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논 (畓)의 잡초군락 조성의 변동에 관하여

Title
논 (畓)의 잡초군락 조성의 변동에 관하여
Authors
유순태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전세기적으로 70년도 후반기에 들어서 기상의 이변으로 인한 흉작으로 식량부족 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각국은 그 나라 풍토에 맞는 벼의 품종개량 경작지의 확대 경작지의 토양성분의 물리학적 기본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벼품종의 적지선정과 시비의 방법 병풍해에 대한 방제방법등 생물학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에서 식량자원의 증산확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인은 한국의 기본산업인 벼 농사의 “장”즉 논에 대해서 생태학적측면에서 논 잡초의 계절적변동, 벼와 잡초와의 관계등에 관해 조사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조사지는 경기도 파천군 문산 금촌 지역에 논 10마지기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조사기간은 1973년 3월부터 1973년 11월까지 제초구와 무제초구로 나누어 9번 조사를 했으며 조사 척도로서는 피도와 초고를 사용했다. 논잡초의 출현종은 27종이나 되었고 논갈이 한 후 1회조사에 잡초의 적산우점도를 산출했으며 2회~9회까지는 피도(%)만으로 벼와 잡초의 변동을 조사했다. 논의 잡초군락도 논갈이 모내기 제초제철포 피뽑기 벼베기 방치 등 인위적 조건에 의해서 종조성과 우점도의 변동 및 벼의 피도율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었다. 제초구와 무제초구의 우세종은 독새풀 황새냉이 너도방동산이 피 쇠뜨기 개구리밥 해캄 등이다. 피도별로 본 월별 양구의 우세종은 뚜렷하였고 천이 계열(Seral-Stage)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독새풀 황새냉이 너도방동산이 등이 10월부터 익년의 모내기까지 우세종으로 출현함이 건전화의 지시식물(Indicator Plant) 로서의 식물계(Phytometer)가 될수 있었다. 벼의 피도율이 모내기부터 벼베기까지 양극에 차이를 가져온 것은 벼와 잡초와의 공간 경쟁(Spatial competition) 현상이라 하겠다. 모내기한 후의 벼의 생장기간(5월~8월)동안 제초제 피뽑기 등으로 제초구와 무제초구 사이에는 피도비(제초구의 잡초피도율이 5~10% 까지 하락)와 출현종수비(제초구에서 15~20%까지 하락)에 큰 차가 있었다. 잡초의 계절로 너도방동산이 피 등의 하초가 우점하는 기간과 독새풀 황새냉이 등 동초가 우세한 기간을 고려하여 모내기나 벼베기를 할 필요가 있다. 생활형 조성에서는 제초구는 : Ths-D₄-R_(5)········· (너도방동산이, 피) 하초형 무제초구는 : Thw-D₄-R_(5)········· (독새풀, 황새냉이) 동초형 생활형에서 본 잡초군락의 변동은 생육형에서 b(분지형) p(포복형) t(총생형)에 속하는 바늘풀 마디꽃 쇠털골 물별 미나리 벼룩나루 등이 많고 초고는 작기 때문에 SDR은 낮아 우점종으로서의 상위로 나타나는 수가 없고 밭의 경우와 같이 Th-D₄-R_(5)가 된다.;The seasonal fluctuation of weed plants on the rice paddy were carried out in each area, (pesticides and unpesticides) that was possessed bu Mr.Lee yong Dol who lives at No. 312, Il-Ku, Kumchon, Paju-Hun, Kyongki-Do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weed plants species in investigated area were 27 species. 2) After plowing the rice paddy (on March 20th, 1973) the dominant species were Alopeculus amurensis, Cardamine flexuosa. 3) The No. of total appearance species and monthly fluctuation of coverage in each area was caused by human activities, dryness and abandonment of rice paddy. 4) The main weed plants in each area were Alopeculus amurensis, Cardamine flexuosa, Equisetum arvense, Cyperus serotinus, etc. 5) Seasonal seral stage in each area were recognized. 6) Alopeculus amurensis and Cardamine flexuosa were able to become phytometer as indicator plant of drying field. 7) There were usually retrogressive development of growth of weed plants in each area, which increasong coverage of rice. 8)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wo area, pesticides and unpesticides, in the covver ratio and total appearance ratio. 9) The biological type in each area are as follows: Pesticides area: Ths-D₄-R_(5) Unpesticides area: Thw-D₄-R_(5).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