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2 Download: 0

삽화 제시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삽화 이해에 관한 연구

Title
삽화 제시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삽화 이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Illust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Type of the Illustrations
Authors
이은경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원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삽화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삽화와 본문의 공간적 배치, 삽화와 관련된 지시의 유무를 선정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학습자의 삽화 이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삽화 제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여기서 공간적 배치란 삽화와 본문의 물리적 거리를 의미한다. 교과서에 제시되는 삽화는 교과서의 내용을 전달하는데 있어 여러 줄의 글보다 효과적이며,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유발시킨다. 또한 삽화는 낯선 지역에 대한 학습자의 지리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기억하는 것을 도와준다. 그러나 이러한 삽화의 교육적 효과는 학습자가 삽화를 정확히 해석할 때 가능하다. 따라서 삽화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삽화 해석 능력에 맞게 삽화를 구성해야 한다. 그러나 삽화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들이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삽화의 양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거나 형태, 종류, 역할 등으로 분류하였을 뿐 학습자의 삽화 이해 과정에 따른 효과적인 삽화 제시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삽화 이해 과정을 살펴보고, 삽화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삽화 제시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에 제시되고 있는 카나트와 찬정을 실험 삽화로 선정하여 실험 도구를 개발하였다. 실험 도구는 삽화와 본문의 공간적 배치에 따라 A유형(분리), B유형(통합)으로 구분되며, 지시 유무에 따라 B유형과 B-1(지시)유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학습자의 삽화 이해를 측정하기 위해 평가 영역을 삽화 정보와 본문 정보로 구분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도구는 2차례의 예비조사(pilot test)와 본 실험 1을 통해 수정되었다. 본 실험 2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S중학교와 E중학교 10개 학급을 대상으로 2009년 5월 8일부터 5월 14일까지 실시되었다. 학급에 따른 학업 성취, 학습 분위기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각 학급마다 학생을 3그룹으로 구분하여 A유형, B유형, B-1유형을 각각 배부하고 5분 간 정독하게 하였다. 그리고 35분간 실험과 무관한 수업을 실시한 뒤 다시 5분 간 문제지를 풀게 하였다. 문제지는 총 296부가 분석되었으며, 텍스트 유형별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 표본 검정(t-test)을 실시하였다. 또한 통계 분석 결과만으로 규명하기 어려운 학습자의 삽화 이해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2009년 5월 18일부터 20일까지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삽화와 본문의 공간적 배치에 따른 학습자의 삽화 이해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카나트와 찬정 모두 B유형(통합)이 A유형(분리)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게 된 원인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평가 영역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B유형의 삽화 회상 점수가 A유형의 삽화 회상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B유형과 같이 삽화와 본문이 통합되어 제시되는 것이 두 정보 사이의 결합 형성에 유리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반대로 A유형의 경우에는 학생들이 삽화와 본문을 통합하는데 어려움을 보였으며, 두 정보를 통합하기 보다는 본문에 더 집중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삽화와 관련된 지시 유무에 따른 학습자의 삽화 이해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시가 제공되지 않은 B유형과 지시를 통해 주의 집중을 유도한 B-1유형 간의 평균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시를 제공함으로써 주의 집중을 유도하고자 했던 삽화 정보 회상 점수 또한 B유형과 B-1유형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본 실험에서 사용한 텍스트가 교과서와 달리 불필요한 정보가 배제되었기 때문에 B유형의 경우 질문이 제공되지 않아도 학생들이 텍스트에 나와 있는 삽화에 주의를 기울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문 정보 회상에서는 지시가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을 증가시키거나 주의를 분산시켰었을 때 본문의 내용 이해를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학생 인터뷰를 통해 삽화의 색이나 크기, 제시되는 정보의 양과 복잡성 등과 같은 삽화 특성과 학습자의 사전지식 등과 같은 학습자 특성도 삽화를 이해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grope for a way to present an effective illustration by looking at the kinds of influence that the selected two main causes, the spacing of the illustration and text and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directions related to the illustration, have on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illustration through the studies of literature. To research the methods of presenting an effective illustration, a test tool was developed by selecting Qanat and The artesian well, which is presented in the textbook, 「Social Studies」, of the freshmen in middle school, as the illustrations for this research. The test tool was divided into type A(separation) and type B(unity), for the spacing of the illustration and text, and they were also divided into type B and type B-1(instruction), for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instruction. In addition, questions for the fields of evaluation to measur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illustrations were made separately; one for the information on the illustration, and the other, for the information on the text. Main test was carried out to 334 7th students of 10 classes in two middle schools. In order to reduce the difference of scholastic achievements and the learning atmosphere of the classes, each class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type A, type B, and type B-1, and after this, they were told to read intensively, for 5 minutes. After 35 minutes of having a lesson which was unrelated to the test, 5 minutes were given to answer the questions. The result of the main test is like the following. Firstly,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of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illustration,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illustration and text, showed that the average of type B(unity) was higher than type A(separation), in both Qanat and The artesian well. The result of analyzing by dividing the evaluation by fields to see the reason for its difference in detail, showed that the score of remembering the illustration for type B was higher than type A. This is because the united presentation of the illustration and the text, like type B, functioned advantageously in uniting the two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ype A, students showed difficulty uniting the illustration and text; rather than uniting the two information, they concentrated more on the text. Secondly,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illustrations according to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instruction related to the illustration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s between type B and type B-1 showed no difference. The scores between type B and type B-1 for remembering the information of the illustration which was to induce concentration by giving directions as well, didn't show any difference. This was because, in the case of type B, even if the questions were not given, the students payed their attention to the illustration on the text, since the text used for the test removed unnecessary information, unlike textbooks. In remembering the information of the text, if the directions increased the learners' cognitive burden or scattered their attention, they disturbe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in the text. Besides, the individual interview of the students showed that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like their prior knowled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lustrations, like their color, size, the amount of information present and its complexity, and etc influenced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illustr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