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8 Download: 0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이론에 기반한 도덕과 교육론 탐색

Title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이론에 기반한 도덕과 교육론 탐색
Other Titles
Looking for Moral Education Integrating Moral Knowledge with Moral Practice : Based on "Akrasia" in Aristotle's Moral Theory
Authors
이윤나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경원
Abstract
This thesis shares a goal of moral education with the curricula after the 7th revision, which aims at making a connection between moral knowledge and moral behavior. However, this thesis does not merely succeed to the goal, but further attempts to establish its theoretical foundation. Establishing a theoretical foundation stands as important because the 7th education curricula have provided students with limited teaching that emphasizes on a cognitive aspect due to lack of theoretical foundation even though the curricula initially aimed at providing students with moral practice and developing their moral virtues. This problem, which stems from the lack of theoretical foundation, can be solved by understanding Aristotle's moral theory. Thus, in this thesis, I clarify the convoluted relation between moral knowledge and moral practice, based on Aristotle's moral theory. I further show how Aristotle's moral theory can specify the moral and educational goals of the 7th revised curricula. According to Aristotle, reason is the intrinsic factor that identifies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can eventually have virtue when they formulate habits under which reason is successfully functioning. In order for us to transform our behaviors and emotions to virtues, moderation (or "golden mean") is necessary; at this moment, practical wisdom is required among intellectual virtues operated by reason. In other words, via practical wisdom, we have to think over which action among alternatives is useful to us, choose one action, and moreover, try to habituate ourselves to the action. However, it is not easy to develop moral virtues and the discrepancy between moral knowledge and moral practice often occurs. Due to this reason, Aristotle suggests a different explanation about the relation between moral knowledge and moral practice than Socrates and Plato do. Unlike Socrates and Plato, Aristotle does not think that knowing that a certain action is morally right leads to doing that action. Instead, according to Aristotle, there are four reasons that explain the occurrence of Akrasia. First, Akrasia occurs when possessing moral knowledge and applying such moral knowledge is disconnected. Next, Akrasia can occur when we fail to utilize our moral knowledge due to alcohol, sleep, or madness. Third, even though we fully acknowledge moral knowledge, when we are hindered in using the knowledge because of our emotion occupied by desires, Akrasia can also occur. Last, we have to consider not only a general moral proposition but also a specific instance to which such a general proposition is applied. When Aristotle addresses the potential four problems that can cause discrepancy between moral knowledge and moral practice, he thinks that practical wisdom can shed light on the way to integrate moral knowledge with moral practice. Practical wisdom consists of three steps: meditation, choice·decision, and practice. Through these three steps, practical wisdom affects an agent's ability to judge under a specific circumstance as well as an agent's personality through the process of practicing a morally desirable action. Therefore, practical wisdom is not only an intellectual virtue, but also simultaneously a moral virtue. At the core, moral education must allow students to evoke motivation that makes them consider an abstract moral problem as "my problem." This is achieved by allowing students to learn that they in fact do not sufficiently recognize emotional factors that can connect moral knowledge to moral practice. Furthermore, through actual experience of conducting moral actions, they naturally make a connection of moral practice to moral knowledge here, moral knowledge and moral practice become integrated. As see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moral education based upon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reasons that bring disconnections between moral knowledge and moral practice, which are pointed by Aristotle. Thus, morality education has to consist of contents enabling students to transform and develop abstract moral principles to their own problem under specific situations, rather than indoctrinate them with a set of moral principles. In addition, teachers need to put efforts to make teaching materials that allow teachers to educate students in a way that integrates students' moral thinking with emotional development. Therefore, in this thesis, I reconstruct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a based upon Aristotle's moral theory, and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current pedagogy. Furthermore, I suggest adopting "My Moral Diary" as one course teaching material; "My Moral Diary" would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ordinarily reflect and practice moral knowledge, which they learn during a morality class.;본 연구는 제7차 이후의 교육과정에서 도덕적 앎과 도덕적 행위간의 관계를 연계하고자 하는 도덕과 교육의 방향을 수용하되 그 이론적 근거를 확고히 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왜냐하면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은 도덕성 함양과 그 실천을 목표로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과정을 안내할 이론적 바탕이 부족하여 여전히 도덕과 수업에서는 인지적인 측면의 설명위주 수업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먼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사상을 검토하여 도덕적 앎과 도덕적 행위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복잡한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과 교육의 방향을 주장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고유한 기능을 이성으로 보았고, 이 이성이 탁월하게 발휘되어 습관이 형성될 때 비로소 덕이 형성된다고 보았다. 우리의 행위나 감정이 덕이 되기 위해서는 중용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이성의 원리인 지적인 덕 중에서 실천적 지혜이다. 실천적 지혜에 의해 무엇이 인간에게 유익한 것인지 심사숙고한 후에 그것을 선택하여 행위하고 습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도덕적인 덕은 함양하기가 쉽지 않고 도덕적 앎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는 도덕적인 앎과 도덕적인 행위의 관계를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이 주장한 지행합일론과 다르게 설명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크라시아가 발생하는 원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도덕적 앎의 소유와 활용의 구분에서 아크라시아가 발생한다. 둘째, 술이나 잠 혹은 광기로 인해 앎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아크라시아가 발생한다. 셋째, 완전한 지식을 가지고도 욕구에 의해 그것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에서 발생된다. 넷째, 보편적인 명제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명제도 함께 활용되어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도덕적 앎과 도덕적 행위의 관계에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검토해 볼 때, 그는 도덕적 앎과 도덕적 행위가 일치될 수 있는 실마리가 실천적 지혜에 있다고 보았다. 실천적 지혜는 숙고, 선택·결정, 실천의 3단계를 거치면서 구체적인 상황에서 행위자가 무엇인가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과 동시에 올바른 실천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행위자 자신의 성품을 결정짓는데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 때문에 실천적 지혜는 지적인 덕이면서 동시에 도덕적인 덕의 불가분한 관계에 놓여있는 것이다. 도덕과 교육에서 도덕적인 앎과 도덕적인 행위를 이어주는 정서적인 요인을 충분히 끌어내지 못한 점을 지적하여 도덕의 문제를 ‘나의 문제’로 이끌어 줄 수 있는 동기유발이 필요하다. 또한 도덕적 행동에는 실제 도덕적 행위에 대한 경험 축적으로 인해서 도덕적 앎과 도덕적 행위가 일치하게 된다. 이처럼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도덕적 앎과 도덕적 행위의 불일치 관계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도덕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도덕 교과 내용이 추상적이고 일반적인 도덕규범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구체적인 맥락에 맞는 개인의 문제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구성 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도덕적 사고와 정서적인 요인을 모두 통합하여 교육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에 근거하여 현행 도덕과 교육 내용을 재구성하고 교육 방법을 체계화함을 주장하고 하나의 수업 적용 사례로 <나의 도덕 일기장>을 개발하였다. 이 도덕 일기장은 도덕과 교육에서 배웠던 도덕적 앎을 가지고 학생들의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고 반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