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6 Download: 0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7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의 STS 관점의 비교 분석

Title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7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의 STS 관점의 비교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between the 7th curriculum and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s by in the STS viewpoint: On the 'Earth' chapter of the 10th grade
Authors
장유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정문
Abstract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의 10학년 과학교과서(약칭, 7차 교과서)와 차세대 과학교과서(약칭, 차세대 교과서)의 내용을 STS 요소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차세대 교과서 와 5종류의 7차 교과서에서 각 지면 당 포함된 STS 내용을 수밀도 개념으로 조사하였다. Yager(1989)와 Piel(1981)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각각 STS의 영역 구성요소와 주제영역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교과서에서의 탐구활동은 SATIS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8가지 STS 구성요소의 전체는 차세대 교과서가 33.7%로, 7차 교과서의 21.8%에 비하여 상당히 높았다. 8가지 구성요소 중에서 7차 교과서는 ‘지역사회와의 관련성’과 ‘과학의 응용성’에서, 그리고 차세대 교과서는 ‘지역사회와의 관련성’과 ‘과학의 다차원성에 대한 인식’에서 높았다. 7차 및 차세대 교과서들에서 지구 단원의 소단원들은 ‘지구의 변동’과 ‘태양계와 은하’보다 ‘대기와 해양’에서 더 많은 STS 요소를 포함하였다. 이는 후자가 전자에 비하여 실생활 소재와 더 많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8가지 STS 주제에서, ‘인간공학’과 ‘인구’는 지구과학 범주에서 일반적으로 벗어나므로 7차 및 차세대 교과서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7차 교과서 내용의 82%는 ‘과학의 사회화’, ‘환경문제’, ‘천연자원’이었고, 차세대 교과서 내용의 81%는 ‘천연자원’, ‘우주개발과 국방’, ‘에너지’이었다. 7차 및 차세대 교과서의 탐구활동 영역에서는 ‘자료해석’이 가장 많았다(54~59%). 이들 교과서에서는 '자료해석‘ 다음으로 ‘조사연구’, ‘모의실험’, ‘구조화된 토론’이 많았다(37~47%). 그러나 고차원적인 사고를 촉진하는 ‘역할놀이’나 ‘연구 고안’의 활동은 전무하여서 창의력 신장 및 자기 주도적 학습의 관점에서 교과서 보완이 요구된다.;The study analyzes the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7th curriculum(i.e. 7th textbooks) and the next generation science textbook(i.e. the NG textbook) from viewpoint of STS elements. The STS contents which were included in each page of he both textbooks were examined in terms of number density. The STS contents and subjects which were suggested by Yager(1989) and Piel(1981), respectively, have been investigated. Also the inquiry activity in the textbook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e SATIS program. In the totals of eight STS contents, the NG textbook(33.7%) was greater than the 7th textbooks(21.8%). Among the eight contents, the 7th and the NG textbook highly showed 'multiple dimensions of science' and 'applications of science', respectively commonly with 'local and community'. In the 7th textbooks and NG textbook, the unit of 'Earth' chapter contained the STS elements in the 'atmosphere and ocean' was more than in the 'Earth variability' and 'solar system and galaxy'. This fact means that the 'atmosphere and ocean' was more associated with the STS. Since the unite of 'human engineering' and 'population' beyond the scope of earth sciences in view of eight STS subjects, it did not appear in the 7th textbooks and the NG textbook. The most contents(82%) of the 7th textbooks belong to 'sociology of science‘, ’environmental quality‘ and 'natural resource’, and the NG textbook contents(81%) correspond to 'nature resources‘, ’space research national defence‘ and 'energy'. In the field of inquiry activity, the 'data analysis' was mostly shown in the 7th and NG textbooks. Then the items of 'investigate researches’, ‘simulation’ and 'structured debate‘ were given significantly(37-47%) in the both textbooks. However, the revision of the textbooks may be required for the growth of 'creative thinking' and 'self-motivated education' became they did not provide activities of 'role play’ and 'design research‘ necessary for multi-dimensional think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