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도시 소재시의 수용과 창작 교육

Title
도시 소재시의 수용과 창작 교육
Other Titles
Reception and Creation of Urban Poetry in Education
Authors
강주현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나은진
Abstract
This study, as a part of the 'learner centric literary education', aims to suggest the impact of inclusion of urban poetry into the educational textbook of modern poetry through the designing and applying its principles and methods of learning and teaching. Urban poetry is defined as those that depict the city life as a realm reflecting the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industrial capitalistic society, while at the same time speaking of its emotion. Thus, urban poetry is considered to be more suitable for the mentality and the everyday life experience of those learners who now mostly reside in the cities (or urbanized space). Hence, learners are more likely to actively and independently participate in the reception and creation of the literature, which will make them stand naturally in the center of the literature education. To abstract the elements of learning and teaching of urban poetry,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focusing on the dailiness and non-dailiness. The dailiness of the urban poetry, as the mutually shared point between the materialized contents and the experience of the learner, is the element that triggers the sympathy of the learner towards the text. This study has reviewed such in the aspect of 'poet, persona, dailiness of the character'; 'dailiness of the linguistic expression', and finally the 'formalization of general city space'. On the other hand, non-dailiness of the urban poetry is the element that creates distance between the poetry and the learner by leading the latter to recognize the normal everyday to be unfamiliar. Such element has been examined in this study as 'hiding and revealing of the named and function'; method such as 'reification‘; 'juxtaposition', and finally 'irony'. Furthermore, based upon the elements of teaching and education abstracted from the dailiness and non-dailiness of the urban poetry, this study formulates the principle and method of teaching and education of urban poetry. First of all, the teaching and educational principles of urban poetry is an open, cyclical theory that begins from everyday life to experiencing the non-dailiness of the text, and finally to the reperception of the everyday life. To specifically materialize the such, the reception of teaching and education of urban poetry is designed into a several phases of 'reproduction of experiential space'; 'cognition of the textual space'; 'comparison of the experiential space and textural space', and finally the 'expansion of the cognition of everyday life space' of the learners. Such escapes the existing education of modern poetry, which was stagnant in the mere passive understanding of the textual meaning by the learners, through restarting from the learners and returning to the learners and therefore securing the sovereignty of the learners towards the text. Likewise, the teaching and the education of the creation of urban poetry is built in the phase of 'reproduction of the experiential space'; 'literary formalization of experiential space'; 'writing', and finally to the 'reperception of the everyday life space' by the learner. Based upon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of learning and teaching, formulated upon such design, this study has structured an actual applicable classroom model and lesson plan. An experiment utilizing such principles and methods was conducted for two classes, with 283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here in the result presented that 86.71% of learners were very positive about the urban poetry. In short, majority of the students reported that studying urban poetry was more interesting than the existing educational text of modern poetry. The reception and the creative education of urban poetry suggested through such process allows not only the reperception of the everyday life of the learner but also the growth of the examinatory critical embellishments. Moreover, the model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that begins from the everyday experience decreases the burden of creation for the learners, and is also great in its contribution to the 'conventionalization of the literature' which places the dailiness and the creation on the same line. Such elements are ultimately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ndependent and sovereign reception and creation of literature.;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문학 교육’의 실현을 위한 일환으로 도시 소재시를 현대시 교육 텍스트에 포함시켜, 그것의 교수·학습 원리 및 방법을 구안, 적용하여 그 효과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 소재시는 산업 자본주의사회의 삶과 의식을 반영한 공간으로서의 도시적 삶을 담고, 그에 대한 정서를 표현한 시를 말한다. 따라서 도시 소재시는 이제 대부분 도시(또는 도시화된 공간)에서 살아가는 학습자들의 일상적 경험이나 정서에 부합하는 면이 많을 것이라 여겨진다. 이에 학습자들은 보다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문학의 수용과 창작에 참여해, 문학 교육의 장에서 자연히 중심에 서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도시 소재시의 교수·학습 내용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도시 소재시의 특성을 일상성과 비일상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도시 소재시의 일상성은 텍스트에 실현된 내용과 학습자 경험 사이의 공유된 지점으로, 학습자들의 텍스트에 대한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요소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시인, 화자, 인물의 일상성’과 ‘언어 표현의 일상성’, 그리고 ‘보편적 도시 공간의 형상화’ 측면으로 보았다. 반면, 도시 소재시의 비일상성은 학습자에게 익숙한 일상을 낯설게 인식하게 하여 일상에 거리두기를 요하는 요소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름과 기능 감추기와 드러내기’, ‘물화시키기’ 같은 수법과 ‘병치’, ‘아이러니’ 등으로 보았다. 그리고 도시 소재시의 일상성과 비일상성에서 추출한 교수·학습 요소를 바탕으로 도시 소재시의 교수·학습 원리 및 방안을 구안하였다. 우선, 도시 소재시의 교수·학습 원리는 일상에서 출발해 텍스트의 비일상성을 경험하고, 일상을 재인식하게 하는 회귀적이고 개방적인 원리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도시 소재시 수용의 교수·학습은 ‘경험적 공간의 재현’, ‘텍스트 공간의 인식’, ‘경험적 공간과 텍스트 공간의 비교’를 거쳐 학습자들의 ‘일상 공간에 대한 인식 확장’의 단계로 설계하였다. 이는 텍스트의 의미를 학습자들이 수동적으로 이해하는 차원에 머물던 기존의 현대시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에서 시작해 다시 학습자로 돌아와 텍스트에 대한 그들의 주체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이다. 마찬가지 원리로, 도시 소재시 창작의 교수·학습도 ‘경험적 공간의 재현’, ‘경험적 공간의 문학적 형상화’, ‘글쓰기’를 거쳐 학습자들의 ‘일상 공간에 대한 재인식’의 단계로 설계하였다. 이렇게 구안된 도시 소재시의 교수·학습 원리 및 방안을 바탕으로, 실제 적용할 수업 모형 및 학습 지도안을 설계했다. 그리고 이를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283명을 대상으로 2차시에 걸쳐 교수·학습 활동을 수행한 결과, 86.71%의 학습자들이 현행 현대시 교육 정전 텍스트보다 흥미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안한 도시 소재시의 수용과 창작 교육은 학습자의 일상적 삶을 재인식하게 하여, 성찰적 비판적 문식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또, 일상의 경험에서 출발하는 창작 교육의 모형은 학습자들의 창작에 대한 부담을 덜게 하고, 일상과 창작을 동일선 상에 놓는 ‘문학 생활화’에 기여하는 측면도 크다. 이 같은 점들은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주체적 문학 수용 및 창작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