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7 Download: 0

의미장을 활용한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Title
의미장을 활용한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lesson utilizing ‘semantic field’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uthors
김민지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irs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lesson utilizing 'semantic field‘ in learning Korean vocabulary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or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promotion of vocabulary lesson utilizing 'semantic field' in Korean vocabulary lesson through the positive result of study on introduction of 'semantic field' in vocabulary lesson as a method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Second, I will review what effect vocabulary lesson utilizing semantic field has on lesson participation or studying motive of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s vocabulary has to be taught in a practical aspect, I will verify, through positive study and interview material, whether lesson utilizing semantic field will make the learners to have interest in learning vocabulary and whether a high effect of utilization can be expected during communication. For this study, I selected 16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living in Seoul or Gyeonggi region as subjects,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of 8 persons respectively, and performed an experiment for 'Study on the effect of vocabulary centered lesson plan on vocabulary improvement of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e learners were multi-national and their levels of Korean language fluency were between upper primary grade and lower intermediate grade. For collection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n experiment group for which the lesson was performed with Korean vocabulary lesson plan composed utilizing semantic field and a control group for which the lesson was performed with a lesson plan composed based o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 where vocabulary is presented as not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as checked through vocabulary assessment after performing vocabulary lessons of different methods to two groups and, especially,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the learners of the experiment group in order to collect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response of learners who took the lesson utilizing semantic field. As to analysis of the result of experiment, in case of vocabulary assessment first,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caused by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of experiment, Mann-Whitney U Test which is a kind of non-parametric statistics was used and, for analysis of interview material, the results were numerically analyzed utilizing technical statistic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performed for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 group for which the lesson utilizing semantic field was performed marked higher value in the vocabulary assessment than the control group for which the lesson based on the teaching material composed of vocabulary notes, and the result of examination showed that such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xt, the result that vocabulary lesson utilizing semantic field has a positive effect on lesson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as deduc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learners of the experiment group who took the vocabulary lesson utilizing semantic field. Though there is limitation in this study in that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a small number of subjects and vocabulary assessment was performed limited to writing domai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e fact that methodological study on vocabulary lesson utilizing semantic field was performed and that a big effect is expected when utilizing semantic field for vocabulary education of which the importa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eing enlarged. I expect that active studies on methodology of vocabulary education utilizing semantic field in diverse dimensions may be carried on in the future.;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어 어휘 학습에 있어서 ‘의미장’을 활용한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어휘는 의사소통의 기본이며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고급단계 학습자들일수록 한국어 학습에서 가장 크게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로 어휘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는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어휘 교육의 한 방법으로 ‘의미장’을 어휘 수업에 도입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어 어휘 수업에 있어서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수업이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둘째,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도나 학습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어휘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교수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수업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한국어 학습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고 또 학습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하여 한국어 학습 동기를 증가시킬 수 있을지 학습자 면담 자료를 통해 이를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권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16명을 실험 참여 대상자로 선정하여 각각 8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한 후 ‘의미장 중심의 수업안이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를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학습자들은 다국적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어 능숙도는 초급 후반에서 중급 초반 정도에 속한다. 실험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사전 동질성이 확인된 두 집단을 각각 의미장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수업을 실시한 실험 집단과 어휘가 주석으로 제시되어 있는 한국어 교재를 바탕으로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에 상이한 방식의 어휘 수업을 적용한 후 어휘력 평가를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실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 학습자들의 반응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의 분석에는 먼저 어휘력 평가의 경우 실험 참여자의 표본수가 적은 데에서 비롯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비모수 통계법의 일종인 맨 위트니 유 검증법(Mann-Whitney U Test)을 활용하였고 면담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학습자 응답 내용을 수집하였다. 실험 연구의 수행 결과 어휘력 평가의 경우에는 의미장을 활용하여 어휘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평균 순위(11.94)와 순위 합(95.5)이 어휘 주석으로 구성되어 있는 교재를 바탕으로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의 순위(5.06)와 순위 합(40.5) 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고 이러한 두 집단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U = 4.5, p < .01)로 99% 신뢰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실험연구를 통해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수업이 학습자들의 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에서 응답한 전체 학습자들의 75%가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수업 방식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71%의 학습자들이 의미장 활용 어휘 학습을 통한 어휘력 향상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수업이 한국어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도와 학습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적은 표본을 대상으로 단기간에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고 쓰기 영역에 한정된 어휘력 평가가 실시되었다는 점에서 제한점이 있으나 한국어 어휘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어휘 교육의 활용 측면에서 큰 효과를 기대를 할 수 있는 의미장을 적용한 어휘 수업의 방법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겠다. 앞으로 다양한 차원에서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길 기대한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