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숙-
dc.contributor.author이희종-
dc.creator이희종-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6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65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가 범람하는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의 생활과 의사소통이 변화함에 따라 학교 현장의 문학 수업에서도 학습 방안이 변하여야 한다는 견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문학 수업이 학생들로 하여금 내면화에 이를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바탕으로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문학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수용과 생산을 하는 활동을 하기 때문에 학습자 중심의 문학 수업을 가장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의 인물 학습 방안을 구안하였다. 학생들이 매체변용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함으로써 소설 원전을 바탕으로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을 읽고 분석하여 콘티와 시나리오 제작을 통해서 영상물을 만드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은 소설을 더욱 심도있게 분석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소설에 대한 이해확장을 가질 수 있으며, 매체를 변용하는 과정 가운데, 영상물이라는 새로운 작품의 생산자인 학생들 자신의 의도와 관점에 따라 새로운 인물로 재탄생하는 활동을 통해서 문학 수업의 가장 궁극적 목적인 내면화를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I장에서는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 수업을 하기 위한 이론적인 배경들을 언급했다. 먼저, 매체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고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매체교육에 대해 알아보며 이것을 토대로 문학교육에서 매체 수용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영상매체와 소설의 관련성 및 영상매체를 활용한 소설교육 방향을 살펴보면서 다음 장에서 제안할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의 교수·학습 방안의 바탕이 되도록 하였다. III장에서는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의 인물 학습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영상매체 변용 작업과 소설의 인물 교육 연계 학습을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영상매체에서의 편집 훈련 학습을 설명한 후 그것을 토대로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의 인물 학습을 알아보았다. 위에서 언급한 것들을 바탕으로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의 인물 학습·방안을 구안할 수 있는 토대가 되게 하기 위해서 가이드라인 격인 <단박인터뷰>와 <인간극장> 프로그램을 활용한 영상매체 변용 학습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IV장에서는 <봄·봄>에 나타나는 인물들을 바탕으로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의 인물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그 모형을 적용하여 실제 수업을 하였다. V장에서는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의 인물 학습 방안에 대한 의의와 한계점을 살펴보고 앞으로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문학 수업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부천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의 인물 학습을 실시하였다. 수업 활동을 한 과정을 분석하고 수업 후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본 연구가 가지는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에 임하는 학습자의 태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 학생들에게 영상매체는 친근함 이상의 필수적인 것이다. 이러한 영상매체를 문학수업에 도입했을 때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태도는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고에서 제안한 수업방식이 기존의 연구들과 같이 원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문학작품과의 비교·대조하는 활동을 넘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소설을 바탕으로 자신의 의도에 맞게 영상매체로 직접 만드는 영상매체 변용학습을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문학의 수용뿐 아니라 적극적인 표현 및 생산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둘째, 매체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교육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앞으로 소설교육에 있어서 영상언어 즉 매체언어교육과의 연계 가능성 및 연계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셋째, 문학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재생산과 내면화에 있어서는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설을 매체변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기표현, 새로운 문학 작품으로 생산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시 궁극적으로 소설을 내면화할 수 있다. 결국 매체변용의 학습을 통해서 소설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는 것이다. 영상매체가 발전할수록 학생들에게 인쇄매체의 문학이 소외되는 것이 아니라 위와 같은 학습 활동을 통해서는 영상매체와 소설이 서로 상생하면서 학생들의 문학적인 소양과 내면화를 이룰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미루어 보아 매체변용을 통한 영상물 생산 활동은 문학교육의 목적을 충실히 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Recently more and more multimedia have been developed and have affected the society, its people, and their life and communication methods. Accordingly, schools are acknowledging the change and trying to introduce a variety of learning methods for understanding literature. This study is based not only on the change but also on the idea that learner-centeredness can enable learners to internalize what they learn. In this respect,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and reconstruct media in their literature class. The study is therefore on the methods used to appreciate characters in novels through reconstructing media. Reconstructing media means that students actively and positively participate in analyzing and using media products related to the literary novels they have learned to produce their own flash movies. Therefore, students should first understand the original literary works and analyze the characters. To create their own media products, they should go through precise analysis, which help them to appreciate the novel. Also students can achieve the final goal of internalization of the literary works by recreating the characters of novels through their own interpretations and perspectives. The second chapter is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is study. We will go through some changes of the perspectives in media education and see how the changes have been applied to 2007 curriculum revision, which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s of using media in literature education. The examples of the media-applied methods in teaching literature will also be covered. Based on chapter two, the following chapter will focus on how to teach students to reconstruct the media products in this activity. Moreover, the way of character analysis in literature class is presented. As examples, the programs, 'Interview on the Spot,' 'Human Drama' are mentioned to provide the media-applied methods through reconstructing media. Chapter four actually presents the actual model for the media-applied method by reconstructing the media products based on 'Spring, Spring.' and describes the actual classes that have used this model. Finally, in the last chapter,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method will be covered and the proposal for the ongoing literature class using the media-applied methods. The actual class target was freshmen of a high school, located in Bucheon City. The students learned how to analyze and use the media products to recreate them based on the literary work they read. After the class, questionnaires were posed to see the following pedagogical significances. Firstly, students' participation increased. This is considered natural since the media products are familiar to them. Their change in positive attitudes are also thanks to the media-applied method that gives students chances to create their own flash movies based on their interpretation. This is more than compare and contrast between the media products and the original stories. The method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literary works by appreciating and analyzing them. and to express their understanding.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being cooperative in class is also recognized. Secondly, the method gave students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learn in the modern society full of media products and inputs. This shows it is possible and necessary to use media even in teaching novels in class. Thirdly, the ultimate goals of literature education, internalization and reconstruction, could also be achieved. Through reconstructing media,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understanding, they could produce their own literary works, which indicates that they have internalized the original work. That is to say, reconstructing helps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literature. This is to show that literary works, the printed version of literature, and media products, the media version of literature, actually coexist and interact to help students achieve literary senses and internalization.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media-applied methods can fulfill the goals of literature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사 검토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 8 Ⅱ. 2007년 개정 교과과정의 국어과 교육과 매체교육 = 10 A. 문학교육과 매체교육 = 10 B. 소설교육과 영상매체와의 관계 = 22 Ⅲ.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의 인물 학습 방안 = 29 A. 영상매체 변용 작업과 소설의 인물 교육 연계 학습 = 29 B.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교육의 학습 방안 = 36 Ⅳ. 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봄·봄>의 인물 교수·학습 실제 = 45 A. 현장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 45 B. 현장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적용의 실례 = 52 C. 연구 결과 분석 및 교육 의의 = 71 Ⅴ. 결론 = 78 참고문헌 = 80 부록 = 83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520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영상매체 변용을 통한 소설의 인물 학습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봄·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edia-applied Methods for Appreciating Characters in Novels through Reconstructing Media : Based on 'Spring·Spring'-
dc.creator.othernameLee, Hee Jong-
dc.format.pageⅷ,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