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성은-
dc.contributor.author김은영-
dc.creator김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7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1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11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SCAMPER 발상기법을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 이야기 재구성하기에 적용하여 아동들의 언어적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언어적 창의성을 검사하고 SCAMPER 발상기법을 적용한 이야기의 창의적 재구성 교수학습 방법을 시행한 후 언어적 창의성을 실시하여 어떠한 변화가 생겼는지 관찰하고 분석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언어적 창의성이란 기존의 일반적인 의미의 창의성 개념에 근거를 두고 한편으로는 국어교육 맥락의 특수적인 부분과 관련되는 것으로,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하고, 국어 이해와 표현 상황에서 기존 요소들로부터 새롭거나 독창적인 산물을 만들어가는 동시에 적절성과 유용성을 갖추어 가는 정신 과정’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 연구들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아동의 인지적,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고 본 연구에서 적용하려는 SCAMPER 기법과 관련이 깊다고 생각되는 언어적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으로 나누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언어적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Eberle의 SCAMPER 발상기법을 활용하여 이야기 짓기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SCAMPER는 발상기법은 아이디어 산출을 위해 사고의 출발점 또는 문제 해결의 착안점을 미리 정해 놓고 그에 따라 다각적인 사고를 전개함으로써 능률적인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이다. 이 사고 기법은 디자인 아이디어가 정체되었을 때 체크리스트에 의해 사고를 확산시키도록 하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E 초등학교 2학년 35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통해 언어적 창의성을 검사하였으며, SCAMPER 발상기법을 적용한 이야기의 창의적 재구성 교수학습 방법을 시행한 후 언어적 창의성을 검사하여 결과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검사 결과는 SPSS/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양적인 결과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에서 나온 아동의 산출물을 질적 자료로 제시하였다. 프로그램의 결과 SCAMPER 발상기법을 적용한 이야기의 창의적 재구성 교수학습 방법은 언어적 창의성 중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 중에서 특히 독창성과 상상력에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SCAMPER 발상기법을 적용한 이야기의 창의적 재구성 교수학습 방법은 아동의 언어적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이며 수업에 활용 가능한 유의미한 활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SCAMPER 발상기법을 적용한 이야기의 창의적 재구성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시행하여 아동의 언어적 창의성이 향상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다른 연구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본 프로그램의 결과는 단시간에 실시하였고, 초등학교 2학년 한 학급의 아동들만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는 이야기가 제시될 때 교과서에 제시된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언어적 창의성 향상에 대한 종합적이고 일반적인 결론을 얻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므로 다른 학년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제시한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the SCAMPER thinking technique to a writing story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in second grade - in order to find out what effects it has on children's linguistic creativity. For this process, there is a preliminary examination to look over the linguistic creativity, an input of a writing story program to which the SCAMPER thinking technique had been applied and lastly, observation and analysis on how linguistic creativity has chang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linguistic creativity can be defined as a process based on the creative thinking, making the new and original result in the Korean understanding and expressions of situations as well as satisfying the suitability and the utility. This can be divided into adaptability, originality, imagination and effectivity. In this research, a writing story program had been devised by utilizing the SCAMPER thinking technique by Eberle is to improve such linguistic creativity. The SCAMPER thinking technique is the efficient way to get some ideas by thinking variously. This helps students to think creatively. The research had gone through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35 students in second grade in E-elementary school located in Eun Pyoung Gu, Seoul, examined the linguistic creativity and conducted a post examination after putting into a writing story program to which the SCAMPER thinking technique had been applied and collecting data. The collected examination results used SPSS/WIN program and through it, conducted a t-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To complement the limits of quantitative assessment, the results from the learner's program process were presented qualitatively.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writing story program that utilized the SCAMPER thinking technique had positive effects, first on adaptability, second on originality, third on imagination and fourth on effectivity among the linguistic creativity. In other words, the SCAMPER thinking technique applied writing story program can be viewed as effective in improving linguistic creativity and meaningful in a way that it is possible to utilize it during classes. To sum it all, the research suggest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for SCAMPER thinking technique leading to the actual improvement of the ability of pupils and, also, building the milestone for the further study. However, there still remains the limit of the range to which the program was applied, as it took its target of only one class of the second grade for the short term. In addition, the children's stories, which can be a major variable, were exclusively extracted from the textbook. Accordingly, I have to admit the circumscribed possibility for the synthetic generalization. Therefore, it also calls upon for the diversification of the target group and other stories as a variation in the following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언어적 창의성 = 6 1. 창의성 = 6 2. 언어적 창의성 = 8 B. 이야기의 창의적 재구성 = 19 1. 이야기의 창의적 재구성의 개념과 의의 = 19 2. 이야기의 창의적 재구성 활동의 과정 = 21 3. 이야기의 창의적 재구성 활동과 언어적 창의성 = 28 C. SCAMPER 발상기법 = 30 1. SCAMPER 발상기법의 개념 = 30 2. SCAMPER 발상기법의 의미와 질문형태 = 33 3. SCAMPER 발상기법의 특성과 장점 = 35 Ⅲ. 연구 방법 = 37 A. 연구 대상 = 37 B. 연구 설계 = 38 C. 연구 절차 = 39 D. 연구 도구 = 40 E. 자료 분석 = 42 Ⅳ. 프로그램의 실제 및 결과 = 43 A. 프로그램의 실제 = 43 B. 프로그램 결과 = 72 Ⅴ. 요약 및 결론 = 81 A. 요약 및 결론 = 81 B. 제언 = 83 참고문헌 = 85 부록 1. 교사용 요구 조사 질문지 = 90 부록 2. 교사용 요구 조사 질문지 분석 = 95 부록 3. 학생용 요구 조사 질문지 = 98 부록 4. 학생용 요구 조사 질문지 분석 = 101 부록 5. 이야기 재구성하기 사전 검사지 = 104 부록 6. 이야기 재구성하기 사후 검사지 = 105 부록 7.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지도안 = 106 부록 8. SCAMPER 발상기법을 적용한 이야기의 창의적 재구성 교수학습 지도안과 학습지 = 108 ABSTRACT = 1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30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SCAMPER 발상기법을 적용한 이야기의 창의적 재구성 교수학습 방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the Teaching Program for the SCAMPER Thinking Technique to Help in Writing Story-
dc.creator.othernameKim, Eun-Young-
dc.format.pageⅷ,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