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박선희-
dc.creator박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otherOAK-0000000513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4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1398-
dc.description.abstractThe outcome of special education can be evaluated by students with disabilities' quality of life during their adulthood period in an integrated community. An active participation of labor market and job activity influences the individual level of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spite of being exist of various employment prompt and income assurance policy such as supported employment system in Korea, the issue of an employment situ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come a serious social problem. Even though the supported employment system has been in quantity, it was not be able to meet all the needs of disabled people's demand and the quality of the outcome from the system was inappropriate. A continuous and on-going support service provider, the job coach’s proper role performance during a place-and-train procedure in an individual placement support model(IPS model), has critical effect on an outcome and a quality of its supported employment practic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on the related supported employment, and then identified five sub-procedures: 1) job development and job analysis, 2) vocational counseling and vocational evaluation·assessment, 3) placement according to individual and environment matching analysis·evaluation, 4) on-the-site training, 5) on-going and follow-up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ob coach’s perception on practice and difficulty in supported employment field with its emphasis on the presented five sub-procedures. The research involved 155 job coaches who is supported employment service providers. They works in 62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for disabled people in nationw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Job coach's perception on practice and difficulty in supported employment procedures According to the research, it resulted job coach’s perception on practice is higher than their perception on difficulty during an entire procedure of train-and-place in supported employment. It has been realized that the lowest procedure of perception on practice is the job developmental and job analysis phase, and the highest procedure of perception on difficulty is the on-site training phase. 2.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in between the level of perception on practice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n difficulty in supported employment procedures According to result of a coefficient correlation in between the level of perception on practice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n difficulty in supported employment procedures, there was correlationship in all procedures. Especially, the procedure of on-site training was demonstrated prominent correlationship(r=-.947, p<.01) compare to the other procedures in supported employment. 3. perception on practice and difficulty in supported employment procedures depending on job coach's variable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level of perception on practice in supported employment regarding job coach’s career of service providing which divided as following: less than a year, more than a year to less than three years, and more than three years. However, job development and job analysis procedure in supported employment represents that the level of perception on difficulty is higher among the job coaches who have experiences of more than one year to less than three years, compare to the ones who have more than three years of service providing experience. Second, variable regards the possession of certificates resulted in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especially among double certification holde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social welfare, whom reported relatively higher level of perception on practice and lower level of perception on difficulty across all procedure of supported employment. To sum up these findings, the level of perception on practice of job development and job analysis in supported employment is relatively lower than other procedure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n difficulty in practice of on-site training is higher than other procedures. From this results, we can articulate but limitation of systematic management in developed job information in the real labor market, also difficulty in the flow of information in regarding to job development job analysis in integrated community. Specially for the practice of on-site training, double certification holders have higher perception on practice and its difficulty relatively than single certification holder group. This further leads to the positive effect on job coach’s professionalism of fidelity, accountabilit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 of service in the practice of supported employmen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tudy regarding the practice of place-and-train and its discussion could be utilized as useful guidelines in training procedure of prospective job coach as well as reeducation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supported employment can be contributed in content development of pre-service and in-service curricula and the validity of educational content and the possibility of adaptation to their career.;학령기 특수교육의 성과는 장애학생의 졸업이후 성인기 통합된 지역사회에서의 독립적이고 생산적인 성인으로 누리는 삶의 질로도 평가할 수 있으며, 직업활동에의 참여가 성인기 장애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왔다. 지적장애나 발달장애와 같은 중도장애인의 경우에도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 내 통합된 고용환경에서의 직업활동 참여를 통해 여러 유익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지원고용이라는 서비스제공 패러다임의 변화 추세에 기반하여 적합한 지원의 지속적 제공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990년대부터 시도된 국내 지원고용은 2000년 이후 제도화되어 현재 그 양적 기회는 과거에 비해 증가되었지만, 지원고용 실행에 있어 지적장애인의 통합된 일반경쟁고용에서의 질과 그 성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이 제기된다. 장애인 고용 및 소득보장에 대한 여러 제도적ㆍ정책적 지원이 있음에도 여러 실태조사 자료들은 지적장애인의 고용상황이 여전히 매우 열악함을 알려주고 있다. 이와 함께 지원고용 실행을 위한 법적·제도적 여건의 미비함으로 인해 지원고용이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실제의 고용형태로 정착되어 있지 않다. 선배치-후훈련 지원고용의 개별배치지원 모델에서는 지속적 지원의 제공자인 직무지도원의 역할수행이 지원고용의 성과와 질에 매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장애인 고용 관련법규에는 지원고용 실행에서 서비스제공자인 직무지도원의 자격기준이나 양성체계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가 없는 상황이며, 장애근로자에 대한 직무지도원의 지속적인 지원 제공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지원고용 실행과 그 성과를 제한하는 한 요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선배치-후훈련 지원고용의 과정을 직무개발 및 직무분석, 직업상담 및 직업평가, 적합성 평가에 따른 배치, 현장직업훈련, 사후지도의 5가지 과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배치-후훈련 지원고용에서 상술된 5가지 과정을 중심으로 직무지도원의 지원고용 직무 실행도와 직무 곤란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근거로 작성된 질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한 본 연구의 질문지 응답에는 대표적인 지원고용 실시기관인 대다수 장애인복지관과 일부 직업재활관련단체에 소속된 지원고용 서비스제공자인 직무지도원 15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문제1에 따른 결과분석은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 실행도 및 직무 곤란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본 후, 각 과정별 최상위ㆍ최하위 직무 실행도 및 직무 곤란도 문항의 세부내용을 살펴보았다. 연구문제2에 따른 결과분석은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 실행도와 직무 곤란도 간 단순적률상관계수(Pearson r)를 산출하였다. 연구문제3의 직무지도원 배경변인(업무경력, 소지자격증, 연수 참여여부)에 따른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 실행도 및 직무 곤란도를 일원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 실행도 및 직무 곤란도 선배치-후훈련 지원고용의 전 과정 모두에서 직무지도원의 직무 실행도와 직무 곤란도 결과는 직무 곤란도에 비해 직무 실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 실행도가 가장 낮은 과정은 직무개발 및 직무분석 과정이었으며, 직무 곤란도가 가장 높은 과정은 현장직업훈련 과정이었다. 2.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 실행도와 직무 곤란도 간 상관관계 지원고용의 5가지 전 과정의 직무 실행도와 직무 곤란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현장직업훈련 과정에서는 Pearson 상관계수 -.947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의 결과가 나왔다. 3. 직무지도원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 실행도 및 직무 곤란도 직무지도원의 업무경력(1년 미만, 1년 이상 ~ 3년 미만, 3년 이상)에 따른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 실행도와 직무 곤란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무지도원의 소지자격증(직업재활사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직업재활사·사회복지사 자격증의 중복소지)에 따른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 실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직업재활사·사회복지사 자격증의 중복소지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비교적 높은 직무 실행도를 보였다. 그러나 직무지도원의 연수 참여여부에 따른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 실행도와 직무 곤란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지원고용 과정 중 직무개발 및 직무분석 과정의 직무 실행도가 다른 과정에 비해 낮았고, 현장직업훈련 과정의 직무 곤란도가 다른 과정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장애근로자의 고용 가능성이 높은 일반사업체에서의 직종을 개발함에 있어서의 어려움과 함께 직무개발된 직업정보의 체계적 관리에서의 어려움과 관련있다고 여겨진다. 현장직업훈련 과정에서 직업재활사ㆍ사회복지사 자격증의 중복소지집단이 다른 단일소지집단에 비해 직무 실행도와 직무 곤란도 모두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은 배치된 환경에서의 직무적응을 위한 지속적 지원이 강조되는 지원고용에서 직무지도원의 전문성이 지원고용 실행의 양적·질적 측면에서 서비스 충실성이나 책무성에도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선배치-후훈련 지원고용 과정의 실행과 그 곤란에 대한 논의는 이후 직무지도원 양성과정 및 재교육과정의 내용을 구성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지원고용 직무 실행과 그 곤란에 대한 연구결과의 내용이 직무지도원 교육과정 개발 시 내용구성에 반영된다면 교육과정의 내용 타당도에 기여하여 교육성과의 하나로 지원고용 현장업무에의 적용 가능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6 C. 용어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지원고용의 개념 = 8 1. 선배치-후훈련 지원고용의 배경 = 8 2. 지원고용의 법적 제도화: 미국을 중심으로 = 10 3. 지원고용의 원칙 및 개념 = 13 B. 우리나라 지원고용의 전개 = 16 1. 국내 지원고용 도입과 실행인력 = 16 2. 지원고용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 실행지침 = 20 C. 지원고용 과정과 직무지도원의 역할 = 24 1. 지원고용 과정에서 직무지도원의 역할수행 = 24 2. 지원고용 과정에서 직무지도원에게 필요한 교수적 능력 = 29 Ⅲ. 연구 방법 = 40 A. 연구 참여자 = 40 B. 연구 도구 = 43 C. 자료 수집 = 49 D. 자료 처리 = 50 Ⅳ. 연구 결과 = 51 A.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 실행도와 직무 곤란도 = 51 B. 지원고용 과정별 직무 실행도와 직무 곤란도 간 상관관계 = 56 C. 직무지도원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 실행도와 직무 곤란도 = 58 Ⅴ. 논의 및 제언 = 67 A. 논의 = 68 B. 연구의 제한점 = 74 C. 제언 = 75 참고문헌 = 76 부록 = 86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31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지원고용 선배치-후훈련 과정에서 직무지도원의 직무 실행도 및 직무 곤란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f Job Coach's Perception on Practice and Difficulty in Supported Employment-
dc.creator.othernamePark, Sun-Hee-
dc.format.pageⅶ,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