 수줍은 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또한 규칙 있는 게임은 유아의 걱정· 수줍은 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한편, 유아의 정서인식· 표현 능력 하위요인별 즉 자기정서인식· 표현과 타인정서인식 능력으로 살펴보면 극놀이는 유아의 타인정서인식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적 놀이행동 중 집단놀이는 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능력, 정서인식· 표현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혼자놀이는 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능력, 정서인식· 표현 능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교사가 측정한 유아의 정서능력 하위 요인별 즉 긍정적 정서행동, 공격· 적대적 행동, 걱정·수줍은 행동으로 살펴보면 집단놀이는 유아의 긍정적 정서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유아의 걱정· 수줍은 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또한 혼자놀이는 유아의 긍정적 정서행동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유아의 공격· 적대적 행동, 걱정· 수줍은 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편, 유아의 정서인식· 표현 능력 하위요인별 즉 자기정서인식· 표현과 타인정서인식 능력으로 살펴보면 집단놀이는 유아의 자기정서인식· 표현, 타인정서인식 능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혼자놀이는 유아의 타인정서인식 능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to examine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their play behavior.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ir gender?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their play behavior? 1)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their cognitive play behavior? 2)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their social play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our-year-old(M=56.39) 104 children(56 boys, 48 girls) at C, D and S kindergarten located in Kyunggi Do.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was measured by teachers of participants using Preschool Socio-affective Profile(PSP) made by La Freniere, Dumas, Capuano and Dubeau(1992) and translated by the author.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was measured by their mothers using 17 questions selected from Preschool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PCQ) developed by Finegan, Niccols, Zacher and Hood(1989) and translated by the author. Children's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emotion was measured by also their mothers using 13 questions se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Byung Rae Lee(1997).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s,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biavariate correl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meaningful correlation among the socio-behavioral emotional competence measured by teacher,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emotion measured by mother and the emotional regulation also measured by mother.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Specifically, girls showed better competence in the socio-behavioral emotional competence and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emotion than boys.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gender. Third, there wa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the frequency of play behavior in free choice activities. Among the cognitive play behavior, the dramatic play had some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socio-behavioral emotional competence and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emotion. Similarly, among the social play behavior, the group play had some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socio-behavioral emotional competence and th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emo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8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의 정서 능력 = 5 B. 유아의 정서능력과 놀이행동 = 11 Ⅲ. 연구 방법 = 18 A. 연구 대상 = 18 B. 연구 도구 = 19 C. 연구 절차 = 26 D. 자료 분석 = 28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31 A. 유아의 정서능력 = 31 B. 유아의 정서능력과 유아의 놀이행동과의 관계 = 37 Ⅴ. 논의 및 결론 = 45 A. 논의 = 45 B.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4 부록 = 60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45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의 정서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and play behavior-
dc.creator.othernameLee, Hyo Rim-
dc.format.pageⅹ,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