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3 Download: 0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tudy on the influence Korean traditional play o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uthors
유명혜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Korean traditional play can influence o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wo major questions focused o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es Korean traditional play influence on the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2. How can Korean traditional play influence on domain of the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2-1.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n mathematical knowledge? 2-2.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n mathematical process skill? 2-3.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n mathematical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1 children at the age of 5 of N kindergarten in Kyunki-do. The 31 children in H class of N kindergarten were i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30 children of E class were in control group. From the former studies, the 18 Korean traditional play were used for this study. From September 6 to October 22, 2004, children played Korean Traditional play 5 days a week. During 7 weeks, children participated in Korean traditional play as small group(about 6 children) in indoor free play-time or played group game as large group in outside play-time. To compare mathematical achievement between two groups, assessment tool of Lee Ki Hyun(1995) was modyfied as a pre-test tool, while assessment tool of Kim So Hyang(2004) was used for post-test. The Co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of intertester, independant t-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outcom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suggested no difference on mathematical ability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2. The result suggested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on mathematical process skill,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knowledge. However, there is no sexu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영향을 줄 것인가? 2.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수학적 능력 하위요인 간에는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 2-1. 유아의 수학적 지식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의 수학적 과정기술에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2-3.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C구에 소재한 N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총 60명이었다. N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중 H반 유아 33명을 실험집단에, 만 5세 유아 중 E반 유아 31명을 통제 집단에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한 전통놀이는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참고하여 칠교, 실뜨기, 투호, 구슬치기, 성냥개비놀이, 땅재먹기, 사방치기, 공기놀이, 꽃찾기 놀이, 윷놀이, 딱지치기,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제기차기, 오목두기, 꼬리잡기, 고누, 산가지, 비석치기의 18가지 전통놀이를 선정하였다. 실험처치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유아들이 소집단(6명)으로 전통놀이에 참여하였으며, 실외놀이 시간에는 실외놀이터에서 유아들이 집단게임의 전통놀이에 참여했고, 2004년 9월 6일부터 10월 22일까지 주 5회 7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유아의 수학성취 정도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에서 제작한 SESAT(Stanford Early Achiement Test)Ⅰ,Ⅱ 검사지를 이기현(1995)이 우리의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한(수 개념, 문제해결, 기하, 측정의 4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것을 본 연구 의도에 맞게 연구자가 보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처치 후 유아의 수학적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김소향(2004)이 개발한 ‘수학 게임을 통한 유아의 수학적 지식,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에 대한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예비조사에서는 두 집단간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 사용될 연구도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관찰자간 신뢰도를 위해 일치도 검증을 하였으며 연구문제 1,2는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변인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놀이 활동을 경험한 집단과 경험하지 못한 집단 간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 활동을 경험한 집단과 경험하지 못한 집단 간 유아의 수학적 지식, 수학적 과정기술, 수학적 태도, 유아의 수학적 지식에 차이가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