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박선미-
dc.creator박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4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3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6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deepe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role and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 . For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kindergarten teacher's preference on the whole personality of early child in unartificial classroom environment. Then analyzed the difference of teacher's preferenc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s attribution according to gender of child and evaluatde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 behavior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By thi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er's preference on chil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der of child? 1-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er's preferences on child according to gender of child?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er-child interaction according to gender of child? 1-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of child? 2. What about the sub-factors of teacher's preference on chil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 behavior? 2-1.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eacher's preference and thos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2-2.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eacher's attribution and thos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teachers and 244 five-year-old children who were enrolled at public· private kindergarten from Seoul and kyoung-gi province. And the subjects of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 behavior were 50 attractive children and 50 unattractive children of 244 children based on teacher's response on the attractiveness questionnaire. Three research tools were used in this study. For teacher's preference to the child, the checklist to measure teacher's preference of all children and questionnaire to write down children's name by seven sectors were used. To evaluate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observation categories developed by Nan Sil Kim(2004) was used. To evaluate the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 behavior, the questionnaire of teacher's attribution was used which was adapted and altered in use from 「The propensity of attribution questionnire」by Yang Jae Shin(1999). In order to analyze the study problems,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to evaluate the relation of teacher's preferenc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 behavior. Also, a t-test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d of teacher's preference to the chil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s attribution according to gender of child.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prefer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eachers had more preference with girls than boys. And teachers had more regulating interactions with boys than girls. It means that child's developmental difference and the rearing attitude that has an effect on child development are maybe related to teacher's preference. However,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 behavior had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f child.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preference on child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Positive interac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ctor's of physique-motor, cognition and language. Especially, the preference of cognition sector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gross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regulating interac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nature sector and emotion sector. And the negative attributions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ticipating intera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attribu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본 연구는 유아와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실제 학급에서 교사가 맡고 있는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 측면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에는 차이가 있는지, 호감도가 표현되는 방법 중 하나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귀인 방식은 어떤 관계가 있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성에 따른 호감도, 교사-유아 상호작용, 귀인에 각각 차이가 있는가? 1-1. 유아의 성에 따른 호감도에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의 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1-3. 유아의 성에 따른 교사의 유아행동 귀인방식에 차이가 있는가? 2. 호감도, 상호작용, 귀인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호감도와 상호작용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교사의 유아행동 귀인방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의 만 5세 10개 학급의 남아 138명, 여아 106명으로 총 244명과 그들의 담임 교사 10명이었다. 이 중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의 귀인방식은 244명의 유아 중 교사가 호감도 질문지에서 응답한 호감아 50명과 비호감아 50명, 총 10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도구는 총 3가지로 교사의 호감도에서는 전체 유아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를 체크하는 체크리스트와 각 영역별로 이름을 적는 교사 지명식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찰은 김난실(2004)이 수정·보완한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찰범주’를 사용하여 상호작용의 빈도를 체크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의 귀인방식을 알아보기 위해 신양재(1999)의 ‘귀인 성향 질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유아의 행동에 대한 교사의 귀인 방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은 교사의 호감도, 교사-유아 상호작용, 귀인방식에서 각 요인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호감도, 교사-유아 상호작용, 귀인방식에서 유아의 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호감도와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호감도는 전반적으로 여아에게 다소 높게 나타났고, 특히 인지, 사회, 정서, 언어 영역에서의 교사의 호감도가 여아에게 높았다.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서는 전체 상호작용의 빈도가 남아에게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통제적 상호작용이 유의한 상관을 보여 남아에게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의 귀인 방식에서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유아의 성은 교사의 귀인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사의 호감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호감도의 신체운동영역과 인지영역, 언어영역의 호감도가 높을수록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지영역의 호감도가 높을수록 교사-유아의 전체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았다. 반면, 사회성영역과 정서영역의 호감도가 높을수록 교사는 통제적 상호작용을 적게 하였다. 유아의 행동에 대한 교사의 귀인 방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는 교사가 유아의 행동을 부정적인 요인으로 귀인하면 참여적 상호작용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유아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 = 5 1. 호감도 = 5 2. 교사의 호감도와 관련된 요인 = 7 3. 호감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 9 B. 교사의 유아 행동 귀인 방식 = 11 1. 귀인이론 = 11 2. 귀인과 관련된 요인 = 12 3. 귀인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 14 Ⅲ. 연구 방법 = 16 A. 연구대상 = 16 B. 연구도구 = 17 C. 연구절차 = 24 D. 자료분석 = 27 Ⅳ. 결과 및 해석 = 28 A. 유아의 성에 따른 호감도, 교사-유아 상호작용, 귀인 방식 = 28 B. 호감도, 교사-유아 상호작용, 귀인 간의 관계 = 32 Ⅴ. 논의 및 결론 = 35 A. 논의 = 35 B. 결론 및 제언 = 39 참고 문헌 = 42 부록 = 48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17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에 대한 교사의 호감도,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행동에 대한 교사의 귀인 방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Kindergarten teacher's preference on chil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s attribution on child behavior-
dc.creator.othernamePark, Seon Mi-
dc.format.pageⅷ,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