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좌혜정-
dc.creator좌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4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5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455-
dc.description.abstractSince 1994, the CSAT has been the unique test measure for College admission. The test was taken every year with several problems on social grounds as well as on educational grounds and in 2001 and 2002, controversy on the difficulty of the CSAT was raised. However, as the CSAT was taken from 1994 to 2002, there was no analytic research on how the CSAT has resulted in the educational and social aspects and how it affected in genera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difficulty level of 2000, 2001 and the 2002 CSAT which showed a dramatic plunge in scores in the language and mathematics section and to check whether the 2002 CSAT fits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SAT and how it affected the education process, teaching-learning method, life guidance and career guidance, applicants preparing for the 2003 CSAT and the society and to look into what kind of specialized support method for Korean and Mathematics education there is and based on such research to present the problem setting directions for the 2003 CSAT. In order to do this, we surveyed the teachers and analyzed how they took the 2002 CSAT and how should the problem setting direction of the 2003 CSAT should be. The research subject was limited to the 3rd grade head teachers in Seouls high school teaching Korean and Mathematics for the cultur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section and among the total population of 279 schools 93 schools were picked and a total of 279 head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5 questions asking the background factors of the teachers, 3 questions ask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language and mathematics section of the 2002 CSAT an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according to the difficulty, 64 questions asking the resulting effects of the language and mathematics section of the 2002 CSAT and 5 questions asking the problem setting directions for the language and mathematics section of the 2003 CSAT. The questionnaires has been sent by mail first and then by direct visit and 216 questionnaires from 90 schools has been collected. The analytic result of the 216 questionnaires a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language and mathematics section of the 2002 CSAT and the understanding on the detailed problems of difficulty, the language and mathematics sections of the 2002 CSAT are taken difficult than the 2000, 2001 tests and for each problems set on the difficulty level there were various views shown. Second, after analyzing the content for each factors to research the resulting effects of the language and mathematics sections of the 2002 CSAT, both the language and mathematics sections of the 2002 CSAT measured the creative thinking and high-leveled scholastic ability of the students and students with high ability were able to score high. Also, the 2002 test was taken more difficult than the mock tests and seemed to increase private education trends. When you look into the characteristic effects that resulted from the language section, the language section of the 2002 test has made students nervous on the tests and made it somewhat difficult to guide College admissions. However, it seems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aching method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eaching students to understand literature works on various ways, guiding them to focus on general understanding rather than fast-reading and help them read in details. Also, after the 2002 language section test, the students started to work on difficult problems. Especially, it seems they are in strong need of specialized supporting methods for improving language section test. For the mathematics section, contrary to the language section, there was strong trends of neutral understanding. When you look into the characteristic resulting effects of the mathematics section, since the 2002 mathematics test there seemed no big effects on executing intensive supplement process for the education process or increasing the class quotient and going through learning specific chapters or sections and also showed low understandings on the contributing effects on the normalization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However, it made teachers to guide the students to focus on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als of mathematics. Also, the 2002 mathematics sections of the CSAT, just as the language section had difficulty in guiding the College admissions and affected students to focus more on problems in the reference book rather than the text book. For the specialized supporting method, the mathematics section is also in strong need of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ed teaching-learning data by experts but shows low understanding level than the language section. Third, after analyzing the views on the problem setting of the language and mathematics section of the 2003 CSAT, many agreed on for the problem setting level as to make it difficult than 2001 and easy than 2002 for the language section while giving out similar levels for the mathematics section as of 2002. Also, for the issue on increasing problems with sentences and problems out of the text book, for the language section, there were no superior views as 29.7% disagreed and 28.4% agreed but for the mathematics section, 38.7% disagreed and took the superior table. The main reason for not increasing problems with sentences and problems out of the text book was that it is needed for the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However, for the listening evaluation problems and difficulty and the subjective problem setting and difficulty that stirred some controversy since the 2002 language and mathematics test, many agreed that the 2002 level was appropriate. Consequential validity verification of whether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CSAT has contributed to the initial evaluation direction and purpose and to check how it affected and changed parents, teachers, schools and the society in details is a stepping stone for the educational development of the future CSAT and further more could be a positive opportunity for a rightful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our countrys College Admission Policy. Therefore, starting from this research, for every CSAT to come every year, continual research on verifying how the CSAT has resulting effects should be needed.;1994학년도부터 실시되어 오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대학입학을 위한 평가도구로서 우리나라 교육의 최대 관심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매 해 시험이 치러지면서 교육계뿐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크고 작은 문제점이 제기되어졌고, 2001,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이도 논쟁의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1994학년도부터 2002학년도까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면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교육적인 측면과 사회 전반에 어떤 결과적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학생들의 점수 하락이 가장 켰던 언어와 수리 영역을 중심으로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이도 수준을 2000, 2001학년도와 비교해 보고,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목적 및 특성과 부합하는지,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과 사회에 어떤 결과적 영향을 미쳤는지, 국어와 수학 교육을 위한 전문적 지원 방법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검증해 보고, 이를 토대로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 방향은 어떠함이 바람직한가를 교사들에게 질문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고등학교 3학년 국어담당 부장 교사와 인문계 수학담당 부장 교사, 자연계 수학담당 부장 교사들로 정하였다. 전체 모집단 279개교 중에서 93개교를 표집하여 총 279명의 부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90개교에서 회수된 216부의 질문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부장 교사의 배경 변인을 묻는 문항 5문항,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와 수리 영역의 난이도 수준과 난이도에 따른 문항 내용을 묻는 문항 3문항,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와 수리 영역의 결과적 영향을 묻는 문항 64문항, 그리고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와 수리 영역의 출제 방향을 묻는 문항 5문항의 순서로 구성하였다. 질문지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와 수리 영역의 난이도 수준과 난이도에 따른 구체적인 출제 문항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언어 영역과 수리 영역 모두 2000, 2001학년도보다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어려웠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난이도에 따른 각 영역별 출제 문항에 대해서는 매우 다양한 관점을 보이고 있다. 언어와 수리 영역 시험 문항 내용에 대하여 다양한 인식을 보이고 있는 것은 부장 교사 개인의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와 수리 영역의 결과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각 구인별 내용 분석 결과, 2002학년도 언어 영역과 수리 영역 시험 모두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력과 고등정신능력을 측정하였으며 능력이 높은 학생들이 능력을 잘 발휘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02학년도 시험이 평소 치르던 모의시험보다 많이 어려웠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사교육을 증가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 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언어 영역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결과적 영향을 살펴보면, 2002학년도 언어 영역이 학생들로 하여금 시험에 대한 불안을 심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입학 진로지도에도 다소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어 교사의 수업 방법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관점에서 문학작품을 감상하도록 지도하게 되었고, 속독보다는 종합적인 이해에 중점을 두어 지도하게 되었으며, 꼼꼼하게 자세히 읽도록 지도하게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2002학년도 언어 영역 시험 이후 학생들이 어려운 문제도 풀어보는 연습을 하게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언어 영역 시험 개선을 위한 전문적 지원 방법들에 대한 필요성을 매우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본학습 자료와 학습 방법에 대한 지침, 전문가에 의한 통합 교과적 교수-학습 자료 개발, 매체환경 변화에 따른 평가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수리 영역의 경우 언어 영역과는 달리 중립적인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 영역의 특징적인 결과적 영향을 살펴보면, 2002학년도 수리 영역 시험 이후 교육과정에 있어서 심화보충 과정을 실시한다거나 수업 시수를 증가시키고, 특정 단원이나 영역의 학습을 실시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한 영향에 대해서도 낮은 인식 정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교사들로 하여금 수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 학습을 강조하도록 지도하는 데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하게 된다. 또한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도 언어 영역과 마찬가지로 대학 입학 진로지도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이 교과서 이외의 참고서 문제에 역점을 두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고 있다. 전문적 지원 방법에 있어서도 수리 영역 역시 전문가에 의한 통합 교과적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언어 영역보다는 낮은 인식정도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와 수리 영역의 출제 방향에 대한 의견 분석 결과, 출제 난이도 수준에 있어서 언어 영역의 경우는 2001학년도보다 어렵고 2002학년도 보다 쉽게 출제되어야 한다는 반면 수리 영역의 경우는 2002학년도 수준으로 출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또한 교과서 밖의 지문 및 문항 출제 비율을 높이는 문제에 있어서 언어 영역의 경우 '바람직하지 않다'가 29.7%, '바람직 하다'가 28.4%로 의견의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 수리 영역의 경우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 38.7%로 훨씬 우세하게 나타났다. 교과서 밖의 지문 및 문항 출제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이유로는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의 가장 많았다. 한편, 2002학년도 언어와 수리 영역 시험 이후 문제시되었던 듣기 평가 문항 출제와 난이도, 주관식 문항 출제와 난이도에 대해서는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2002학년도 수준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 결과가 본래 의도한 평가 방향과 평가 목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평가 방법이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 그리고 사회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었고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확인해보는 결과타당도 검증은 앞으로 실시될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교육적 발전을 위한 디딤돌의 역할뿐 아니라 더 나아가 우리나라 대학입시제도의 올바를 정착과 발전을 위한 긍정적인 계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시작으로 매년 실시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해서도 그 해 치루어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어떠한 결과적 영향을 가져왔는가를 검증해 보는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대학수학능력시험 = 7 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정의와 성격 = 7 2.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전개 과정 = 9 3. 2001,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특성과 문제 = 11 B. 결과타당도 = 20 1. 결과타당도의 역사 = 20 2. 결과타당도의 정의 = 21 3. 결과타당도의 필요성 = 24 4.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결과타당도 = 28 C. 대학수학능력시험에 관한 최근 연구 = 32 Ⅲ. 연구방법 = 37 A. 연구대상 = 37 B. 질문지 = 38 C. 연구절차 = 40 D. 연구문제 = 41 Ⅳ. 연구결과 = 43 A. 질문지 회수 결과와 연구에 참여한 부장 교사들의 특성 분석 = 43 B.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의 결과적 영향과 2003학년도 출제 방향에 대한 인식 분석 = 45 1.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난이도와 문항 내용에 대한 인식 분석 = 45 2.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결과적 영향에 대한 인식 분석 = 47 3.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출제 방향에 대한 의견 분석 = 56 C.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의 결과적 영향과 2003학년도 출제 방향에 대한 인식 분석 = 62 1.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난이도와 문항 내용에 대한 인식 분석 = 62 2. 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결과적 영향에 대한 인식 분석 = 65 3. 200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출제 방향에 대한 의견 분석 = 77 Ⅴ. 결론 및 논의 = 83 A. 결론 = 83 B. 논의 및 제언 = 86 참고문헌 = 88 부록 = 94 Abstract = 1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345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2002학년-
dc.subject대학수학능력시험-
dc.subject결과타당도-
dc.subject출제 방향-
dc.subjectCSAT-
dc.title200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수리영역 결과타당도 분석과 2003학년도 출제 방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consequential validity of the 2002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for the language, mathematics section and problem setting direction for the year 2003-
dc.format.pageix, 1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