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환경영화제를 활용한 중등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분석

Title
환경영화제를 활용한 중등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분석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 Middle School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using Green Film Festival and Analysis of its Application Effect
Authors
이인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경숙
Abstract
수업의 관심과 흥미를 높이기 위한 여러 방안들이 모색되어져 왔으며 이와 함께 영화의 활용이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여러 선행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환경과목에 있어서 그 연구의 수가 현저하게 부족하였으며 실 수업에 활용하기에 영화의 선택과 편집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 실제로 수업에 영화를 활용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환경과목과 가장 밀접성이 높은 환경영화제의 출품작들을 중심으로 실제 수업에 활용하기 적합하도록 중·고등 환경과목의 내용별, 단원별로 영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수업모형을 개발,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환경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 그리고 인지적 측면에 효과가 있는지와 환경영화제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환경영화제의 제4회 출품작들을 내용별로 분석한 뒤 교사들이 활용하기 수월하도록 각 단원별로 분류하였으며 그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단원에 해당하는 영화‘미트릭스’를 선정하여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영화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인지적 측면에서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 전, 후의 설문지를 제작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를 활용한 환경수업은 학생들에게 인지적 측면의 상승효과를 가져왔다. 환경파괴의 위험성과 함께 환경을 더욱 지켜야만 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태도, 지식의 영역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참여도 면에서 학생들이 크게 증진된 모습을 보였으며 수업이후 학생들의 환경에 대처하는 능동적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둘째, 환경영화제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에서는 환경영화제가 생소하게 느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럼에도 학생들이 영화를 보고 재미와 내용적 면에서 만족했음을 볼 수 있었다.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넘어 수업내용과의 일치를 통해 좀 더 효과적으로 수업에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등 환경과목의 내용별 환경영화의 분석을 통해 환경영화제의 영화가 특정 주제에 치우쳐져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 생물다양성, 에너지 부분의 영화는 그 수가 많았던 반면 산성비와 토양오염, 오존층파괴 같은 “환경오염”부분의 영화가 한편도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앞으로 이 분야의 영화가 조금 더 다양해진다면 학교 환경과목 수업에 있어 그 활용이 더욱 효과적일 것은 물론, 조금 더 폭넓은 시각과 풍부한 주제의 환경영화제를 볼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영화제를 활용한 환경수업이 학생들의 흥미를 일으킴은 물론 인지적 측면과 참여의지 면에서 뛰어난 성장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친환경적 인간을 기른다는 환경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 교육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As a wide range of methods to enhance interest in and attention to class materials and learning in general has been found, films have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class education by quite a few studies previously performed. In contrast, studies on environment as a school subject have hardly been conducted. Besides, it takes plenty of time to select and edit films to be suitable for actual class lessons, which makes it hard to make use of films for class lessons in practice. In view of difficulties aforesaid, this study analyzed films that have been showed at the Green film festival and ar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 and lessons of the environment subject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developed an applicable model for actual environment class and applied the developed model to an actual environment class to find out whether it is effective for raising students' interest in, attention to and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 subject as well as the Green film festival. The films showed at the 4th Green film festival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ontent and classified in order for teachers to easily use them in class by sorting them in connection with each lesson of the environment subject. Among the content classified and sorted, the film 'The Meatrix,' which corresponds to environmental lesson "endocrine disruptor, was chosen to develop the model to be used in actual class. To find out students' interest in, attention to and perception of the effect of film-based environment lesson,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to conduct a survey before and after the class with the 1st year students of a junior high school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fter the clas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nvironment class using films were found to bring a synergy effect to student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Students perceived hazardous effects of environmental damage and realized the necessity for further protection of environment,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attitude and knowledge. In particular, students showed highly increased attitude in participation and willingness to actively coping with environmental issues after class. Second, students were found to feel unfamiliar with the festival but interested in and satisfied with the content of the film. Film-based environment class was found not only to enhance interest but also to be possibly and further effectively used in class by presenting more elements matching the lessons to be learned. Third, the films showed at the Green festival were found to be partial to certain them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ntent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 subject taught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The content or themes in films related to endocrine disruptors, biodiversity and energy were plentiful while acid rain, soil contamination and ozone layer damage, all of which belong to the field of environment contamination, were found never to be dealt with. Further and more diverse film-makings on this theme would be more helpful and effective to the environment class in schools let alone enrich the Green film festival with broader vision and more diverse themes. Through this study, environment class using films showed at the Green film festival was found to remarkably raise students' interest in, perception of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nvironment class activities, and to possibly be used as an effective alternative educational tool to achieve the goal of environment education to bring up environment-friendly human be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