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효현-
dc.contributor.author현승은-
dc.creator현승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7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0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programs of school-social environment education upon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of the students'. To secure the validity and instrument through researching literature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strument was reviewed and then based on the results of pilot test, the instrumen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used measurement methods were objective evaluation and Likert-type scale.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were analysed by SAS program. First of all, to verify the relations between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of the student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compute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n the correlations between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and each variables, t-test and ANOVA(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A statistical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0.05.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from academic high schools and newer urban areas showed higher levels of knowledge of environment compared to those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and older urban areas. And in case of attitude about environment, third grade students and students from academic high schools showed higher levels compared to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and students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Also, students from newer urban areas showed higher level of behavior toward environment compared to those from older urban areas. Second, students did not show changes in knowledge, attitude, or behavior about environment after experiencing 'school-societ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The environmental composition factor that influenced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was school year. While first-grade students showed changes in the knowledge of environmen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by sex, classification of schools, or residential areas. That is, environmental composition did not explain the changes in knowledge, behavior, or attitude that were influenced by 'school-societ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Groups of students who showed increase in all levels of knowledge, attitude, behavior about environment turned out to have higher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school-societ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Compared to the groups of students who showed decrease in all levels of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bout environments, among the groups of students who showed increase, first-grade students, girl students, students from academic high schools, and students in newer urban areas were prevailing.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people in charge of sociolog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showed that students tend to show improvement in the levels of attitude and behavior about environment when they participate in 'school-societ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regularly. Last, based on this study,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 planning of education programs, education contents, curriculum, and education methods - of 'school-societ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are being carried out in each area can suggest plans in connection with school curriculum. Also, further studies that suggest 'school-societ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desirable management form and contents for teachers, people in charge of sociolog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chool-societ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re required.;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환경에 대한 지식, 인식과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환경구성에 따라 환경에 대한 지식, 인식과 태도, 행동의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 학생들이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환경에 대한 지식, 인식과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서 환경에 대한 지식, 인식과 태도, 행동에 관한 연구도구를 개발하였고 연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를 통하여 연구도구를 개발한 다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평가 방법은 객관식과 5단계 리커트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성남시에 위치하고 있는 민간 환경단체인 분당 환경시민의 모임과 성남시 일부고등학교에서 운영하는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고등학생 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환경구성과 환경에 대한 지식, 인식과 태도, 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리고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 간의 상관관계, t 검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보완하고 이해하기 위해서 사회 환경교육 담당자와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은 경우는 실업계 학생에 비해서 인문계 학생이, 구시가지에 거주하는 학생에 비해서 신시가지에 거주하는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에 대한 태도 수준이 높은 경우는 1, 2학년 학생에 비해서 3학년 학생이, 실업계 학생에 비해서 인문계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에 대한 행동 수준에 높은 경우는 구시가지에 사는 학생에 비해서 신시가지에 사는 학생이 높았다. 인터뷰 결과, 3학년 학생의 경우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에 2년 이상 지속적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었고 실업계 학생의 경우 지도교사의 전근으로 인해서 프로그램의 참여수준이 떨어졌다. 또한 거주지의 경우, 프로그램 내용이 신시가지에 있는 인공물과 자연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신시가지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교육내용에 더 친밀감을 가질 수 있었다. 둘째,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을 경험한 후, 학생들은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이 변화하지 않았다.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에 영향을 준 환경구성은 학년으로 1학년 학생의 경우 환경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아졌지만 성별, 계열, 거주지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다. 따라서 환경구성의 특징은 학생들이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의 영향으로 인한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의 변화를 설명해주는 요인이 되지 못했다. 지식, 태도, 행동별로 학생들의 변화를 보면,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 수준이 모두 상승한 그룹의 경우,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의 참여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 수준이 모두 상승한 그룹의 경우, 모두 하락한 그룹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1학년 학생의 비중이 높고 인문계인 경우가 많으며 여학생의 비중이 높고 신시가지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교사와 사회 환경교육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학생들은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에 장기적으로 참여하게 되면서, 환경에 대한 태도와 행동 수준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기 어렵게 만드는 외적인 장애요인으로 교사의 권한차이, 서로 다른 학교일정, 교사의 참여변화, 교사의 참여의지와 학교업무환경, 교사의 경험 등이 있었고 내적인 장애요인으로는 환경구성 중 거주지역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장애요인들은 학생들이 체험수업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계 프로그램이 갖는 장점을 효과적으로 경험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세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학생들이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기 어렵게 만드는 장애요인들을 최소화하여 학생들이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의 참여횟수를 높여야 한다. 여기서 장애요인들은 교사간의 권한 차이, 서로 다른 학교일정, 교사의 참여변화, 교사의 참여의지와 업무환경, 학교 행정체계상의 문제점 등을 말한다. 두 번째로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이 많은 교사가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프로그램 운영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 환경교육단체가 교육전문가를 확충하여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교와 사회 환경교육단체 간의 관계를 조율하고 학생들의 학습 수준과 교육 효과를 고려함으로써 프로그램을 좀 더 체계적으로 정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기초로 각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사회 연계프로그램’의 특성(교육프로그램 기획, 교육내용, 교육과정, 교육방법 등)을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서 학교교육과정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교사들, 사회 환경교육담당자,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형식과 운영내용에 있어서 바람직한 ‘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 1 Ⅱ.이론적 배경 = 3 A.학교 환경교육과 사회 환경교육 = 3 B.선행연구 = 5 Ⅲ.연구방법 = 8 A.연구절차 = 8 B.연구대상 = 11 C.연구도구 = 17 D.분석방법 = 19 Ⅳ.‘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특성과 변화에 대한 연구결과 = 20 A.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0 B.환경구성에 따른 환경에 대한 지식, 인식과 태도, 행동의 특성 = 28 C.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행동의 변화 = 34 Ⅴ.‘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에 대한 논의 = 43 Ⅵ.결론 = 50 참고문헌 = 53 부록 = 56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21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교-사회 환경교육 연계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지식, 인식과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grated Programs of School-Social Environment Education upon the Student's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
dc.creator.othernameHyun, Seung Eun-
dc.format.pageⅹ,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