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홍인-
dc.contributor.author김동현-
dc.creator김동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8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891-
dc.description.abstractThe high school music education as the final formal music education at school affects students' musical life importantly, and therefore, it should help students to enhance their musical sensibility and comprehensibility to develop their originality and creativity in various areas of thinking. Students' music appreciation are the most basic among their musical activities, forming a basis for their other musical activities such as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composition. Music appreciation is accompanied by some intellectual and aesthetic experiences of music. Accordingly, the formal music education at school should requires an active and correct training of music appreci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pieces of music appropriate for an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Chamber music pieces included in the music text book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usic appreciation for the 10th graders seem to enable the learners to comprehend melodies and tones more deeply. However, Chamber music pieces are neither sufficiently included in the textbooks nor effectively taught in the classro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mber music pieces include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nd to suggest appropriate music pieces conducive to students' understanding of music.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aims to develop a teaching plan applying comprehensive musicianship allowing for integration of diverse areas and theorie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pla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theories about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chamber music and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in order to gain some insight into the music education more useful to learners and thereupon,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researcher's intern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high school students preferred music appreciation among various music activities. Nevertheless, preceding studies confirmed that vocal activities were given priority in the music classroom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ere less aware of and interested in 'chamber music pieces,' which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of chamber music in high school. Based on such findings, the researcher applied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a two-classroom-hour teaching-learning plan. The first part of the teaching-learning plan was used for 'E' girls' high school students during researcher's intern period, and the second part was referred to 5 high school music teachers to check its feasibility in the high school music classroom setting.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music appreciation, the researcher designed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plan by using the Power Point program, while planning divers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and group activity worksheet to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music appreci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oup activity worksheet after giving a instruction that applies the first part of the teaching plan, it was found that (1) most of the students participated actively in group activities and assessed that their groups created some original texts, and (2) most of the students could discern the chamber music instruments and were more interested in chamber music, and (3) most of them felt that they could experience diverse chamber music appreciation comprehensively and interestingly and that they would like to learn more about chamber music continuously.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analyzing 5 high school music teachers' responses to the second part of the teaching-learning plan, it was found that their responses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Their positive opinions were that (1) the teaching plan was developed in a systematic order and therefore, it was judged as effective for chamber music learning, (2) the teaching plan was properly planned in linkage with other music areas to be a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plan, and (3) the educational materials were appropriately designed and prepared to be suitable to students' level. Their negative opinions were that (1) music teachers should be more prepared for their classrooms, (2) the tone-focused activities should be increased and (3) the plan should be extended, being linked with its second part. As discussed above,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comprehensive chamber music appreciation plan would encourage our high school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and concerned with the chamber music and furthermore, it could urge them to continue to learn about chamber music. Since the teaching-learning plan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designed only for two classroom hou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extend the plan for longer classroom hours by selecting more diverse chamber music pieces to verify its educational effects.;학교 음악교육의 마지막 시기인 고등학교 음악교육은 학생들의 음악적인 삶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며, 음악적 감수성과 이해력을 높여 다양한 사고 작용에서 개성과 창의성의 발휘를 가져온다. 그 중 음악을 듣는 능력인 감상활동은 모든 음악활동에 기초가 되는 것으로 가창, 기악, 창작 등 다른 음악활동 영역의 기반이 되며, 음악에 대한 지적 체험과 심미적 체험을 수반한다. 따라서 학교의 음악교육에서는 능동적이고 올바른 감상교육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감상 본연의 특징을 잘 살릴 수 있는 제재곡의 선정 역시 중요시된다.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활동영역 중 10학년의 감상영역에서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실내악곡’은 학생들에게 선율과 음색에 대한 깊이 있는 감상활동을 가능하게 하지만 실제로 교과서에 수록된 빈도와 내용의 비중이 낮아 교육현장에서는 쉽게 다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실내악곡의 현황과 내용 분석을 통해 적절한 제재곡을 선정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다양한 영역·이론 간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포괄적 음악교육방법을 적용한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실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의 개발에 앞서 수요자에게 보다 유용한 교육을 위해 학생 분석을 실시하고자 감상교육, 실내악, 포괄적 음악교육방법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사전 인지실태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실습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배포·수거하였다. 설문지의 분석 결과 실제 고등학생의 음악활동 선호도는 감상활동이 가장 높은 비율로 조사되었으나 선행연구 분석 결과 학교 음악수업에서 가창활동이 가장 높은 비중으로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감상활동 중 ‘실내악곡’에 대한 인지도와 흥미도는 매우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효과적인 수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포괄적 음악교육방법에 입각하여 2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지도안은 교생실습 기간을 이용하여 중구 E여자 고등학교에서 1차시만 실연하였으며, 실연되지 못한 2차시 지도안은 현직 고등학교 음악교사 5인을 대상으로 수업내용 및 수업 가능성을 확인하는 설문지로 대신하였다. 수업내용은 학생들의 이해도와 흥미도를 높이기 위해 교수매체로 파워포인트를 제작하여 진행했으며, 수업 중 다양한 활동을 계획하고 모둠별 활동지를 적극 활용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인 감상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1차시 수업 후 모둠별 활동지를 분석한 결과 첫째, 대부분의 학생들은 모둠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자신의 모둠이 독창적인 가사를 창작했다고 평가했다. 둘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실내악의 악기별 연주편성을 인지했으며, 수업을 통해 실내악곡의 관심도도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셋째, 감상으로만 제시되었던 실내악곡을 다양한 활동과 함께 포괄적으로 경험하여 새롭고 흥미로운 수업이었으며, 실내악곡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의지를 밝혔다. 5명의 현직 고등학교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2차시 수업지도안과 모둠별 활동지에 대한 설문지의 분석 결과 장점과 단점이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장점으로는 첫째, 수업이 체계적인 순서로 개발되었으며, 실내악 학습에 있어서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다른 음악영역과의 연계성을 통해 포괄적인 수업으로 적절히 계획되었다. 셋째, 수업자료의 구성과 준비가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적절히 준비되었다. 단점으로는 첫째, 수업에 대해 교사의 많은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수업의 구성내용에 있어서 음색활동이 더 부각되었으면 한다. 셋째, 2차시 수업과 연계된 심화 학습이 요구된다.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결과와 같이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제시된 능동적이고 포괄적인 실내악 감상학습은 실내악곡에 대한 흥미도와 관심도를 증가 시킬 뿐 아니라 지속적인 학습 가능성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차시에 걸친 짧은 연구이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내악곡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수업적용을 통한 효과검증이 필요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 5 A. 음악 감상교육의 중요성 = 5 B. 실내악의 특징과 감상의 교육적 의미 = 6 1. 실내악의 특징 = 6 2. 실내악곡 감상의 교육적 의미 = 8 3.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실내악곡 = 9 C. 포괄적 음악교육 = 10 1. 포괄적 음악교육의 정의와 역사 = 10 2. 포괄적 음악교육의 목적과 방법 = 12 D. 선행연구 고찰 = 14 Ⅲ. 실내악 감상지도의 실제 = 16 A. 고등학교 교과서의 실내악 수록곡 분석 = 16 1. 서양음악 감상곡의 연주형태 = 16 2. 8종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실내악곡 = 17 3. 교과서에 수록된 실내악곡 분석의 종합적 결과 = 28 B. 드보르작의 현악 4중주 「아메리카」분석 = 30 1. 안토닌 드보르작과 「아메리카」의 작곡배경 = 30 2. 드보르작의 음악어법 = 31 3. 드보르작 현악 4중주「아메리카」의 작품 분석 = 33 C. 포괄적인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 55 1. 가네-브릭스(Gagne & Briggs, 1979)의 체계적 교수설계이론 = 55 2. 교수-학습 지도안 = 57 3. 교수-학습지도안에 대한 개발의도 = 75 D. 교수-학습의 실제 = 78 1. 사전 설문지 결과 분석 = 78 2. 사후 모둠별 활동지 결과 분석 = 86 3. 현직 교사의 평가 = 90 Ⅳ. 결론 및 제언 = 96 참고문헌 = 99 부록1 - 1차시, 2차시 모둠별 활동지 = 103 부록2 - 사전 설문지 = 109 부록3 - 교사 평가 문항지 = 111 부록4 - 1차시, 2차시 PPT자료 = 114 ABSTRACT = 12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909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1학년 음악수업의 실내악 감상지도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드보르작 현악 4중주 「아메리카」의 포괄적인 감상수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usic Appreciation of Chamber Music for High School 1st Graders:Focused on the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and Dvorak's String Quartet 'America'-
dc.creator.othernameKim, Dong Hyun-
dc.format.pageⅸ,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