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7 Download: 0

재가 뇌졸중 환자의 관절운동이 관절가동력, 일상생활활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재가 뇌졸중 환자의 관절운동이 관절가동력, 일상생활활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Exercise on Range of Motion, ADL, IADL, Self-Efficacy in Post-Stroke Patients.
Authors
권소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우리나라에서 뇌졸중은 성인의 3대 사인중의 하나로 성인병의 증가와 더불어 그 발생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2003년에는 36.495명으로 암 다음의 사망원인이 되었다(통계청사망원인 통계연보, 2003). 뇌졸중은 운동기능 손실, 정서적 장애를 일으키며 73%가 재활을 요하게 된다. 주로 편마비로 인한 상지와 하지 기능장애, 지각장애, 언어장애등이 유발되므로 독립적인 수준까지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 가르치는 적극적인 간호 접근이 필요하다. 뇌졸중 환자에게서 재활 프로그램 중 특히 운동치료는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향상을 위해서 매우 효과적이나 퇴원 후 재가 뇌졸중 환자에게서 물리 치료실에서 이루어질 뿐 가정에서의 운동은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관절 가동력, 일상생활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가정에서 할 수 있는 관절운동요법이 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관절운동요법이 뇌졸중 환자의 관절가동력과 일상생활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유사 실험 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시행하였으며, 뇌졸중 후 편마비가 있으면서 안양시내 H대학병원에서 물리치료는 받는 대상자에게 2004년 10월 1일부터 2004년 11월 5일까지 14일 동안 15~20분간 매일 가정에서 2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12.0 program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관절운동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관절 가동력과 일상생활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자기효능감을 t-test로 검증하였으며, 관절운동 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 차이가 있는 변수는 ANCOVA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관절운동을 통하여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견관절의 신전, 굴곡, 외전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t=7.63, p=.00; t=6.10, p=.00; t=5.39, p=.00), 주관절의 신전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t=-3.32, p=.00) 주관절의 굴곡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못했다(t=1.72, p=.09). 수근관절의 신전과 굴곡에서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t=4.45, p=.00; t=5.12, p=.00) 슬관절의 신전과 굴곡에서는 관절운동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90, p=.36; t=1.19, p=.23). 일상생활활동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에서는 관절운동 후 모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3.40, p=.00; t=4.45, p=.00). 관절운동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8.00, p=.00).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재가 뇌졸중 환자에게 자가 운동으로 관절운동의 적극적인 실시를 권하며, 뇌졸중 후 급성기 부터 관절운동을 적용하여 관절 가동력의 효과를 평가하고, 운동 횟수 및 기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agte the effect of joint exercise on range of joint, activity of daily living(ADL),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and self-efficacy in post-stroke patients. The subjects were post-stroke patient with paralysis who serviced on physical treatment in the H college hospital. Exercise was performed for 15~20 minutes twice a day.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12.0 program. The range of joint, ADL, IADL and self-efficacy was tested with t-test and ANCOVA. The study was design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similar experimental report to confirm joint exercising therapy affect on patient's range of joint, ADL, IADL and self-efficacy, 1.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ed significant increasing on shoulder's extension, flexion and abduction comparing control group(t=7.63, p=.00; t=6.10, p=.00; t=5.39, p=.00), on the elbow joint, the experiment group's extension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ing control group, but the two group' flexion not showed statistic significant(t=1.72, p=.09). On the wrist joint, the extension and flex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 group(t=4.45, p=.00; t=5.12, p=.00). On the knee joint, the extension and flexion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groups. 2. On the ADL, IADL and self-efficac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statistic values rather than control group respectively(t=3.40, p=.00; t=4.45, p=.00; t=8.00, p=.00). In conclusion, the exercise increased the range of joint, ADL, IADL and self efficacy of post-stroke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