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용희-
dc.contributor.author장현진-
dc.creator장현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4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43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and conduct effective schemes to direct drama activities for three-year-old children and examine its influence on them. Based on this objective, it is aimed to propose a means of children's drama activities as artistic expressions and to effectively enhance education. The subject matters to discus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ive schemes to implement drama activities for three-year-old children? 2. What influence do the effective schemes have on the children?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23 three-year-old children attending class Gurem at SanDeul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Korea. The data for the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April 11th, 2008 to October 23rd, 2008, through 8 children's drama activities which were integrated with traditional culture-arts education. Th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a process of recognizing issues of three-year-old children's drama activities, searching for solutions, executing and evaluating first and second action. All the children's drama activities were recorded and reconstructed by a transcription, coded, and categorized for analysis. In addition, daily teaching plans, photographic materials, teacher's journals of colleagues, interviews with colleagues and teaching assistants, parents' surveys, written descriptions of parents' impressions on the children's drama activities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vise effective schemes for three-year-old children's drama activities, all the activities conducted at class Gurem from 2006 to 2007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children's leading roles were limited to actor's roles themselves and the children lacked delivery lines and acting skills. Since the kindergarten was under a model study titled 'The Connection and Integration of Traditional Culture-Arts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moment of the research, it was also recognized that children's drama activities integrated with traditional culture were deficient. For effectively directing three-year-old children's drama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esign plans for improvi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drama activities and expressive skills and carry them out on children's drama activities combined with traditional culture-arts education. As one of the plans, some factors of play and Madangguk, a genre of art, are to be integrated with children's drama activiti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y are categorized as artistic expressions of kindergarten curriculum. On the first execution, certain factors of play were incorporated with children's drama activities. A detailed plan involved sharing the roles of the cast, participating as a playwright and staff, practicing acting, and designing stage setting, lighting, and sound effects. These plans were applied to the drama activities combined with traditional songs, plays and fairy tales. Upon evaluating the first execution, the necessity of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n drama activities and developing creative expression was observed. It was also analyzed that integration with traditional art was insufficient. On the second execution, the aspects of Madangguk encouraging spontaneous responses, and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were merged into children's drama activities integrated with traditional art. Combined with traditional colors, musical instruments, dances, paintings, concrete schemes were promoting children's prompt reactions, casting small and large groups for a role, lively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in the drama activities, changing teachers' roles, and having the stage open. Second, via directing three-year-old children's drama activities by integrating plays and Madangguk, the three-year-old children of class Gurem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drama activities and trained their imaginative expression skills. The participation rate of drama activities has increased thanks to the various roles as playwright, actors, actresses, the audience, the staff, and the shared cast. Moreover, acting skills such as delivering line, face expressions, tonality, and gestures were enhanced. The children of class Gurem have also improved cooperative manners while implementing tasks with peers. Overall, they have become highly interested in traditional culture-arts and expressed themselves in a creative manner through drama activities integrated with traditional culture-arts.;본 연구는 만 3세 유아의 동극 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통해 예술적 표현활동으로서의 동극 활동의 방향을 제시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3세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2. 만 3세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은 유아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산들유치원 내 만 3세 학급 구름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이 학급 유아 23명이다. 연구 기간은 2008년 4월 11일부터 2008년 10월 23일까지이며, 연구는 전통문화예술과 통합한 8개의 동극 활동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는 만 3세 유아 동극 활동의 문제점 인식 및 해결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1, 2차 실행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동극 활동을 녹화하고 전사하여 현장노트를 만들었고,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연구 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일일교육계획안, 사진자료, 동료교사 저널, 동료교사 면담, 보조교사 면담, 부모 설문지, 부모의 동극 관람 소감문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세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 운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2006학년도와 2007학년도 구름반에서 실시되었던 동극 활동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영역이 배우의 역할에만 한정된다는 것과 대사 전달력이나 연극적 표현이 부족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통문화와 통합한 동극 활동이 부족함을 인식하였는데, 이는 연구 당시 연구자의 유치원이 '유아전통문화예술교육의 연계성과 통합성'이라는 주제로 시범 연구를 하고 있어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만 3세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 운영을 위하여 유아의 동극 참여 및 표현력 증진 방안을 수립하고, 이를 전통문화예술과 통합한 동극 활동에 실행하기로 하였다. 유아의 동극 활동 참여 및 표현력 증진 방안으로는, 동극이 유치원 교육과정의 표현생활영역에 해당되는 예술적 표현활동이라는 점에서 예술의 장르인 연극과 마당극의 요소를 동극 활동에 통합하기로 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구름반 유아의 동극 활동에 연극의 요소를 통합하였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또래와의 배역 공유, 극작가 및 스텝으로서의 참여, 연기 연습과정, 무대 장치ㆍ무대 조명ㆍ음향 효과의 무대 디자인이 제시되었으며, 이를 전래동요, 전통놀이, 전래동화와 통합한 동극 활동에 실시하였다. 1차 실행 결과 모든 유아의 적극적인 동극 참여와 창의적인 표현력 향상이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1차에서의 동극 활동을 분석한 결과 전통예술 영역과의 통합성이 부족함을 인식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전통예술과 통합한 동극 활동에, 공연 현장의 즉흥적인 반응이 장려되고, 관객과의 소통이라는 특성을 지닌 마당극의 요소를 통합하기로 하였다. 전통색, 전통악기, 전통춤, 전통그림과 통합한 동극 활동에 실시한 2차 방안으로는 유아의 즉흥적인 반응 장려, 모둠별 배역 및 집단 배역, 관객의 적극적인 참여, 교사의 역할 변화, 열린 무대 구조가 있다. 둘째, 만 3세 유아의 동극 활동에 연극과 마당극을 통합하여 운영함으로서 만 3세 구름반 유아들은 능동적으로 동극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창의적인 표현력을 기를 수 있었다. 구름반 유아들은 극작가, 배우, 관객, 스텝 등 다양한 역할과 또래와의 배역 공유를 통해 동극 참여도가 높아졌다. 또한 대사, 표정, 목소리, 몸짓 등 배우로서의 연기력도 향상되었다. 구름반 유아들은 동극 활동을 하면서 또래들과 함께 과제를 완수하면서 협력적인 태도를 길렀다. 또한 구름반 유아들은 전통문화예술과 통합한 동극 활동을 통해서 전통문화예술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창의적으로 표현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자 배경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동극 = 7 B. 연극과 마당극 = 11 Ⅲ. 연구 방법 = 20 A. 실행 연구 = 20 B. 연구 대상 = 21 C. 연구 절차 = 23 D. 자료 분석 = 32 Ⅳ. 연구 결과 = 33 A. 만 3세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 = 33 B. 만 3세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 운영 방안이 유아들에게 미치는 영향 = 62 Ⅴ. 논의 및 결론 = 77 A. 논의 = 77 B. 결론 및 제언 = 83 참고문헌 = 88 부록 = 93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51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만 3세 유아 동극 활동의 효과적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ction Research on Effective Directing Three-year-old Children's Drama Activities-
dc.creator.othernameJang, Hyun-Jin-
dc.format.pageⅶ,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