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수미-
dc.contributor.author김세연-
dc.creator김세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8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6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86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등 음악교사의 자율연수에 대한 인식과 운영 실태, 문제점을 파악하고 자율연수에 대한 음악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자율연수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연수에 대한 음악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자율연수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자율연수의 발전을 위한 중등음악교사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관련 문헌 연구와 선행연구를 조사ㆍ분석 하였으며,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중ㆍ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음악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기술통계)를 산출하였다. 집단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 χ²(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고, 상관분석을 통하여 자율연수의 필요성과 적극성의 상관관계 정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연수 실태를 살펴보면 음악교사들은 주로 시ㆍ도 교육청과 교과 연구회 및 교과협의회를 통해 연간 평균 0.6회 가량의 자율연수를 이수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음악교사들은 자율연수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며, 주로 ‘교원으로서의 전문성 및 자질향상’을 위해 자율연수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사들이 이전에 참여했던 자율연수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보통보다 조금 높았으나, 연수 후 feedback, 교육시설 및 환경, 연수 시기, 학교 행정가의 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음악교사들이 자율연수를 기피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과중한 학교업무와 연수 장소와 시기의 불편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사들이 인식하는 자율연수 프로그램 개설상의 문제점은 현장 교사들의 구체적인 요구반영 미흡, 내용 구성상의 문제점은 연수 내용의 실제 학교현장에서의 적용도 미흡, 방법상의 문제점은 연수 대상자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 연수방식, 다양한 수업 매체와 자료 활용 미흡, 연수 강사 자질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교사의 자율연수 요구로는 실용음악, 국악기 실기, 한국음악 교재 및 지도법, 음악교육공학과 합창ㆍ합주 지도법, 극음악, 음악과 문화 등의 연수를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방식이나 강사 선정에 있어서는 실습 및 사례발표와 시청각교육이 적합하며,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중고등학교 현장 지도 경험을 가진 전문 외래강사가 적합하고, 성적 평정은 절대평가 또는 평가 없이 이수시간만 표시하는 것을 선호하고, 경비부담은 전액 국고 지원을 선호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자율연수의 발전을 위해 단위 학교에서는 교사의 자율연수 장려풍토를 조성하고 연수 대상자의 학교 업무 조정이 필요하며, 교육청 및 연수원 차원에서는 근거리 지역 연수 가능하도록 연수 기관 확대와 탄력적인 연수 일정 및 시간 운영, 연수 학점에 따른 각종 혜택 부여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현직연수 활성화 관련 연구에서 거론되고 있는 연수주기 의무화에 대한 의견은 찬성과 반대의 의견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연수주기 의무화가 실시 될 경우 선호 주기는 3-4년, 2년 이내, 8-19년의 순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자율연수에 참여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전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교원들의 교육적인 필요와 요구가 반영된 연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장기 연수의 경우에는 연수프로그램 중간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를 조사하여, 연수생들의 요구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들은 수정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성장 발달단계를 고려한 자율연수과정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매년 비슷한 자율연수 프로그램의 개설보다는 초급 - 중급 - 고급 단계로 나누어 교사가 자신의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연수과정 종료 후 평가에 대한 feedback을 통해 연수 과정이 1회로 그치지 않고 교사들이 자신의 부족한 부분은 보충하고, 나아가 더욱 심화된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자율연수의 내용 및 교육과정의 현장 적합성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연수내용을 학교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렵다면 음악교사는 자율연수를 받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것이며, 교원연수를 받지 않아도 교직생활이 가능한 현실에서 자율연수는 더욱 기피될 것이기 때문이다. 넷째, 대중음악, 실용음악, 극음악, 음악과 문화 등 현대 사회에서 청소년들이 많은 관심을 갖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교육에 관한 자율연수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사의 자율연수 장려풍토를 조성하고, 연수 대상자의 학교 업무 조정, 연수 학점에 따른 각종 혜택 부여 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기관 자율연수 외에도 교원 동호회, 사설 학원, 개인 레슨 등을 통한 자율연수도 연수 점수로 인정해주는 제도가 마련되어, 음악 교사들이 시공간적 제약을 넘어 개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방법으로 자율연수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자율연수 평가체제가 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연수의 이수시간이나 연수 출석률로 연수의 평가 성적이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자율연수를 통해 교사가 얼마만큼 발전하였는지, 적극적으로 연수에 참여하였는지 등에 대한 체계화된 평가 체제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함께 음악교사의 적극적인 자율연수 참여와 관심이 요구된다. 자율연수 프로그램이 아무리 제도적으로 잘 정비되더라도, 음악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 없이는 제대로 정착될 수 없을 것이다. 교사의 현직연수는 교사로서의 권리이자 책무이다. 음악교사가 자율연수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자율연수 발전의 지름길이 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oblems through understanding autonomous training for the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nd finding out its realities of management and to present ideas for its improvement. The issue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How do music teachers know about autonomous training and the management realities. Second, What are the problems of autonomous training? Third, What is music teachers' requirements of autonomous training? To reach the solution, studying of the related documents and preceding studies are researched and analyzed.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of 194 music teachers from secondary schools in Seoul i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as measured by frequency, percentage, descriptive with SPSS win 12.0 program.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of group relations, T-test and χ²(Chi-square) was conducted. Also for researching the relation between necessity and positiveness of autonomous training,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he analyses of this study is as belows. First, music teachers completed autonomous training 0.6 times a year in average in the office of education or music teacher's associations. Most of music teachers have positive opinions about the need of autonomous training, participate in the training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and abilities as a teacher.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the training, music teachers showed better satisfaction for overall training than the average. However they showed less satisfaction for feedback after training,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period of education, support of administrator. Second, the result says the main causes of avoiding autonomous training is a lot of official works, an inconvenient place and period. Also, main problem for the training setting is the lack of reflections of teachers' need, for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is insufficiency of applying to present school, for the method of training is the lack of level-divided classes, diversification of instructional media and quality of the instructors. Third, music teachers need the autonomous training program about the applied music, practice Korean musical instruments,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of korean music, music educational technology, instruction of chorus and orchestra, teaching method of operatic music, music and culture, etc. They preferred actual practice, case study and discussion or audiovisual education as the way of training program. And they like to learn from professional instructor who knows new teaching technology and the realities of present school. For the grade evaluation after training, marking on a absolute scale or marking time record without evaluation is preferred. Most of music teachers want the government to pay all expenses for teacher's autonomous 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autonomous training, school have to encourage autonomous training actively and adjust participant's official works. The office of education and in-service training institute have to increase training center at close area, operate flexible hours and schedule, endow all kinds of benefits according to the credit of training. Based on these results, I would like to suggest as belows. First, we should pretest for the participants' need, so that music teacher's requirement and needs can be reflected in autonomous training program. In case of long-period training, an opinion poll that which participants satisfy with the program or not should be taken, so that we can change something may not conform to music teacher's needs. Second, we need well-organized training programs with music teacher's development stage. We should divide autonomous training program into three level : primary - intermediate - high, so music teachers can choose his or her level. Also music teacher should get feedback on his or her evaluation at the end of the training, so that they can fill up their shortage and proceed to next level. Third, we should consider whether the contents and curriculum of the training will have sufficiency of applying to present school or not. If music teacher can't apply the contents to present school, they don't want to participate in autonomous training. Finally they may avoid autonomous training in reality which teacher don't have any obligation to join the training. Forth, we need various training programs deal with popular music, the applied music, operatic music, music and culture, etc. which teenagers are interested in. Fifth, we need specific and realistic supports such as encouraging autonomous training actively, adjusting participant's official works and endowing all kinds of benefits according to the credit of training, etc. Sixth, we should admit the autonomous training in music-teacher's society, private institute, personal lesson, etc. but in-service education centers, so that music teachers can participate in autonomous training with personal taste and consideration in different ways. With national supports like these, we need music teachers' concern and active participation about autonomous training. Even though autonomous training programs are well-organized, it can't be settled systematically without music teachers' concern and active participation. In-service training is rights and duties as music teachers. The best and fast way for revitalization plan of autonomous training is that music teachers understand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and participate in autonomous training ac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교원현직연수 = 6 B. 자율연수 = 16 C. 선행연구 = 21 Ⅲ. 연구방법 = 23 A. 연구 대상 및 방법 = 23 B. 연구 도구 = 25 C. 자료 분석 = 25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27 A. 자율연수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 27 B. 자율연수의 문제점 = 35 C. 자율연수 활성화를 위한 음악교원들의 요구 = 39 Ⅴ. 결론 및 논의 = 57 참고문헌 = 62 부록 (Appendix) = 65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545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등음악교원의 자율연수 실태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urvey of the realities of autonomous training for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dc.creator.othernameKim, Seyeon-
dc.format.pageⅸ,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