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정신지체 교육과정"중등부"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견해 조사연구

Title
정신지체 교육과정"중등부"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견해 조사연구
Authors
박미경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교육과정이 과거의 교사주도적인 학습형태에서 벗어나, 삶의 전반적인 면에 관련되기 시작하면서, 내용 편성면에 많은 변화를 갖게 되었다. 특히, 장애아를 위한 교육과정은 교과중심에서 탈피하여 점차 생활중심의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게 되었으나, 아직 우리나라의 실정은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시각에서 현행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재고해 보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다 실제적이며 장애와, 부모 및 교사가 바라는 교육과정, 또 변화하는 사회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현재 실시되는 교육과정이 되도록 하기 위해, 현재 실시되는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의견을 알아보고, 더 나은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해 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Halpern과 Benz(1987)가 기능주의적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으로, 예비조사를 거쳐 한국의 실정에 맞도록 재구성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정신지체 교육과정(중등부)에 대해' '예후에 대한 견해' 및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의견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특수학교 6개교의 중등부 정신지체 교사 60명과, 부모 66명이다.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t검증과 x^(2)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지체 교육과정(중등부)에 대해 '특수교육 서비스의 제공여부'에 대해 전통적 과목외의 8개 영역에서 교사와 부모간 의견의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기능적 과목, 가정생활 기술, 사회생활 기술, 여가활용 기술의 제공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부모의 비율은 교사보다 높았으며, 학교만이 제공한다고 응답한 교사의 비율은 부모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학교교육이 이러한 교육을 전적으로 맡고 있다는 견해에 비해서 부모들은 만족하지 못하다는 견해를 보여준다. '교육받는 상태'에 관해서, 영역전체에 대해 교사, 부모 집단간 유의한 차가 나타나 현재의 교육상태를 교사가 부모보다 더 좋게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각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기능적 과목, 지역 사회 생활기술, 관련 서비스에서 유의한 의견의 차를 보았다. '교육에 대한 만족도'에서 전통적 과목은 부모가 교사보다 더 만족하고 있으며, 개인-사회기술, 직업준비, 관련 서비스에서는 교사가 부모보다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과정의 절정성'에 대해서는 집단간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예후에 대한 견해 '졸업후 생활방법에 대한 정보'는 비공식적 절차 (i.e., 동창회, 모임)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학교 졸업 10년후의 예후'에 대해 교사와 부모는 보호작업장 취직을 가장 많이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졸업 10년후 거주지'에 대해서는 두 집단이 가정에서 살 것을 가장 많이 생각하고 있었다. 3. 개선되어야 할 사항 '정신지체 교육과정(중등부)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교사와 부모는 보다 적절한 교육과정의 필요를, '직업기회 개선'과 관련하여 보다 적절한 교육과정의 필요한 직업 교육국 등의 행정적 지지를 중요한 사항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the perceptions and the level of satisfacion of parents and teachers on the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mentally retard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and used by Halpern was slightly adjusted to fit to the Korean situation and was distributed to 66 parents and 60 teachers of 6 secondary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in Seoul. For statistical understanding, t test and x^(2) were used to analyze the responses on the nine domains(traditional academics, remedial academics, functional academics, home living skills, community living skills, personal-social skills, leisure-recreational skills, vocational preparation and related service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Parents and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views on their perception over the availability of courses such as functional academics, home living skills, community living skills and leisure-recreational skills. The teacher expressed that only the school provides these courses, whereas the parents expressed unsatisfactory responses.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views on the condition of offering such courses. The teacher evaluated the present level of education in the areas of functional academies, community living skills and related services more favorable than the parents did. On their level of satisfaction over the traditional academics, the parents expressed greater satisfaction than the teachers, the teachers showed greater satisfaction than the parents over the personal-social skills, vocational preparation and related servic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iculum. 2. Concerning the prognosis of the life after graduation, both groups showed favorable expectation of cetain sheltered-workshop employment of the youngsters, along with their expectation of keeping them stay at home. 3. For the aspects of the curriculum to be improved both groups showed great concern for the availability of job-opportunity, thus, expressed great need of the administrative endeavor for promoting such opportun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