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수-
dc.contributor.author권소영-
dc.creator권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5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4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520-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에서 뇌졸중은 성인의 3대 사인중의 하나로 성인병의 증가와 더불어 그 발생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2003년에는 36.495명으로 암 다음의 사망원인이 되었다(통계청사망원인 통계연보, 2003). 뇌졸중은 운동기능 손실, 정서적 장애를 일으키며 73%가 재활을 요하게 된다. 주로 편마비로 인한 상지와 하지 기능장애, 지각장애, 언어장애등이 유발되므로 독립적인 수준까지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고 가르치는 적극적인 간호 접근이 필요하다. 뇌졸중 환자에게서 재활 프로그램 중 특히 운동치료는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향상을 위해서 매우 효과적이나 퇴원 후 재가 뇌졸중 환자에게서 물리 치료실에서 이루어질 뿐 가정에서의 운동은 거의 실시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관절 가동력, 일상생활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가정에서 할 수 있는 관절운동요법이 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관절운동요법이 뇌졸중 환자의 관절가동력과 일상생활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유사 실험 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시행하였으며, 뇌졸중 후 편마비가 있으면서 안양시내 H대학병원에서 물리치료는 받는 대상자에게 2004년 10월 1일부터 2004년 11월 5일까지 14일 동안 15~20분간 매일 가정에서 2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12.0 program을 사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관절운동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관절 가동력과 일상생활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자기효능감을 t-test로 검증하였으며, 관절운동 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 차이가 있는 변수는 ANCOVA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관절운동을 통하여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견관절의 신전, 굴곡, 외전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t=7.63, p=.00; t=6.10, p=.00; t=5.39, p=.00), 주관절의 신전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t=-3.32, p=.00) 주관절의 굴곡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못했다(t=1.72, p=.09). 수근관절의 신전과 굴곡에서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t=4.45, p=.00; t=5.12, p=.00) 슬관절의 신전과 굴곡에서는 관절운동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90, p=.36; t=1.19, p=.23). 일상생활활동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에서는 관절운동 후 모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3.40, p=.00; t=4.45, p=.00). 관절운동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8.00, p=.00).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재가 뇌졸중 환자에게 자가 운동으로 관절운동의 적극적인 실시를 권하며, 뇌졸중 후 급성기 부터 관절운동을 적용하여 관절 가동력의 효과를 평가하고, 운동 횟수 및 기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agte the effect of joint exercise on range of joint, activity of daily living(ADL),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IADL) and self-efficacy in post-stroke patients. The subjects were post-stroke patient with paralysis who serviced on physical treatment in the H college hospital. Exercise was performed for 15~20 minutes twice a day.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12.0 program. The range of joint, ADL, IADL and self-efficacy was tested with t-test and ANCOVA. The study was design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similar experimental report to confirm joint exercising therapy affect on patient's range of joint, ADL, IADL and self-efficacy, 1.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ed significant increasing on shoulder's extension, flexion and abduction comparing control group(t=7.63, p=.00; t=6.10, p=.00; t=5.39, p=.00), on the elbow joint, the experiment group's extension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ing control group, but the two group' flexion not showed statistic significant(t=1.72, p=.09). On the wrist joint, the extension and flex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 group(t=4.45, p=.00; t=5.12, p=.00). On the knee joint, the extension and flexion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groups. 2. On the ADL, IADL and self-efficac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statistic values rather than control group respectively(t=3.40, p=.00; t=4.45, p=.00; t=8.00, p=.00). In conclusion, the exercise increased the range of joint, ADL, IADL and self efficacy of post-stroke pati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 가설 = 4 D. 용어의 정의 = 5 Ⅱ. 문헌고찰 = 7 A. 뇌졸중환자의 재활간호 = 7 B. 뇌졸중환자의 운동치료 효과 = 9 Ⅲ. 연구 방법 = 11 A. 연구 설계 = 11 B.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기간 = 11 C. 연구 절차 및 도구 = 12 D. 자료 처리 및 분석 = 15 Ⅳ. 결과 및 논의 = 16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6 1.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 16 2. 대상자의 질병 관련 특성 = 18 B. 관절운동 전 대상자의 관절 가동력, 일상생활활동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자기효능감 = 20 1. 관절운동 전 대상자의 관절 가동력 = 20 2. 관절운동 전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 22 3. 관절운동 전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 23 C. 관절운동 전후 대상자의 관절 가동력, 일상생활활동 및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자기효능감의 차이 = 24 D. 연구의 제한점 = 30 E. 논의 = 30 Ⅵ. 결론 및 제언 = 33 B. 제언 = 35 참고 문헌 = 36 Abstract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68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재가 뇌졸중 환자의 관절운동이 관절가동력, 일상생활활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Exercise on Range of Motion, ADL, IADL, Self-Efficacy in Post-Stroke Patients.-
dc.creator.othernameKwan, So-Young-
dc.format.page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