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4 Download: 0

메타언어 활동을 통한 관용 표현 지도 방안 연구

Title
메타언어 활동을 통한 관용 표현 지도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through Metalinguistic Performance
Authors
이주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국어교육에서의 문법교육은 국어교육의 궁극적 목표에 해당하는 국어 사용 기능을 신장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되, 문법지식 자체가 지니는 국어교육적 가치에 주목하여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설계해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관점이다. 문법교육에 대한 이러한 관점 하에서 본 연구는 관용 표현 교육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관용 표현은 주로 표현 영역의 언어 활동으로 드러나지만, 그 교육 내용으로서의 기반은 문법 영역에 두고 있어, 표현·이해 영역과 문법 영역 모두에서 지도가 가능한 교육 제재이다. 그러나 관용 표현의 문법교육적 성격과 가치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관용 표현 교육은 지나치게 표현·이해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관용 표현이 지닌 문법적 지식에 대한 고찰 없이 사용적 측면만을 강조하여 교육할 경우, 습관적 언어 사용 태도만 양산될 우려가 높아 국어 사용 기능의 질적 성장에 기여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관용 표현 교육은 표현·이해 활동을 중심으로 관용 표현의 사용 기능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관용 표현이 지니는 문법 지식적 성격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조직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문법교육에 대한 위와 같은 관점과 관용 표현 교육을 문법교육적 입장으로 접근하고자하는 의도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메타언어 활동’에 주목하였다. 언어 활동 장면에서의 언어 지식과 언어 사용 자체에 의도적으로 주목하여 인지·점검하는 활동인 메타언어 활동은 언어 학습의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문법 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거의 모든 언어 활동은 메타언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문법교육의 교육 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장치를 ‘메타언어’로 삼는 것은 교수-학습에서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다. 특히 메타언어 활동은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문법 지식의 학습 과정을 명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의 가치가 더욱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관용 표현의 문법적 지식에 주목하여 메타언어 활동을 통한 관용 표현 지도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지도 방안의 교육 내용을 구안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Ⅱ장에서 관용 표현과 메타언어 활동의 교육적 재개념화 작업을 거쳐, Ⅲ장에서는 메타언어 활동을 통한 관용 표현 지도 방안 설계를 위한 전제와 방향을 설정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Ⅳ장에서는 그 지도 방안의 구체적 내용을 설계하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이때 관용 표현 지도 방안의 교육 내용은 메타언어 활동의 속성에 주목하여, 관용 표현의 문법적 지식을 바탕으로 조직하도록 설계한다.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의 제시 형태 축은 기본 형태 활용, 응용 형태 활용으로, 관용 표현 교육 내용의 수준에 해당하는 세로 축은 구성 요소 지식, 상황 맥락 지식, 문화 맥락 지식으로 두며, 이 유형화의 틀에 따라 지도 방안의 교육 내용은 6가지로 도출될 것이다.;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mmar education should basically aim at improving Korean proficiency, which is the ultimate object of Korean education. It's argued in this study that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signed primarily in consideration of the value of grammatical knowledge for Korean education.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herefore, placed on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Idiomatic expressions mainly belong to the expression area, but they are basically based on the grammar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So idiomatic expressions can be taught in both of the expression/comprehension and grammar categories. Despite the value of idiomatic expressions for grammar education, existing education overly leans toward the expression/comprehension category when idiomatic expressions are taught. If students learn about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without acquiring relevant grammatical knowledge, they are likely to use them in a grammatically incorrect manner, which might result in curbing the growth of their language proficiency. Therefore not only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but relevant grammar should be educated together. A metalinguistic performance was adopted in this study as an approach toward grammar education on idiomatic expressions. A metalinguistic performance is an activity to check linguistic knowledge and the use of language in verbal situations, and that is mandatory for language learning. Specifically, almost all grammar learning activitie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metalanguage, and the selection of metalanguage as a way to offer effective grammar education seems to be very worth doing. In particular, the usefulness of metalinguistic performance is more stressed in that it makes it possible to explicitly show the learning process of grammatical knowl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diomatic expression guidance through metalinguistic performance and to devise a teaching method about that. Chapter II reconceptualized idiomatic expressions and metalinguistic performance from an educational standpoint, and Chapter III determined the directions for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by metalinguistic performance. Chapter Ⅳ designed a teaching method in detail. Given the attributes of metalinguistic performance, grammatical knowledge required for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should be taught. As to the basic axis of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how to use and apply idiomatic expressions was selected, and the vertical axis of it consisted of knowledge of the components, knowledge of situational contexts and knowledge of cultural contexts. According to this framework, six elements were selected as the components of a teaching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