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박지윤-
dc.creator박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48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8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48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글을 읽을 때 글의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 스키마라는 데에 주목하여,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ㆍ문화적 배경과 읽기의 관계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글을 읽을 때에는 스키마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배경 지식은 다시 글의 의미를 더 쉽게 이해하게 한다. 그리고 그러한 스키마는 사회ㆍ문화적 배경 속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읽기 능력은 사회ㆍ문화적 배경과 무관하지 않으며 이러한 사회ㆍ문화적 배경은 외국인 어머니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ㆍ문화적 배경과 읽기 능력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외국인 어머니의 사회ㆍ문화적 배경이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ㆍ문화적 배경을 활용한 글 읽기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다문화가정 중학교 1학년 학생 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외국인 어머니의 출신국은 대만 5명, 몽골 1명, 한국계 중국인 1명, 필리핀 1명으로 다양한 국적의 어머니를 둔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방법은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설문지법, 심층 면접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9년 1월부터 2009년 5월 22일까지 약 6개월의 기간 동안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회ㆍ문화적 배경을 활용한 글 읽기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학습지 등을 통하여 어휘 교육, 문장 연결 교육, 중심 생각 찾기 교육, 배경지식 활용하여 글 읽기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도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스키마에서는 어머니의 출신국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중국권 출신의 어머니일 경우에는 학생이 한자를 잘 하고 있지만 때로는 한자를 한국어에 과다하게 적용하여 오류를 범하는 사례도 나타났다. 반면에 동남아시아권 출신의 어머니를 두고 있는 학생은 한자어에 대한 어휘가 풍부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학생은 한국과 관련된 텍스트에서는 이해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사회ㆍ문화적 배경 지식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국인 어머니가 한국에 대한 사회ㆍ문화적 배경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에 외국인 어머니 출신국에 대한 사회ㆍ문화적 배경 지식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학생들은 사후 검사는 사전 검사보다 그 결과가 상승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실시한 사회ㆍ문화적 배경을 활용한 읽기 교육 방안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 신장을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ㆍ문화적 배경과 읽기 능력의 관련성에 대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첫째, 대부분의 다문화와 관련된 최근의 많은 연구들은 통계를 바탕으로 한 집단적ㆍ양적 연구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습자의 언어 교육 현실에 대한 실제적인 상황을 자료로 한, 보기 드문 사례 연구라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와 관련된 후속 연구에 대한 많은 단상들을 제공해 주고 있다. 둘째, 연구 중점의 선정이다. 연구의 초점을 제한하고 이를 중심으로 기술함으로써 연구 방향이 일관되었다. 셋째, 모국어 학습자와는 달리, 다문화가정 학생의 경우 부적응 현상의 원인이라고 볼 수 있는 사회ㆍ문화적 차이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읽기의 여러 가지 하위 능력들 중 그러한 사회ㆍ문화적 차이가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칠 것이라고 판단한 4가지 요인들을 추출하여 초점화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사회ㆍ문화적 차이를 가족문식성이나 한국 문화에 대한 태도 등과 관련시켜 읽기 교육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속에서 읽기의 의미를 구성하고 이와 관련한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에 대한 교육 방안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This study, paying close attention to schema as an important factor when people read a passage and construct its meaning, focuses on set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ontext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reading ability and proposing the educational suggestion. When people read, schema gets started and the activated background knowledge again makes people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reading passage more easily. Then, such schema is formed with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In this respect, this manuscript premises that the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not irrelevant to the social cultural background and such background is closely related to foreign mother. To inquire the correlation of the social cultural context and the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s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influence does the foreign mother's social cultural background have on the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does social cultural context applied reading have positive affect on the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8 students who ar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year an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were selected as research objects. The students' foreign mothers are from various countries: Taiwan (5 people), Mongolia (1), China (1, of Korean descent), and Philippine (1). Like this, research objects are consisted of the students whose mothers are from the various countries. The research methods were questionnaire, interview, etc. centering on case studies.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January (2009) to May 22nd (2009) for about 6 month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ocial cultural applied reading method, this study designed preliminary and post examinations. And through the devices like worksheet, vocabulary education, sentence connecting education, searching for the main idea education, and reading education using the background knowledge were implemen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rom the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e schema of the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students was proved to gs pinfluence from their mother's homelands; in case of the student having Chinese origin mother, the students knew Chinese characters very well, but sometimes excessively applied Chinese characters to Korean language and made errors.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having Southeast Asia origin mother, showed tcharthey do not have abundant Chinese character based vocabulary. Moreove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vealed low degree of comprehension in Korean related text. The social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is was also showed low. This is understood as the foreign mother's lack of the social 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of Korea.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had abundant knowledge about the social cultural background of their mothers' homeland. Second, the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students showed more improved result in post examination than in preliminary one. Social cultural background applied reading education on the student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proved to be effective in bringing the learner's improvement in reading ability. Through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on the correlation of the social cultural background and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und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most studies related to the multiculturalism have the foundation on statistics based group and quantitative study. However, this study has methodological meaning in studying rare cases based on the real situational data about the learn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this study offers a platform for the succe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study. Second, setting the focus of the study. By restricting the study focus and describing centering on this, the direction of the study was consistent. Third,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ocial cultural differences which are the causes for the maladjustment of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contrast to the Korean native language learners. And, among the low abilities, this study also extracted four factors which are presumed to be affected the most by social cultural differences and focused on them This study has a great meaning in suggesting the reading education by relating the social cultural difference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to the family conception of literacy or the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struct the meaning of reading within the multicultural family background students' social cultural context and to dedicate to the educational plans about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elated to the students' contex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선행 연구 검토 = 6 1. 사회ㆍ문화적 배경과 읽기 = 6 2. 다문화가정 학생과 읽기 = 7 C.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0 D. 용어 정의 = 11 Ⅱ.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 = 13 A. 독자의 사회ㆍ문화적 배경과 읽기 능력 = 13 1. 읽기의 개념 및 유형 = 13 가. 읽기의 개념 = 13 나. 읽기의 유형 = 16 2. 스키마 이론과 읽기 능력 = 19 가. 스키마의 개념 및 특징 = 19 나. 스키마와 읽기 능력 = 21 3. 사회ㆍ문화적 맥락과 읽기 능력 = 22 가. 맥락 = 22 나. 사회ㆍ문화적 맥락과 읽기 능력 = 26 B.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ㆍ문화적 배경과 읽기 능력 = 27 1.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 27 2.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 = 27 Ⅲ.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 실태 분석 = 29 A. 조사 방법 및 조사대상 선정 = 29 1. 조사 방법 = 29 가. 사례 연구 = 29 나. 사고 구술법 = 30 다. 조사 진행 과정 = 31 2. 조사 대상 선정 = 35 3. 조사 절차 = 36 가. 예비 조사 = 36 나. 본조사 = 38 다. 자료 처리 및 분석 = 38 B.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 분석 = 40 1.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 40 가. 학생의 기본 사항 = 40 나. 어머니의 기본 사항 = 45 다. 학생의 가정 환경 = 50 라. 학생별 연구 진행 과정 = 54 2.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 분석 = 62 가. 예비 검사 결과 분석 = 62 나. 사전 검사 결과 분석 = 63 C.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교육 = 71 1. 어휘 교육 = 71 가. 다문화가정 학생의 어휘 교육의 필요성 = 71 나. 다문화가정 학생의 어휘 교육의 실제 = 72 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어휘 교육의 분석 = 85 2. 문장 연결 교육 = 86 가. 다문화가정 학생의 문장 연결 교육의 필요성 = 86 나. 다문화가정 학생의 문장 연결 교육의 실제 및 분석 = 87 3. 중심 생각 찾기 교육 = 96 가. 다문화가정 학생의 중심 생각 찾기 교육의 필요성 = 96 나. 다문화가정 학생의 중심 생각 찾기 교육의 실제 및 분석 = 96 4. 배경 지식 활용하여 글 읽기 교육 = 107 가. 다문화가정 학생의 배경 지식 활용하여 글 읽기 교육 교육의 필요성 = 107 나. 다문화가정 학생의 배경 지식 활용하여 글 읽기 교육 교육의 실제 및 분석 = 108 Ⅳ.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 증진 방안 = 131 A. 결과 분석 = 131 1. 사전, 사후 설문지 = 131 2. 사후 검사 = 132 3.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 결과 분석 = 132 B. 다문화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 증진 방안 = 135 Ⅴ. 결론 및 제언 = 138 참고문헌 = 141 [부록 1. 사전 검사 1회] = 150 [부록 2. 사전 검사 2회] = 153 [부록 3. 사전 검사 3회] = 158 [부록 4. 어휘 교육] = 161 [부록 5. 문장 연결 교육] = 164 [부록 6. 중심 생각 찾기 교육] = 167 [부록 7. 배경 지식 활용하여 글 읽기 교육] = 170 [부록 8. 사후 평가] = 176 [부록 9. 읽기 태도에 관한 사전 설문지] = 180 [부록 10. 읽기 태도에 관한 사후 설문지] = 181 ABSTRACT = 1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5287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읽기 능력의 관련성에 대한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relation Of The Social-Cultural Context And The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c.creator.othernamePark, Ji Yoon-
dc.format.pagexi, 1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