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2007년 개정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내용에 관한 교사 인식 연구

Title
2007년 개정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내용에 관한 교사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eachers' perceptions of the 1st semester 2nd grade educational content in the 2007 Revised Intelligent Life curriculum
Authors
홍수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이 연구는 2009학년도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주요 학습 내용에 대한 교사 인식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첫째, 교사들이 슬기로운 생활의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점을 알아보고, 둘째, 2학년 1학기 슬기로운 생활 1 ~ 3단원의 단원별 주요 내용에 대해 내용의 중요도, 내용이 명료하게 제시된 정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내용에 대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개발자의 검토를 토대로 단원별 주요 내용을 추출하여 설문지로 제작하였으며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2학년 담임교사 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설문지 총 98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슬기로운 생활 교과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슬기로운 생활 문제점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교육 내용 양과 수준의 적정성, 종․횡적 연계성과 마찬가지로 단원별로 가르쳐야 할 중요한 개념이나 기능을 분명하게 설명하는 교육 내용의 구체성과 관련한 문제에도 보통이상의 동의를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 교육 내용에 대한 평가를 할 때 양과 수준의 적정성이나 내용 연계성을 위주로 논의하였다. 하지만 이전 교육과정 개정 때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의 적정성과 연계성에 대해 고려 할 뿐만 아니라 단원에서 가르쳐야 할 중요한 내용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며 이를 통해 교육 내용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내용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슬기로운 생활 교과에서 강조하는 기초 탐구 능력과 관련된 내용보다 단원에서 이해해야 할 내용이나, 가져야 할 태도와 관련된 내용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에서는 탐구 활동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은 그 것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슬기로운 생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에 대해 교육과정 개발자와 교사들 간의 보다 활발한 의사소통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셋째,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1에서 3단원의 내용이 명료하게 제시된 정도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각 단원별 주요 내용이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 드러나긴 하였지만 잘 설명된 수준까지는 아닌 것으로 결과가 드러났다. 이를 통해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서 주요 학습 내용을 좀 더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드러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 활동 제재로 나타난 내용에 비해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이 이해해야 할 내용이 명료하게 제시된 정도가 낮다는 결과를 통해 슬기로운 생활에서 강조하는 탐구 활동 뿐 아니라 탐구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알아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 제시를 좀 더 명료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슬기로운 생활 교육 내용 문제점의 개선 방안을 조사한 결과 8개의 항목 중 6개의 항목에서 ‘중요함’과 ‘매우 중요함’ 사이의 응답을 보여 주었으며 나머지 두 개의 항목 또한 ‘중요함’에 가까운 응답을 보여 주었다. 교사들이 내용 개선 방안으로 ‘중요함’ 이상의 응답을 한 항목은 ‘각 단원에서 핵심적으로 가르쳐야 할 지식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시한다’, ‘각 단원의 활동에서 탐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와 설명을 한다’, ‘각 단원 학습 활동 중 필수로 수행해야 할 영역과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표시한다’, ‘교사용 지도서에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학습 내용을 함께 제시한다’, ‘각 단원 학습 목표를 ‘내용+활동’으로 진술할 때 내용 측면을 구체적으로 진술한다‘, ‘각 단원에 제시된 교육 내용 간 논리적 관계성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다‘ 등의 항목으로 나타났다. 양과 수준의 적정성, 내용 연계성 및 구체성과 같은 슬기로운 생활 교육 내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부터 이러한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기준으로서 교육과정의 특성을 갖추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의 연구 내용 및 결과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슬기로운 생활 교육 내용의 문제점으로 타 교과와의 중복 문제가 가장 많이 응답된 점을 생각해 볼 때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의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 통합교과 단원별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통합교과 별로 강조해야 할 내용과 축소해야 할 내용을 구분하여 내용 중복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내용 중요도 조사 결과를 통해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강조하여 제시하는 것과,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내용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슬기로운 생활 교육 내용에 대한 내용 인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수업 관찰과 교사 면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성격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한 교사들 중 반 이상이 슬기로운 생활을 ‘사회과 및 과학과의 예비단계의 교과’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성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차이가 어디에서부터 시작하는 지를 고찰하고 교과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며 현재와 같이 지나치게 지식 위주 수업을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 재고해 봐야 한다고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first semester second grade educational content in the 2007 Revised Intelligent Life Curriculu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problems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regarding the educational content in the 2007 Revised Intelligent Life Curriculum? Second, What is the opin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degree of content importance and degree of content clarity in the first semester second grade educational content units 1, 2 and 3? Third, What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the improvement in the educational contents? To analyze these questions, I took professional advice and made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the main contents of each uni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98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teaching second grade at elementary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SPSS Win 12.0 program. The study utilized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agree that the specification of statement is as important as the relevance of content and articulation in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So the statement of contents specifying what students should know is important for development of curriculum. Second, the teacher think that basic inquiry and cognitive content is important, of course, but attitude content is more importan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mphasis of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and the teachers' one. So I think developers and teachers need more communication about the main contents of Intelligent Life Curriculum. Third, the teachers think that some of the main contents of the units are not clearly presented in the text book and instructional materials in second grad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units 1, 2, and 3. So,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should present its main contents more clearly. Fourth, in the questionnaire, teachers were asked to rate the improvement in the educational contents on a scale of 1 to 5, ranging from "not important" to " very important". 6 items out of 8 item were indicated as between "important" and "very important" and the others were indicated as almost "important". For the curriculum, the items which teachers checked as more than "important"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content clarity were : "Present clearly the key concept in each unit," "Present specific inquiry activities and methods," "Concretely present required contents and optional contents in learning activities," "Educational contents included in the formal curriculum are presented instructional materials," "It is necessary to state more specifically than activities," "Present clear organizational structure which can show the relationship among educational contents." Consequently, this research has proved to be meaningful in terms of analyz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newly revised Intelligent Life Curriculum.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asist the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s and instru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