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하-
dc.contributor.author장민아-
dc.creator장민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5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0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585-
dc.description.abstract수학 학습 과정에서 평가가 가지는 중요성에 비해 실제 평가 문항이 제작되는 과정이나 평가 목적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평가 결과의 활용 실태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별로 없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수학과 평가에 관한 전반적인 실태 조사를 통해 학생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학생평가를 하는데 있어 어려운 점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바람직한 학생 평가가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학교에서 수학과 중간, 기말고사 평가 문항을 어떻게 출제 하는지, 시험 후 검사 문항에 대한 반성을 스스로 해 보는지, 또 시험 본 결과 학생들의 점수 등의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와 더불어 중․고등학교 수학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 및 평가의 공정성, 사교육과 주입식 교육과의 관련성 등 학생평가에 관한 근본적인 의미에 대해서 물음을 제기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중․고등학교에 근무 중인 수학 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146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χ²(Chi-squar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수학교사들은 중간, 기말고사 문항을 제작하기 위해 어떤 절차와 방법을 사용하는가? 2. 시험 후, 평가 문항에 대한 검토 및 평가 결과의 활용은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는가? 3. 교사들은 중간, 기말고사를 어떤 검사형식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학생평가 전반에 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교사들은 동료교사들과 협의를 통해 문항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주로 수업 시간에 배웠던 내용,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바탕으로 문항의 난이도를 조절하고 있었다. 문항 제작을 위해 이원분류표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형식적인 절차로 여기거나 기존의 행동 영역의 하위요인에 대한 비판적 의식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하여 문제해결, 추론, 연결성 등을 수학교과에 적합한 행동 영역의 하위요인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 둘째, 평가 문항에 대한 검토 및 평가 결과의 활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수학교사들이 평가 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평가 관련 연수의 내용을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사범대 등의 교육기관에서는 수학 평가와 활용 등에 관한 교육 과정을 개설하여, 예비 수학교사들이 학습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이에 대한 지식과 소양을 충분히 갖추도록 유도해야 한다. 평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이란 점에서 교사의 부가적, 행정적인 업무를 간소화하여 시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교사들이 평가 후 결과 활용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수학교사들은 학교에서 치러지는 시험을 형성평가, 준거지향평가로서 인식하고, 평가 문항을 제작하면서 그 결과를 상대평가에 이용하고 있는 모순된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공정한 학생 평가를 위해 수행평가, 문제해결 과정 평가, 과제 수행 능력에 대한 평가 등 다각도의 평가 방식을 통해 학생의 학습 성장을 점검하고 적절한 피드백 및 방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학교 수업의 영향력을 높이고 사교육을 경감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평가는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수학과의 특징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일회적이고 단편적인 지식 중심의 평가가 아닌 지속적이고 다면적으로 학생의 능력을 평가하여 학생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수학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다.;Although test is important in mathematics learning, few preceding studies have researched into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wherein the test items were produced or the goals of the test or uses of the test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onditions of the mathematics learning performance test and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st and the obstacles impeding their test, and then, explore the reform measures to improve education of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157 mathematics teachers working for the secondary schools in Seoul for a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4.0 program. The study questions raised were as follows; 1. What procedures and methods would the mathematics teachers use to produce the items of semi-term and term-end tests? 2. After the test, how would the test items be reviewed and how would the test results be used? 3. How would teachers recognize semi-term and term-end tests? And how would they perceive the overall learning performanc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Many teachers had produced the test items through cooperation with their colleagues, while controlling the level of difficulties in reference to the contents of learning and students' levels of understanding. In order to produce the test items, teacher were using a dual classification table, but they tended to regard it as a formal procedure, being little critical about the sub-elements of the existing behavioral areas. The examples of such sub-elements were problem-solving, inferring, linking and other behavioral sub-elements suitable to mathematics learning. 2. Test items were little reviewed, while test results were little used. In order to induce mathematics teachers to make use of the test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est-related training programs to befit the educational fields. Since the most important goal of test lies in simplification of teachers' auxiliary and administrative job responsibilities to make effective their use of time, it is deemed necessary to allow the teachers to have a sufficient time to use the test results in a natural way. In addition, such teachers' education institutes including teachers' colleges are obliged to open a curriculum about test of mathematics learning performance and use of its results, so that the would-be mathematics teachers can be well versed in discharging their teaching responsibilities. 3. It was found that mathematics teachers recognized the test as absolute learning performance test or reference-oriented test in producing the test items, but that they used the test results as relative rating, which was deemed satisfactory. For a fair test of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it is required of the teachers to use such multi-faceted test methods as in-learning test, problem-solving procedure test and task-performing ability test, etc., and thereby, check students' learning growth, and feedback the test results into their teaching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students' learning, while enhancing the influence of the school education and relieve students of their private tutoring burden. The test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d cultivate their problem-solving ability in a way conform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classroom. So, mathematics teachers are deemed obliged to make more efforts so that the test may not be ephemeral or fragmental knowledge-centered test but a test evaluating students' ability continuously and multi-faceted to help their intellectual grow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D.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학교 수학에서의 평가 = 5 B. 평가 문항 제작 = 10 C. 수학과 평가 관련 연수 실태 = 21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 대상 = 24 B. 조사 도구 = 24 C. 조사 방법 = 25 D. 자료 분석 = 25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26 A. 수학과 평가 실태 조사 = 26 B. 수학과 평가에 관한 중ㆍ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 52 C. 수학과 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58 D. 평가 영역 연수 실태 및 개선방안 = 63 Ⅴ. 결론 및 제언 = 67 A. 요약 및 결론 = 67 B. 제언 = 71 참고문헌 = 72 부록 = 74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38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수학교사의 학생평가 실태 조사 및 평가 활용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athematics Teachers' Test of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and Uses of Their Test Results-
dc.creator.othernameJang, Min Ah-
dc.format.pageⅶ,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