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수미-
dc.contributor.author김지희-
dc.creator김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9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9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음악 교사와 초등 음악교과 전담 강사의 음악 수업 관찰을 통해 교사별 음악수업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음악활동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시간 활용과 교수방법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여기에서 음악 수업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유형들을 분류하여 그 유형들의 시간 활용은 양적 연구 방식으로, 그리고 교사가 어떻게 음악 수업을 진행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 방식을 통해 각 교사별 초등학교 음악 수업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 두 곳에서 각각 초등 음악 교사와 초등 음악교과 전담강사의 수업을 총 4회에 걸쳐 관찰 및 비디오 녹화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본 연구자가 녹화된 내용을 첫 번째 관찰하면서 수업에 나온 모든 언어를 기록하였고, 두 번째 관찰 시는 3초당 1회의 빈도로 교사와 학생의 유형별 활동 세부 항목별 빈도수를 도출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관찰의 결과는 김명숙(2007)이 개발한 분석표를 연구자가 수정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작성된 분석표를 토대로 두 교사간의 수업에 대한 양적·질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수업 시간 활동 비율은 두 교사 모두 교사 중심 활동의 비율이 학생 중심 활동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언어적 교수행동에서는 두 교사 모두 강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비언어적 교수행동은 초등 음악교사와 음악교과 전담 강사의 수업이 거의 3배 가까운 큰 차이를 보였다. 음악교과 전담 강사의 수업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활동에서는 두 교사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두 교사의 수업에서 수업공백은 5% 미만의 미미한 비율로 나타났지만, 좀 더 알찬 수업을 위해 이러한 수업공백 시간을 조금씩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 여섯째, 수업 진행에 있어서 두 교사 모두 수업의 도입과 정리 부분이 불명확하였으므로 그 부분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두 교사 모두 음악적 지식의 깊이나 수업에 대한 준비에 있어 크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과 수업 내용의 중점방향에 있어서는 크게 차이가 났다. 초등 음악 교사는 수업시 음악의 이해에 중점을 둔 활동들을 진행한 반면, 음악교과 전담 강사는 음악하기를 통한 학생들의 심미적 체험에 중점을 두고 수업을 진행하였다. 초등 음악 교사는 좀 더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이 음악적 이해 뿐 아니라 음악하기를 통한 심미적 체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고, 음악교과 전담 강사는 음악적 이해를 위한 강의에 있어서 초등학생들에게 맞는 조금 더 쉬운 언어와 교육적인 언어사용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elementary music teachers' and music special teachers' classrooms and thereupon, classify their diverse music education activitie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ir classroom operations and pedagogics between the two groups. Namely, music teachers' and music special teachers' diverse classroom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some categories, and thereby, their classroom operation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while their pedagogic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depending on such categories and pedagogic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ereby, observed and video-taped 4 rounds of music classrooms per each music teacher or music special teacher. First, the video-taped contents were reviewed to record every language used in the classrooms. Second, the video-taped conte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frequencies of each category of teachers' and students' music classroom activities as per 3 seconds and then, the frequencies were converted into percentages. For such analysis, Kim Myoung-sook's (2007) table of analysis was modified to be used. According to the modified table of analysis, two teach groups' music classroom activities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 both teachers' groups, teacher-centered activities were higher than student-centered ones. Second, in terms of linguistic teaching activities, both teachers' groups focused more on instructions. Third, in terms of non-linguistic teaching activities, the difference of percentages between two teachers' groups was almost three-fold. Namely, music special teachers were engaged in the non-linguistic teaching activities as much as three times music teachers. Fourth, in terms of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the percentages were similar between two teachers' groups. Fifth, in both teachers' groups, rate of absence at the classrooms was lower than 5%. However, such rate should be lowered gradually for effective music education. Sixth, both teachers' groups did not much effectively introduce and conclude their music classrooms. So, both teachers' groups are deemed obliged to introduce and conclude their music classrooms more clearly. There was found little difference of depth of knowledge about music or preparation for classroom between two teachers' groups. However, there was found wid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erms of pedagogics and focus of education. Elementary music teachers focused more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music, while elementary music special teachers focused more on students' aesthetic experience of music. So, it is required of the former group to explore diverse ways to help students not only understand music but also have an aesthetic experience of music, while the latter group should use easier-to-understand and pedagogic languages to help their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 music more easi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초등 음악 교육과 교사 = 6 B. 수업 관찰,분석의 필요성 = 16 C. 선행 연구 = 18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 대상과 교육 경력 및 배경 = 22 B. 연구 도구 = 23 C.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24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32 A. 초등 음악 교사와 음악교과 전담 강사의 수업별 결과 및 분석 = 32 B. 초등 음악 교사와 음악교과 전담 강사의 수업 비교 = 48 C. 초등 음악 교사와 음악교과 전담 강사의 수업 질적 분석 = 62 Ⅴ. 결론 및 제언 = 73 A. 결론 = 73 B. 제언 = 75 참고문헌 = 76 부록 = 80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847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음악 수업 관찰 ·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 음악 교사와 음악교과 전담 강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Observation & Analysis of the Elementary Music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im, Ji Hee-
dc.format.pageⅶ,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