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7 Download: 0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유능감과 관련된 요인 분석

Title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유능감과 관련된 요인 분석
Other Titles
Factors Associa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Science Competence
Authors
정우초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란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students' perceived science competence by examining petentially related beliefs and perception in diverse sampl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I measured the students' perceived science competence, attitude toward scie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eception of science teacher.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7 middle school and 82 high school students. In processing test results, ANOVA, independent-sample T-test, and correlation assay was conducted with SPSS 12.0.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of students' perceived science competence by gend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 scores than high school students in perceived science competence. Second, differences of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by gra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 scores than high school students in attitude toward science, especially in recognition and curiosity of sc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as also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by gender, boys had high scores than girls in attitude toward science.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differences by grade and gend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eception of science teacher,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but middle school students had more positive scores than high school students. Third, students' perceived science compet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 toward scie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eception of science teacher. Of all these factors, attitude toward science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udents' perceived science competence. Forth,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ffected students' perceived science competence were students' grad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all these factors, attitude toward science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factors explained students' perceived science competence. In conclusion, by this research I found out factors associa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science competence. By building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searchers and science educators will be in a better position to ensure that pedagogical efforts in science confidence and competence of students.;학습에 있어서 동기의 중요성은 심리학자와 교육학자들에 의해 오래 전부터 강조되어 왔다. 학습 동기를 지닌 학습자는 학습에 보다 더 많은 즐거움을 느끼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된다. 유능감(perceived-competence)이란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능력을 믿는 신념으로, 높은 유능감은 학습자가 원하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Ryan & Deci, 2000). 학습 동기의 형성에서 유능감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지만 유능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과학 유능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중학생 67명과 고등학생 82명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과학 유능감을 측정하고, 학습자 특성(학교급별, 성별, 선호하는 과학과목)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과학 유능감과 과학에 대한 태도, 성취목표 지향성, 과학 교사에 대한 인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끝으로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하여 과학 유능감을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변인들의 조합을 알아보았다. 검사 결과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과학 유능감은 중 고등학생 모두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중학생의 과학 유능감으 고등학생의 과학 유능감 보다 높았다. 둘째, 학생들의 과학 태도를 측정한 결과 중학생의 경우 남학생들이 여학생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고등학생의 경우는 남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중학생은 고등학생 보다 과학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셋째, 학생들의 성취목표 지향성을 측정한 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남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교사에 대한 인식을 측정한 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남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중학생은 고등학생보다 교사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다섯째, 상관관계 연구를 통해 과학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알아본 결과 과학 태도와, 성취목표 지향성, 교사에 대한 인식은 과학 유능감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인은 과학 태도로서 과학 수업과 과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과학 유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 지향성은 숙달 목표와 수행 목표 모두 과학 유능감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교사에 대한 인식도 과학 유능감과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과학 유능감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과학 태도, 성취 목표 지향성, 학년의 조합으로 과학 유능감을 설명했을 때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각된 과학 유능감과 과학에 대한 태도, 성취목표 지향성, 교사에 대한 인식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성취 목표 지향성, 학년 변인을 고려했을 때 지각된 과학 유능감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과학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유능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적절한 지원과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