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2 Download: 0

문항 특성에 따른 과학 성취도의 성 차이

Title
문항 특성에 따른 과학 성취도의 성 차이
Other Titles
Gender Differences of Science Achievement Tests : Differential effect of Item Characteristics
Authors
문란모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Keywords
문항특성과학 성취도지구과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대규모로 시행되는 학업 성취도 검사의 과학 과목에서 여학생들은 남학생에 비해 낮은 성취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성 차이 현상은 과학이 여학생에게 적합하지 못한 과목이라는 인식을 대중들에게 심어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며 여학생이 과학 학습을 높은 수준으로 지속하려는 동기를 약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우리 나라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성 차이는 심각한 수준으로 높은 편이다. 과학 기술의 중요성과 영향력은 점점 더 증대되고 있으나 이공계 지원 학생 수는 해마다 줄어들어 과학 기술 인력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여학생의 학습 의욕 상실을 일으키는 성 차이 문제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성취 능력을 규정짓는데 주로 이용되는 대규모 학업 성취도 검사가 성 불평등을 초래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지는 않은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지구과학 내용에서 동일한 인지적 과학 목표로 이루어진 선택형과 수행형 검사 도구를 개발, 실시하여 문항 유형, 내용, 행동 목표, 제시 상황과 같은 문항 특성에 따라 성취 결과의 성 차이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과학과 관련된 학생 개인의 경험이 성취도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로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 관련 경험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 변인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남녀 학생들의 문제 해결 전략의 경향성을 정성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업 성취도 결과와 문항 해결 전략의 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검사의 전체점수에서는 문항 유형에 따른 성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세부적인 문항 특성에 따라 과학 학업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가 드러난 문항들이 드러났다. 남학생은 생소한 형태의 문항에서 높은 성취 점수를 보였으며 이러한 문항을 접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여학생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문항이 문장으로만 제시된 경우, 남학생의 성취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문제 해결 전략에서도 더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과학과 관련된 경험에 있어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훨씬 더 많은 경험을 하며,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도 역시 여학생에 비해 더욱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patterns of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of item characteristics. The response format, achievement level, and problem solving strategy are taken into account as item characteristics. For this, gender differences on multiple-choice and constructed-response science tests were explored through a combination of statistical analyses and a small scale interview. The background of students were analys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m on the achievement result in regard to gend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did not depend in item format overall. However, when analysing each item, it was found that the item characteristics, novelty, and presentation situations within a format, had differential effects on student performance. In both situations, male students used more active solving methods in science problems than female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