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5 Download: 0

우리나라 강수량의 계절적 분포에 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강수량의 계절적 분포에 대한 연구
Authors
서정숙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 나라의 강수는 기후요소 중에서 많은 특색을 띄고 있으므로 강수와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관해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강수의 계절적인 분포를 중심으로 그 계절별 비율, 그 지리적 요인을 규명하고 Koppen의 기후분규를 인용하여 강수의 계절적 특색을 알고 또 강수효율의 계절적 특색을 인용, 참고 하여 보았으며, 강수의 누년변화에 나타나는 경향을 계절별, 지역별로 비교, 고찰 하였다. 자료는 270개 지점의 월별 강수량을 계절별로 나누어 총강수량에 대한 백분율을 계산하여 지도화 하였으며, 누년변화는 30년간(1943~1972년)의 Data를 써서 분절하였다. 계절별 강수량 비율에서 나타난 특색을 보면 춘계는 총강수량의 10~20%를 나타내며, 남에서 북으로 갈수록 비율이 작고, 남쪽은 등치선이 대륙내부가 동위론 해안지방보다 비율이 높은 극편이되고 있고, 북쪽은 반대로 적론만곡을 하고 있다. 하계는 총강수량의 40~60%를 나타내며, 동위도상에서 남에서 북으로 갈수록 동에서 서로 갈수록 비율이 커지고 있다. 추계는 20~25%의 비율을 나타내므로 등치선읜 항해도에 따른 지역차를 나타내 주고 있다. 동계는 3~10%의 비율을 나타내고 비율이 5% 이상 지역과 이하 지역으로 구분되며, 5% 이상 지역은 남서해안, 남동해안과 명 조 지역이며, 함북 최북단지역과 신의주 부군은 3%도 못된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전기와 우기가 뚜렷이 구별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춘추계는 점이기에 속하고 있다. 그러나, 강도는 강수량의 분포가 사계절 균등하여 30년(1943~1972년)간의 평균을 보면 춘계가 18%, 하계가 27%, 추계가 28%, 동계가 27%를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일본의 태풍기가 안견되고 있어 추계강수량을 높혀 주고 북서계절이 동계 강설량을 풍부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강수량의 분포를 결정 짓는 요인은 주로 전선과 저기압이 지배하고 있으며, 이것은 jet stream의 계절적 이동과 관련되어 있으며, 그밖에 지리적 요인으로 척량산맥의 풍상이나, 우음이냐에 따라 강수량이 달라지며, 또 탁월풍의 풍향에 따라 해류와 작용하여 지역적 차이를 나타내 주고 있다. 또 Koppen 분류에 따른 우리나라의 강수형은 대부분의 지역이 건우기가 뚜렷한 W기후이고, f기후는 남서해안 및 남동해안, 감도, 제주도 지역에서 나타나며, D기후에서는 무수단과 온정리 2지점만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f지역은 하계에 있어서 강수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과 동계에 있어서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과 비교적 일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Koppen의 분류는 우리나라 강수의 계절적 특성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강수효율로 본 계절적 특색은 전지역이 수분부족이 없고, 또 있어도 극히 소량으로 비교적 습윤함을 뜻하고 있다. 계절별 강수비율의 변화에 있어서는 하계집중율은 타계절과의 상대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명기 다른 변화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내륙지방에 있어서는 춘추계가 건계와 우계의 전이기에 속하나 해안형은 그렇지 않을 때도 있으며, 도서형은 완전히 개합되고 있다. 그리고, 내륙지역은 하계에는 해안이나 도서지역에 비해 비율 변화의 폭이 크지만 타 계절에는 타 지역보다 오히려 작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전계절을 통해 하계가 강수비율이나 수분격차가 가장 심하다. 결국, 우리나라의 강수는 건우계가 뚜렷하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특색을 보여주며, 해에 따른 변화가 심하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with emphasis upon the seasonal rainfall, the regional difference, the geographical factors affecting to the rainfall,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Koppen's climatic classification, the precipitation effectiveness and to inquire into how each season and region are influenced upon one another. The seasonal rainfall was obtained from the monthly rainfall covering 270 studies, from which the seasonal percentage was obtained and then mapped out. And annual variation of seasonal percentage covering 30 years (1943-1972) was analys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Summer rainfall occupies 45-60%, winter 3%-10%, which shows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dry season and the rainy season. 2. For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rainfall, the difference of the seasonal rainfall in coast regions is less than in inlands. 3. Every region on the same latitude slightly varies in the date to begin rainfall in summer and in the presentation of the most rainday. 4. The decisive factors of rainfall distribution are such as front shift, the location of mountain range, the direction of the wind, ocean current, etc. Above all, low pressure and fron controlled on seasonal distribution as a more important factor then any other factors. 5. The most of regions, according to W. Koppen's system, show winter-dry "W" and "f" is shown in the southeast seasides, Ulneung Island and Jeju Island, among which the regions of the little rainfall in summer and those of the heavy rainfall in winter are simililalily identical. 6.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based upon precipitation effectiveness show no or little shortage of moisture, r. 7. The summer rainfall widely varies in differ years, especially the widest in inlands, and the other can be placed in order of seasides and islands. In conclusions,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rainfall in Korea gives clear distinction between "Dry" and "Rainy" season. This shows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localities and the more in different yea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