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현식-
dc.contributor.author남미영-
dc.creator남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0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9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0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세계화로 인한 한국 사회로 유입되는 이주민들의 현황과 실태를 검토하고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도덕과 수업에 있어서 다문화교육의 접근가능성과 도덕과 수업방안 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기초적인 연구를 위하여 첫째, 다문화 및 다문화교육의 개념, 다문화의 원인,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다문화교육의 교육적 접근 유형들을 차례대로 검토한다. 둘째, 다문화교육이 선진국에서는 어떻게 발전하고 실시되고 있는지 미국과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조사한다. 셋째 본격적인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를 위해 단행본과 각종 연구자료와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한국다문화에서 교육의 대상을 국제결혼자와 외국인근로자로 한정한다. 그 이유는 이들의 불법체류와 빈곤으로 인해 그들의 자녀가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기본적인 가치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 사회 다문화교육의 변천적 과정과 특징, 한국다문화교육의 실태, 한국 청소년들의 다문화이해 실태에 대해 연구한다. 마지막 넷째, 다문화교육의 나아가야 할 과제의 방향을 제시하고 도덕교과와 다문화교육의 통합 가능성 및 수업방안 등에 대해 모색한다. 한국 사회는 조선시대의 쇄국 정책과 단일민족이라는 이념으로 강한 민족주의 성향을 가진다. 그런데 오늘날 세계화의 영향으로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인 면에서 다양하고 빠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선진국에 비해 굉장히 보수적인 한국사회의 가치관에 의해 다문화가정과 다인종을 쉽게 받아드리지 못하는 현상은 기존의 사회구성원들과 이주민들에게 가치관의 혼란을 주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함께 한국으로 이주해 오는 외국인들 또한 늘어나고 있다. 다양성 속에서 자신을 존중하고 상대방을 배려할 수 있도록 하는 다문화교육이 요청된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다문화교육은 바람직하게 실시되고 있지 못하다. 왜냐하면 다문화교육은 소수자인 이주민들과 그 자녀들이 한국사회의 적응하기 위해 받는 교육과정이라고 편견된 생각을 다수자들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다보니 일반학교에서 이주민들의 자녀들은 피부색이 다르다는 이유로 따돌림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지각해 이주민들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 시작되었고 2000년도에 들어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이들과 관련된 연구는 인권문제들이였다. 현재 중앙정부, 각 부처, 각 교육청에서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중이며 대부분이 한국어(KSL)과정과 방과 후 교실, 문화체험 위주이다. 그리고 교육대상자의 범위가 넓지 않아 이주민들의 미취학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각 부처 간의 협력체제가 부족하여 사업계획이나 일정이 각 부처별로 내용들이 체계적이지 못하다. 또한 일회성 행사로 끝나는 프로그램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위하여 다문화교육 대상프로그램을 이주민의 미취학아동에게까지 확대적용하고 일반학생들의 감수성을 자극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연수와 인센티브제도, 교육방법에서 분리·통합교육문제가 제시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다수와 소수를 구분하는 교육을 넘어선 모두를 위한 다문화교육이 계획되어야 한다. 도덕교과 교실상황에서 다른 문하를 이해하고 다른 민족과 공존하기 위해의식과 태도를 기르기 위해 다문화교육적 관점의 적용에는 절차와 과정을 중시하고, 협력과 역할채택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한국인으로서 나아가 세계 시민으로서 바람직한 삶을 살아가는데 도움을 준다.;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 necessary educational undertaking which will allow Koreans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global culture, and to discern their own cultural identity According to Globaliz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becomes very important in school and society. In modern society, the relationship among nations that have uneven development of politics and economy has become much closer as one world community and the interests of various national groups are involved each other this study will firstly raise on iss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analyze the reasons of multuculturalism of Korean society and its changing phenomenon in relation to the tend of global awareness and global integration. Finally suggests ethics teaching methods from the viewpoint of multi-culture education so that students understand other culture and cultivate spirit, attitude, and behavior necessary in living toget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배경 =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2 Ⅱ. 다문화와 다문화교육의 이론적 배경 = 5 A. 다문화와 다문화교육의 개념 = 5 B. 다문화의 원인 = 8 C.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 = 11 D. 다문화교육의 접근의 유형 = 12 Ⅲ. 다문화교육의 외국사례 = 15 A. 미국 다문화교육의 사례(이론 중심) = 15 B. 독일 다문화교육의 사례(프로그램 중심) = 23 C. 일본 다문화교육의 사례(프로그램 중심) = 33 Ⅳ. 한국 다문화교육의 특성과 실태 = 38 A. 한국 다문화교육의 대상 = 38 1. 국제결혼이민자 자녀연구 = 38 2. 외국인 근로자 자녀 연구 = 42 B.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특성 = 45 1. 한국 다문화교육의 변천과정 = 46 2. 한국 다문화교육의 특징 = 49 3. 지원정책현황 = 54 4. 한국 청소년들의 다문화 이해실태 = 62 Ⅴ. 다문화교육의 방향 = 67 A. 다문화교육을 위한 방향 = 67 B. 도덕 교과에서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방안모색 = 71 1. 다문화 교육과 도덕과 교육 = 72 2. 도덕과 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방법 = 74 3. 도덕교과서의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 분석(중학교 교과서) = 76 4.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가능성 = 80 5. 도덕과 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실제 수업방안 = 82 Ⅵ. 결론 = 99 참고문헌 = 102 부록 = 107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668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다문화교육과 도덕 교과의 연계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ulti-culture Education and Ethics Education connection-
dc.creator.othernameNam, mi young-
dc.format.pageⅶ,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