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이태희-
dc.creator이태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6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4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2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42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아버지,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부모의 일치된 양육신념의 전반적 경향을 알아보고, 부모의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차이 및 변인에 따른 부모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양육신념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변인(가정의 소득, 부모의 학력, 어머니 취업유무, 유아의 성별, 형제유무)에 따른 부모의 양육신념은 어떠한가? 3. 변인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4. 부모의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4-1. 어머니의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4-2. 아버지의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4-3. 부모의 일치된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222명과 그 부모들이다. 부모의 양육신념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Sameroff와 Feil(1985)의 양육신념 목록표를 이혜란(2001)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것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예비연구를 통해 수정한 것이다.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염현경(1998)이 우리 나라 실정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하여 개발한 한국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 KPDS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빈도분석과 one-way ANOVA, 그리고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문항의 신뢰도를 검증을 위해서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지닌 양육신념의 전반적인 경향은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가 유아의 발달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은, 조망적인 양육신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신념은 가정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취업모의 가정이, 둘 이상의 자녀를 둔 부모가 유아의 발달에 대한 이해와 관련하여 복합적인 사고가 가능한, 조망적인 양육 신념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어머니 학력이 높을수록, 남아보다는 여아가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집단과 부모의 일치된 양육신념 집단에 따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그 차이는 부모의 양육신념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보다 높은 유의도를 나타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general tendency of parenting beliefs of parents who have young children and then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ir mother, father, and accorded parental parenting beliefs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variables include the income level of family, the education level of parents, mother's employment, children's sex, and number of children in the family. For the purpose, the study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1. How are the general tendency of parental parenting beliefs? 2. How are the parental parenting beliefs according to the variables(the income level of the family, the education level of parents, mother's employment, children's sex, and number of children in the family)? 3. How is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the variables? 4. How is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ir mother, father parenting beliefs and accorded parental parenting beliefs? 4-1. How is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maternal parenting beliefs? 4-2. How is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paternal parenting beliefs? 4-3. How is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accorded paternal parenting beliefs? The research population for this study includes 222 children who are all 5 years old and their parents, who live in Seoul city and Kyou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used for identifying parental parenting beliefs is the modified one by me,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table of Sameroff and Feil(1985).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 KPDSS developed by Hyun-Kyung Youm(1998) is used for identifying daily stress of children. Frequent analysis, one-way ANOVA and t-test were used for analyzing data obtained for this study and α coefficient of Cronbach's was u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questions.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ternal parenting beliefs are generally at higher degree which has a wide band of understanding than paternal parenting belief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al parenting beliefs according to the income level of family, the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mother's employment, and whether having brothers and sisters or not. The higher income and education level had the parents, the higher level of parenting beliefs had the parents. Also, If mother had a job and if the children had brothers or sisters, parents had the higher level of parenting belief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level of mother, children's sex. The higher degree had the mother, the less stress experienced children. Female children were less susceptible to stress than male.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parental parenting beliefs. Children's stress on a daily basis depended on maternal parenting beliefs. Futhermore, when maternal parenting beliefs accorded with paternal parenting beliefs, children's daily stress was even more highly dependent on parent's parenting belief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부모의 양육신념 = 5 1. 양육신념의 의미 = 5 2. 양육신념의 내용 = 6 3. 양육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11 B.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 14 1. 스트레스의 의미 = 14 2.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 16 3. 스트레스의 요인 및 변인 = 18 4. 유아의 스트레스 반응 및 행동 = 22 Ⅲ.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도구 = 26 1. 부모의 양육신념 = 26 2.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 KPDSS) = 28 C. 연구절차 = 29 1. 연구 기간 = 29 2. 예비연구 = 30 3. 보조 검사자 훈련 = 31 4. 본 연구 = 31 D. 자료분석 = 3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3 A. 부모의 양육신념 = 33 1. 부모의 양육신념의 전반적인 경향 = 33 2. 변인에 따른 부모의 양육신념 = 34 B. 변인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 38 C. 부모의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 40 1. 어머니의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 41 2. 아버지의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 41 3. 부모의 일치된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 42 Ⅴ. 결론 및 논의 = 44 A. 논의 = 44 1. 부모의 양육신념의 전반적인 경향 = 44 2. 변인에 따른 부모의 양육신념 = 45 3. 변인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 49 4. 부모의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 51 B. 결론 및 제언 = 53 참고 문헌 = 56 부록 = 69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93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부모의 양육신념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The Children's Daily Stress according to Parent's Parenting beliefs-
dc.creator.othernameLee, Tae-Hee-
dc.format.pageⅷ,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