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성희-
dc.contributor.author이연정-
dc.creator이연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8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803-
dc.description.abstract스스로 환경건강의 문제점을 깨닫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필요가 있어 환경건강교육에 대한 학습지도가 중요하나 현재 학교교육과정을 통해서 환경건강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건강 관련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환경건강 관련 학습지도 및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7차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환경건강 관련 학습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환경건강과 관련 있는 과학, 기술․가정, 체육, 사회, 환경 교과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분석틀을 개발하여 각 교과별 3종씩을 대상으로 학교급간, 교과간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환경영역의 환경건강 관련 학습 내용을 교과별로 분석한 결과 과학교과는 대기 구성, 대기오염의 종류, 물·토양오염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체육교과는 대기·물·토양의 구성과 기능, 대기·물·토양과 건강과의 관련성, 대기·물·토양의 오염으로 인한 영향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교과는 대기·물·토양의 오염 현상을 사회문제와 결합시켜 제시하고 있으며, 환경과목은 생태요소의 특성과 생태환경오염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생태환경 측면의 환경건강 개념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중학교의 과학교과에는 타 교과에 비해 관련 내용이 적게 제시되었다. 따라서 환경건강 개념이 STS적인 과학개념으로 중학교 과학교과 내에서 대기와 물과 토양 등의 과학지식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관련 내용들의 제시순서의 배려가 필요하다. 둘째, 생태환경영역의 계열ㆍ계속성 측면으로의 연계성을 보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가면서 대기와 물 영역의 내용이 주로 반복, 발전되었고, 토양 영역 내용은 발전되어 제시되고 있다. 중학교에서 생태환경 요소의 특성 등 포괄적인 내용이 먼저 제시되고, 고등학교에서 생태환경 요소의 오염으로 인한 영향과 대책 등의 구체적인 내용이 제시되어 적절한 계속성과 계열성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토양 영역의 경우 중학교에서 토양의 구성과 기능에 대한 내용이 환경과목에만 제시되고 타 교과에서는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환경과목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환경건강에 대한 지식을 배울 기회가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어 범교과적인 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생활환경영역의 환경건강 관련 학습 내용을 교과별로 분석한 결과 과학교과에서는 과학 개념을 중심으로 생활환경의 식품안전, 영양과 비만, 약물 남용 및 흡연, 주거생활 등 4가지 영역의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기술․가정교과에서 식품안전, 영양소와 비만, 주거생활 관련 내용이 실생활의 활용을 중심으로 제시되어 있고, 체육교과에서는 보건 관련 개념으로 4가지 영역을 다 제시하고 있으며, 환경과목은 주거생활과 관련한 내용을 생태적 측면에서 제시하고 있다. 기술·가정과 체육교과의 경우 관련내용이 중학교에서 다 제시되어 있으나 고등학교에서는 중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반복하여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적다. 고등학교 교과의 다양한 단원에서 환경건강으로의 생활환경의 연계된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생활환경영역의 계열ㆍ계속성 측면으로의 연계성을 보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가면서 식품안전, 영양과 비만 영역에서는 격차와 반복이 일어나고 있다. 약물남용 및 흡연 영역에서는 반복이 일어나고 있으며, 주거생활 영역에서는 발전과 격차를 나타내고 있다. 효과적인 위계적 연계성을 위해서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오면서 반복과 발전이 잘 이루어져야 하는데 생활환경 영역의 학습내용들이 대게 중학교에서만 제시되고, 고등학교에서는 과학교과를 제외하고 다른 교과에 거의 제시되지 않아 STS적 학습요소가 반영되지 않고 있다. 또한 과학교과의 경우에는 고등학교 2, 3학년의 선택과목에서 배우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학적인 원리와 개념을 학습할 기회가 적은 편이다. 그러나 과학교과에서 환경과 건강에 대한 과학적인 개념이 기초가 된 상태에서 환경건강 관련 학습을 하게 된다면 더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고등학교 교육과정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과 학습내용 구성의 개발을 하여야 한다.;To respond to and solve problems related to environmental change and human health, it is important to know the cause of the problems that we are in and seek countermeasures. Environmental health-related education with a various point of view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at school as well as in society and at home. Then they will be aware of and resolve the problems themselves with the ability to raise. Teach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s important, but recent Environmental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school environment curriculum does not work we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what the fundamental data are offered for systemic environmental health-related teaching source and materials to develop, after analysis of environmental health-related learning contents present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or analysis Environmental health-related learning contents in 7t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xtbooks, science, technology․home economics, sports, society and environment textbooks related to environmental health were selected. And for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health-related concepts,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then connection by grades and subjects is analyzed with 3 types of subject.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nnection of Environmental health-related learning contents about ecological environment domain is analyzed by grades and subjects. Analysis shows that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configuration of the atmosphere is presented and no other information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And in high school, mainly the kind of pollu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causes, effects and measures are presented. Middle school physical curriculum presents mainly structure and function of ecological elements and relation between environment and health. In High school, physical curriculum shows the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impact on ecosystems and health, but mainly physical training is performed. Thus additional review is need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curriculum, the various symptoms and causes of the ecological pollution with social problems is presented. Environmental health problems which are focused on cause of pollution and measure of international treaties are also shown. Environment subject deal with the attributes of the ecological element and ecology pollution specifically and comprehensively. In order to study systematically the environmental health concepts related to ecological environment with regard to connection between subjects, features and attributes of ecological environmental elements should be learned first and then influence of environment elements on natural ecosystems and health and problems of ecological pollution are learned, which will be proper. Second, connection of Environmental health-related learning contents about living environment domain is analyzed by grades and subjects and the result shows that it contains food safety, nutrition and obesity, substance abuse and smoking, and residential life. Scinece curriculum presents nutrition and obesity, substance abuse and smoking information which is focused on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human body and physiological process with connection by grades. And high school optional subjects shows food safety and residential life related to scientific knowledg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presents contents related to contamination of food, nutrition and indoor environment. And physical curriculum approach to food sanitation, nutrition, drugs, and indoor environment by using the health-related concepts. Environment subject indicates residential life by ecological aspect. In the living environment domain, scienc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phys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subjects show common environmental health topics with a various point of view with regard to learning objective properties. Thus, first, concepts of related contents are learned corresponding to learning objective and feature. And then teachers should guide for the integrated thinking ability, which is prop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환경과 환경건강 = 5 1. 환경의 정의와 범위 = 5 2. 환경문제와 건강 = 5 3. 환경건강의 정의와 환경보건의 범위 = 7 B. 환경교육과 환경건강 = 7 1. 환경교육의 목표 = 7 2. 환경건강 교육의 필요성 = 9 3. 환경교육의 실태 = 10 C. 교육과정의 연계성 = 12 1. 교육과정 연계성의 의미 = 12 2. 교육과정 연계성의 기준 = 13 D. 선행연구 고찰 = 14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7 A. 연구대상 = 17 B. 연구 절차 및 방법 = 18 1. 연구 절차 = 18 2. 연구 방법 = 19 1) 환경건강 관련 학습내용 분석을 위한 분석틀 개발 = 19 2) 환경건강 관련 학습내용 학교급간, 교과간 연계성 분석 = 2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2 A.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환경건강 관련 생태환경 내용 분석 = 22 1. 대기 = 22 가. 교과별 내용 분석 = 22 나. 연계성 분석 = 31 2. 물 = 34 가. 교과별 내용 분석 = 35 나. 연계성 분석 = 42 3. 토양 = 45 가. 교과별 내용 분석 = 45 나. 연계성 분석 = 51 B.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환경건강 관련 생활환경 내용 분석 = 54 1. 식품안전 = 54 가. 교과별 내용 분석 = 54 나. 연계성 분석 = 57 2. 영양과 비만 = 60 가. 교과별 내용 분석 = 60 나. 연계성 분석 = 64 3. 약물 남용 및 흡연 = 67 가. 교과별 내용 분석 = 67 나. 연계성 분석 = 71 4. 주거생활 = 74 가. 교과별 내용 분석 = 74 나. 연계성 분석 = 79 Ⅴ. 결론 및 제언 = 83 참고문헌 = 85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75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환경건강(Environmental Health)개념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connection on the Environmental Health‘s concepts in the textbook of Middle and High schools.-
dc.creator.othernameYi, Yon Jeong-
dc.format.pageⅹ,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