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4 Download: 0

만 2세 미만 영아보육에서의 표준보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Title
만 2세 미만 영아보육에서의 표준보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The Operating Status and Understanding for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for Under 2 Years of Age
Authors
김경미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미만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만 2세 미만 영아보육에서의 표준보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위와 같은 목적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만 2세 미만 영아반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교사의 변인(근무기관유형, 평가인증 실시여부, 교육정도, 전공, 보육경력)에 따른 표준보육과정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2. 만 2세 미만 표준보육과정 내용에 대한 영아반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만 2세 미만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운영 실태 및 앞으로의 방향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기관 중 만 2세 미만 영아반 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만 2세 미만 표준보육과정 운영실태 및 인식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도구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내용은 「표준보육과정령」,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과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인식과 운영실태’를 연구한 이훈희(2008),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행정도와의 관계’를 연구한 이한은(2008)의 설문지 문항을 부분적으로 참고하였다. 그리고 만 2세 미만 영아보육에서의 표준보육과정 운영 및 운영 시 장애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내용은 금민선(2004)의 설문지 문항을 참고하여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표준보육과정의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교사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만 2세 미만 영아반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만 2세 미만 영아반 교사들이 표준보육과정에 대해 들어본 경험은 거의 대부분이 '들어 보았다'는 응답이 나타났다. 표준보육과정령,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을 읽어본 경험은 '대충 훑어보았다'는 응답이 나타났으며 표준보육과정의 홍보 혹은 교육용 영상자료를 본 경험은 '거의 보지 않았다',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연수를 받은 경험은 '없다'에 대한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로는 표준보육과정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근무기관유형’, '평가인증 실시여부', '보육경력'에 따라 표준보육과정령에 대해 읽어본 경험은 ‘평가인증 실시여부’에 따라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 보육내용 및 교사지침에 대해 읽어본 경험은 '평가인증 실시여부‘와 ’보육경력‘에 따라 표준보육과정의 홍보 혹은 교육용 영상 자료를 본 경험은 ’보육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연수를 받은 경험은 '근무기관 유형', '평가인증 실시여부',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표준보육과정 내용에 대한 영아반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표준보육과정 내용과 표준보육과정 구성의 6개 영역 구성은 '대체로 알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평가의 평가 결과 활용에 있어서는 '대체로 모르고 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만 2세 미만 표준보육과정 영역별 내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는 기본생활 영역 내용에 대하여 ‘대체로 알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개 영역별 내용 중에서도 가장 '알고 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만 2세 미만 영아보육에서의 표준보육과정 운영 실태를 알아본 결과, 영아반 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운영 수준은 '대체로 실행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연간/월간/주간/일일 보육계획안에는 표준보육과정의 보육내용이 잘 반영되고 있다'는 것이 가장 잘 실행되고 있다는 반면에 '영아에게 충분한 개수의 놀잇감이나 활동자료들을 제공 한다'는 것은 잘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준보육과정 운영 시 장애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표준보육과정을 제대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조 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문제점 및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과중 업무로 인한 표준보육과정 운영의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앞으로의 운영 방향으로는 '만 2세 미만 영아의 개인차를 반영한 보다 세분화된 표준보육과정'을 요구하는 의견이 다수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erating status and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for under two years of age (“the national curriculum”) targeting child care teachers caring children under two. Considering purpose as state abo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is posed. 1. How the teachers understand the national curriculum? How the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the type of workplace, the accreditation of workplace, academic credential, major and daycare career affect the teacher’s understanding for national curriculum. 2. What are their understanding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under two? 3. What is the operating statu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under two and what is future direc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argeted for 205 teachers caring children under two in childcare center located in Gyonggi-do, through questionnaire for operating status and understaindg of the national curriculum. As a research tool for teacher’s understanding, this study partly referred to questionnaire from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rdinance’, ‘the detail and guidan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tudy for teacher’s understanding and operating status for national curriculum’ written by Lee Hoon Hee(2008), ‘the relation of teacher’s understanding and the operating status for national curriculum’ written by Lee Han Eun(2008) and also referred to the questionnaire by Gum Min Sun(2004), as to operat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obstacles for operation for under 2, it was corrected and completed for this study purpo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2.0. In order to know pervasive understanding,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as calculated, and for the difference affected by teacher’s variable, χ² verification is executed.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 First, after finding out the understanding of teacher, most of them heard about the nation curriculum and glanced through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rdinance’, ‘the detail and guidan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s to educational video clip for national curriculum, scarcely watched the video, as to experiences of training program for national curriculum, most of them had never taken training program. As to the difference by background variables, type of workplace, the accreditation of workplace and childcare career influenced the experience of hearing the national curriculum, the accreditation of workplace influenced the experience of reading of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ordinance’, the accreditation of workplace and childcare career influenced the experience of reading the detail and guidanceof the national curriculum’, childcare career influenced the experience of watching educational video clip for national curriculum, type of workplace, the accreditation of workplace and major influence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training program. Secondly, regarding childcare teachers’ understanding for the national curriculum, most of them understood national childcare contents and 6 sec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but not the applications of test result. As to the each se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under two, they generally understood the section for basic life. Besides, it was better understood among 6 sections, Thirdly, after finding out the operating statu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was operated reasonably. Specifically, yearly/monthly/weekly/daily childcare plan were reflect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but not enough number of toys and activity material were supplied to the children. In addition, as to obstacles to operating curriculum, ‘assistant teacher shall be need’ turned out as an urgent issue. As to a present problem, ‘operating difficulty caused by overworking’was highly ranked. As to future operating direction, the result turned out that the more detailed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shall b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