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계서연-
dc.creator계서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1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3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1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출제 문항을 분석하고 선발 기능의 적절성 및 개선방향에 대한 원감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앞으로의 공립 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 중 전공 필기시험 문항의 출제 자료, 형태, 유형과 논술시험의 출제경향은 어떠한가? 2. 현행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이 개인적, 전문적 자질을 갖춘 교사를 선발하는데 적절한지에 대한 원감의 인식은 어떠한가? 3.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의 개선방향에 대한 원감과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2000~2008년까지 출제된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 중 1차 전공 필기시험 문항의 출제영역, 유형, 형태 및 논술시험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설문 조사를 통해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의 채점위원으로 들어간 적이 있는 원감 48명을 대상으로 임용시험 선발기능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원감 57명과 경력이 5년 이상 된 교사 128명을 대상으로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설문지는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에 관한 선행 연구와 관련된 연구들을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해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출제된 전공 1차 필기시험의 문항을 분석한 결과, 출제 자료는 교육과정 해설서,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집, 교육부 자료, 유아교육일반 영역 순으로 출제가 많이 되었다. 그리고 문항 형태는 교육과정 내용 및 운영에 관한 원리나 기준 기술, 예문 또는 교육과정 영역별 내용체계가 주어지면 이에 적합한 교육내용이나 활동을 구성하는 형태가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2005년 이후로는 교사의 발문 기술, 교육활동과 관련해 교육목표 기술, 주어진 기존에 맞춰 예문의 내용을 분석하는 형태의 문항이 많이 출제되고 있다. 문항의 유형은 논문형이 제일 많이 출제되었으며, 다음으로 단답형 문항이 많이 출제되었다. 논술은 2003년까지는 초등과 같은 문제가 출제되었다가 2004년도부터는 초등과 별도로 유치원의 교직 교양분야에서 출제가 되었다. 둘째, 현행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이 유치원 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질을 갖춘 교사를 선발하는데 적절한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 개인적 자질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그리고 전문적 자질 중 전문적 지식에 대한 평가는 충분하다는 인식이 높은 반면에 교수 기술, 교육관에 대한 평가는 미흡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셋째, 2009년부터 적용되는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 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전공 필기시험에 관해서는 1차와 2차로 나누어 보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1차 시험의 적절한 문항 수는 50이상~60미만 문항이었으며, 2차 시험의 적절한 문항 수는 5~6문항이었다. 교육학과 전공의 배점에 대해서는 현행처럼 30%, 70%가 적절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3차 시험인 수업능력평가방법에 대해서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고, 작성한 지도안으로 수업 실연하는 방법이 적절하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면접과 수업능력평가의 점수 배점은 30%, 70%와 50%, 50%가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면접 시간에 대해서는 10분 이내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면접을 통해서 교직 태도 및 가치관, 자아개념 등 정의적 영역을 비중 있게 평가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유능한 교원을 선발하기 위해 임용시험 이외에 교원양성과정과 실습기간 동안의 교육내용과 평가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estions on the screening examination for public kindergarten teacher candidates and to identify the cognizance of teacher and vice principal concer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screening function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so as to seek the implications for futur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policy. For that purpose, subjects of study were posed as follows: 1. What are the range, form, and type of questions in the written test and tendency of the essay question for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2. What is the opinion of vice principal on the adequateness of the current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 for selecting teachers with personal, professional skills? 3. What is the opinion of vice principal and teacher in relation to the future improvement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 In this research, the range, type, and form of the first written test questions and the tendency of essay questions among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s of years 2000 to 2008 was analyzed.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48 vice principals who have participated as grading committee members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 in order to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the screening function of the exam. 57 kindergarten principals and 128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were surveyed so as to examine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 The survey questions formed by the researcher were based on prior studies and relevant documents concerning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achieved data were produced in order to analyze them, and Microsoft Excel was used to take statistics of the material.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first written questions of exams conducted from 2000 to 2008 showed that the range of possible questions was from curriculum manual, kindergarten teaching guidebook,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general area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question form was describing the principles and organizing relevant educational content and activity. After 2005, more questions are presented that require descriptions on teachers' postscript, educational goal in relation to educational activity. As for the types of questions, short essay form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followed by short answer questions. For the essay question, the kindergarten teacher exam presented the same questions from the elementary teacher exam until 2003; starting from 2004, however, the essay questions were separated from the elementary teacher exam and was presented from the kindergarten teachers educational area. Secondly, the survey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election exam on screening teachers with adequate talents showed that the exam was unsatisfactory in assessing personal skills.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assessment of professional knowledge was sufficient, while the evaluation on teaching philosophy and professional skills was not. Thirdly, the study on the future improvement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 that comes to effect in 2009 showed that the respondents agreed to the two-stage written examination, and answered that the appropriate question number was over 50 and under 60 for the first exam, and 5 to 6 for the second. For the first exam, many considered that the questions on subject content and education theory should be fifty percent each, and the best score proportion between education theory and major was 30 percent and 70 respectively, which is the proportion in the current examination. In relation to the third-stage test on teaching capacity,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best method of assessment was making a teaching/learning plan and performing a lecture based on it; as for the score proportion between interview and teaching ability assessment, most considered 30:70 or 50:50 as the most appropriate.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at the ideal length of interviews was 10 minutes, and that the interviews should examine the inner aspect such as applicants' teaching attitude and philosophy, and self-consciousness. Moreover, the study showed that the respondents affirmed the comprehensive usage of using the educational content and assessment of the training courses and practice periods besides the scores of appointment exa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교육공무원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제도 = 4 1. 교원 임용시험 제도의 기능 = 4 2. 교원 임용시험 제도의 절차 = 5 B. 공립 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 6 1.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의 절차 = 6 2. 공립 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현황 = 7 C. 임용원칙 추출을 위한 유능한 유치원 교사의 자질 = 15 1. 개인적 자질 = 15 2. 전문적 자질 = 16 D. 시험 문항의 제작 = 17 1. 좋은 문항의 요건 = 18 2. 문항의 유형 = 19 E. 관련연구 = 21 Ⅲ. 연구방법 = 24 A. 전공 필기시험의 문항 및 논술시험의 경향 분석 = 24 1. 연구대상 = 24 2. 연구도구와 연구절차 = 24 B.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 선발 기능의 적절성에 대한 원감의 인식 = 28 1. 연구 대상 = 28 2. 연구 도구 = 29 3. 연구 절차 = 30 4. 자료 분석 = 31 C.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 제도 개선방향에 대한 원감, 교사의 인식 = 31 1. 연구 대상 = 31 2. 연구 도구 = 33 3. 연구 절차 = 34 4. 자료 분석 = 35 Ⅳ. 연구결과 = 36 A. 전공 필기시험의 문항 및 논술시험의 경향 분석 = 36 1. 출제 자료 분석 = 36 2. 문항 형태 분석 = 37 3. 문항 유형 분석 = 38 4. 논술시험 출제 경향 분석 = 39 B.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 선발기능의 적절성에 대한 원감의 인식 = 39 1. 개인적 자질 = 39 2. 전문적 자질 = 40 C. 공립 유치원 임용시험 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한 원감, 교사의 인식 = 47 Ⅴ. 논의 및 결론 = 57 A. 논의 = 57 B.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7 부록 = 69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81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공립 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출제 문항 분석 및 시험에 대한 원감,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nalysis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s Questions and the Vice Principal and Teacher' Cognizance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dc.creator.othernameKye, Seo Yeon-
dc.format.pagex,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