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대학 일본어교육에서 학습자의 사전 일본어능력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의 관계

Title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대학 일본어교육에서 학습자의 사전 일본어능력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Japanese Language Grades,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Resource-Based Japanese Language Learning
Authors
이정화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봉미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udent motivation on performance in resource-based learning (RBL). In particular, applicability of the self-efficacy theory to resource-based learning that is applied to Japanese language courses in University was tested. A total of 223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RBL during Japanese language courses intended for beginners. Participants completed self-efficacy surveys before the onset of RBL and Japanese language learning and took written test prior to Japanese language grades. At the end of RBL, participants took the written tests for Japanese language ability and accomplished tasks to survey academic achievement, and then completed students' satisfaction survey for RBL. For data analysis, 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was employ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tudents' prior Japanese language grades positively related to written test(r = .75, p < .01). (2) Students' self-efficacy for Japanese language learning positive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on written test(r = .35, p < .01)and their satisfaction for RBL(r = .34, p < .01), whereas did not relate to task performance assessment. (3) Students' self-efficacy for RBL did not relate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both written test and task performance assessment. Whereas students' self-efficacy for RBL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atisfaction for RBL(r = .40, p < .01). More interesting,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beliefs were able to predict their academic achievement on written test and satisfaction. Whereas, were not able to predict their task performance assessment for RBL.;지식기반사회로 일컬어지는 21세기 현대사회에서 정보와 지식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자원이며,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급속한 성장과 변화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에 교육 분야에서도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인력 양성을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정인성(1996), Todd와 McNicholas(1995)는 정보 사회에서 교육의 주요한 도전은 바로 정보 활용 능력의 배양에 있다고 했다. 그러므로 대학 교육에서도 학습자에게 정보 활용 능력과 지식 창출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새로운 교육환경이 필요하다. Rakes(1996)는 이와 같은 새로운 교육환경의 하나로 자원기반학습(RBL: Resource-Based Learning)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최근에는 인터넷과 위성을 통해 세계 각국의 자원들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원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외국어교육에 있어서도 이들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강조되고 있다. 수많은 자원과 기술의 효과적인 활용은 외국어의 언어 기능 습득 뿐 아니라 외국어학습에 필수 자원인 문화교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실제적인 언어 활용 능력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자원기반학습 환경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외국어교육에서 자원기반의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터넷을 활용한 웹 기반,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 컴퓨터 기반의 매체 활용 방안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스스로 매체나 자원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검색하는 자원기반학습 모델의 활용방안에 대한 사례 연구나 자기효능감과 같은 학습자 특성과 학습 효과의 관계를 실험 검증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대학 일본어교육에서 사전 일본어능력,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의 관계를 실험 검증해봄으로써, 대학 일본어교육에 적합한 자원기반학습 환경을 위한 교수설계전략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대학 일본어교육에서 학습자의 사전 일본어능력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가? 1-1. 학습자의 사전 일본어능력은 지필고사 결과와 관계가 있는가? 1-2. 학습자의 사전 일본어능력은 과제수행 평가 결과와 관계가 있는가? 1-3. 학습자의 사전 일본어능력은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일본어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가? 2.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대학 일본어교육에서 학습자의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가? 2-1. 학습자의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자원기반학습을 활용한 대학 일본어교육에서 지필고사 결과와 관계가 있는가? 2-2. 학습자의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과제수행 평가 결과와 관계가 있는가? 2-3. 학습자의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일본어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가? 3.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대학 일본어교육에서 학습자의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가? 3-1. 학습자의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지필고사 결과와 관계가 있는가? 3-2. 학습자의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과제수행 평가 결과와 관계가 있는가? 3-3. 학습자의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일본어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H 대학교에서 교양일본어 과목을 수강하는 7개 반의 남, 여 대학생 총 22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중 남학생이 129명, 여학생은 94명이었다. 자원기반학습이 시작되기 전에 학습자들의 사전 일본어능력과 일본어학습 및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검사하였다. 그리고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받은 후, 총 4주 간 8차시에 걸쳐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일본어교육을 수행하였다. 학습자들은 자원기반학습 과제수행의 과정과 결과를 과제물로 제출하였으며, 이에 대한 과제수행 평가와 지필고사를 통해 학업성취도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학습 후 만족도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에는 총 223명이 참가하였으나, 결측치 수(무응답, 결시자, 응답 누락자 등)가 많았다. 그러나 가능한 한 자료의 손실을 피하기 위해 조사된 모든 대상자들을 분석에 포함시켰고, 특정 항목에서의 결측치는 그 항목의 분석과정에서 제외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사전 일본어능력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전 일본어능력과 학업성취도 중 지필고사는 r = .75, p < .01로 가장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전 일본어능력이 높을수록 지필고사 성적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과제수행 평가와 만족도에 있어서는 학습자의 사전 일본어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 중 지필고사와 r = .35, p < .01로 비교적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반면,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과제수행 평가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만족도와의 관계는 r = .34, p < .01로 비교적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대학 일본어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셋째,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두 가지 범주의 학업성취도(지필고사, 과제수행 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의 예측력이 없는 변인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만족도의 관계에서는 r = .40, p < .01로 비교적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자원기반학습의 대학 일본어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자원기반학습 환경을 대학 일본어교육에 도입했을 때 전반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즉 자원기반학습 환경에서 자기효능감은 학습의 만족도를 예언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전 일본어능력과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 중 지필고사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사전 일본어능력과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전 일본어능력, 일본어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그리고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등 각 변인들이 모두 자원기반학습 과제수행 결과의 학업성취도와는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를 예언하는 변인이라는 여러 연구의 결과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를 예언하는 변인이 되지 못했다.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는 정확하게 자원기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단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이는 새로운 학습 환경에 대한 학습자들의 심리적인 측면의 고려 없이는 외국어교육에서 자원기반학습 환경의 도입은 기대하는 학습효과를 가져오지 못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자원 위주의 학습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과 자원기반학습은 구현해 놓기만 하면 학습자 수준을 향상시켜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보다 실질적인 학습 효과를 이끌어 내려면 학습자와 교수자의 능력에 맞는 자원기반학습의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보다 많은 경험의 반복을 통해 자원 위주의 학습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한다면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