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정지현-
dc.creator정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7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73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사와 영아의 그림책 보기 상황에서 그림책의 종류에 따라 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그림책의 종류에 따라 교사의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는가? 1-1. 그림책의 종류에 따라 교사의 언어적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는가? 1-2. 그림책의 종류에 따라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는가? 2. 그림책의 종류에 따라 영아의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는가? 2-1. 그림책의 종류에 따라 영아의 언어적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는가? 2-2. 그림책의 종류에 따라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P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아 30명(18~30개월)과 교사 12명이었다. 연구도구로는 종류가 다른 그림책 4권(이야기가 있는 보드북, 이야기가 있는 토이북, 정보제공적인 보드북, 정보제공적인 토이북)과 교사와 영아의 의사소통 관찰 도구가 사용되었다. 책 보기 활동 시 교사와 영아의 의사소통범주는 크게 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나뉜다. 교사의 언어적 의사소통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Senechal 등(1995)의 분석기준을 최은주(2002)가 수정·보완한 것을 본 연구자가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유형은 김민화(2005)가 제작하여 사용한 것을 연구자가 예비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예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영아의 언어적 의사소통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Whitehurst와 Valdez-Menchaca(1992)의 분석기준을 토대로 최은주(2002)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자가 예비연구를 통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유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김민화(2005)가 제작하여 사용한 것에 기초하여 최은주(2002)가 수정한 측정범주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예비연구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와 영아의 책보기 시 의사소통은 모두 비디오로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그림책의 종류에 따라 교사와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와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을 각 범주별, 하위범주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의 차이검증을 위해서는 사후검증(Scheff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의 종류에 따른 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살펴보면, 4가지 종류의 그림책을 볼 때, 교사는 내용별로는 이야기가 있는 그림책 보다는 정보제공적인 그림책에서, 형태별로는 토이북 보다는 보드북에서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였다. 교사의 언어적 의사소통은 그림책의 내용(이야기, 정보제공)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설명하기, 질문하기 피드백하기, 주의환기, 지시하기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교사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그림책의 형태(보드북, 토이북)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포인팅, 제스처, 행동, 신체접촉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야기가 있는 보드북을 볼 때, 교사는 그림책에 대한 묘사와 추측·예측, 기술적 제스처를 많이 사용하였고, 이야기가 있는 토이북을 볼 때, 교사는 그림에 나타난 기능이나 행동을 묻는 질문을 많이 하였으며, 정보제공적인 보드북을 볼 때, 교사는 다른 종류의 책들에 비해 많은 의사소통이 시도하였으며, 주의환기, 설명하기, 질문하기, 피드백하기, 주도적·반응적 포인팅, 정서적 신체접촉을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그림책의 종류에 따른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살펴보면, 4가지 종류의 그림책을 볼 때, 영아는 내용별로는 이야기가 있는 그림책 보다는 정보제공적인 그림책에서, 형태별로는 토이북 보다는 보드북에서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였다.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은 그림책의 형태(보드북, 토이북)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영아의 언어적 의사소통은 응답, 자발적 대화, 모방, 명명, 질문, 요청, 탈상황적 대화, 혼잣말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고,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조작, 표현, 포인팅, 제스처, 신체접촉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이야기가 있는 보드북을 볼 때, 영아는 모방적 제스처를 많이 하였고, 이야기가 있는 토이북을 볼 때, 영아는 그림책을 조작하는 행동을 많이 나타났으며 모방적 제스처를 많이 하였다. 정보제공적인 보드북을 볼 때, 다른 종류의 책에 비해 많은 의사소통을 시도하였는데, 모방, 명명, 응답, 주도적·반응적 포인팅, 반응적 표현을 많이 하였다. 정보제공적인 토이북을 볼 때, 영아는 그림책을 조작하는 행동이 많이 나타났으며, 주도적인 표현의 빈도도 높았다.;The research is focused on the communications classified into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when they read different kinds of picture books. The investigation had been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hypothesis. 1. Do the teachers' communicational expressions have any relations to the kind of picture books? 1-1. Do the teachers' verbal expressions have any relations to the kind of picture books? 1-2. Do the teachers' nonverbal expressions have any relations to the kind of picture books? 2. Do the infants' communicational expressions have any relations to the kind of picture books? 2-1. Do the infants' verbal expressions have any relations to the kind of picture books? 2-2. Do the infants' nonverbal expressions have any relations to the kind of picture books? The research investigated 30 infants(aged from 18 to 30 months old) and 12 teachers in a child care center in Gyeonggi-do. Utilized tools for the observation of the reading exercise are four different kinds of picture books(narrative board and toy books, and informative board and toy books) and observatory instruments to video-record subjects' reactions. The communicational expressions of each participant are categorized into verbal or nonverbal responses. Eunju Choi(2002)'s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Senechal(1995)'s theory are reassessed and adopted to the interpretation of teachers' verbal reactions while Minhwa Kim(2005)'s set of investigatory tools is applied to analyze the teachers' nonverbal expressions with addition of newly devised concrete examples from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her study. Whitehurst and Valdez-Menchaca(1992)'s analyzing standards, mended and supplemented by Eunju Choi(2002) are reassessed and applied for the study of infants' verbal reactions and Minhwa Kim(2005)'s evaluating tools from which Eunju Choi(2002) developed a measurement category are applied for the study of infants' nonverbal communications. The subjects' activities are video-recorded to see their reactions when participating picture book reading exercise. The reactions of each participant are categorized and sub-grouped to be evaluat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est, and One-way ANOVA. The Scheffe's methods are performed for the comparison of the participants different reactions. The research found out following results. First, teachers showed different verbal and non-verbal reactions to the four different reading resources.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ooks, they responded more actively to the informative books than the narrative ones and in respect of the type of the picture books, board books induced more frequent reactions than the toy books. Their verbal expressions had relations with the kinds of contents(narrative or informative) of the books and reactions came out most frequently in the order of explaining, questioning, giving feedback, drawing attention, indicating. Teachers' non-verbal expressions showed different results to the type(board or toy) of the books and pointing, making gestures, taking motions, having physical contacts were the most frequent expressions. When reading narrative board books, teachers tend to focus on describing the pictures appeared in the books, involved in guessing and predicting, and showed descriptive gestures. They become more active to ask questions to infants about the meaning and motions described in the pictures of the narrative toy books while informative board books needed teachers' more various ways of communicational expressions such as drawing attention, explaining, questioning, giving feedback, taking reciprocal pointing gestures, having physical contacts with emotional expressions. Second, infants showed different verbal and non-verbal reactions to the four different reading resources.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ooks, they responded more actively to the informative books than the narrative ones and in respect of the type of the picture books, board books induced more frequent reactions than the toy books. They showed more visible reactions to the different types(board or toy) of the books. Their verbal expressions were answering, leading conversation, imitating, naming, questioning, asking, engaging into irrelevant topics, talking to themselves, and von-verbal expressions were manipulating the items in the books, showing emotions, pointing, giving gestures, having physical contacts in the order of frequency. Their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had relations with the kinds of contents(narrative or informative) of the books. In specific, narrative board books generated more frequent imitating gestures and they were also observed in infants' responds to the narrative toy books which were accompanied with utilization of items in the toy books. Informative board books required mor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infants and imitating, naming, answering, taking reciprocal pointing gestures, responding were among their frequently observed expressions. When reading informative toy books, they showed deep interest to the manipulation of the items in the toy books and became more active to show their express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영아용 그림책 = 4 B. 그림책 함께 보기 상황에서의 영아-교사의 의사소통 = 11 Ⅲ. 연구방법 = 18 A. 연구대상 = 18 B. 연구도구 = 19 C. 연구절차 = 28 D. 자료분석 = 3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2 A. 그림책의 종류에 따른 교사의 의사소통 = 32 B. 그림책의 종류에 따른 영아의 의사소통 = 39 Ⅴ. 논의 및 결론 = 45 A. 논의 = 45 B.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6 부록 = 62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79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그림책의 종류에 따른 교사와 영아의 의사소통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ers' and infants' communicational expressions to different types of picture books-
dc.creator.othernameJung, Ji Hyun-
dc.format.pageⅶ,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